지난 18일 방영한 KBS <5.18 41주기 특별다큐 나는 계엄군이었다>

지난 18일 방영한 KBS <5.18 41주기 특별다큐 나는 계엄군이었다> ⓒ KBS

 
지난 12일 개봉한 영화 <아들의 이름으로>에서 국민배우 안성기가 열연한 캐릭터 '오채근'은 5.18 당시 전두환 신군부의 발포명령을 받은 계엄군이었다. 명령을 거부할 수 없었던 오채근은 어쩔 수 없이 시민을 향해 총을 겨누었고 이후 평생 죄책감에 괴로워하다 스스로 계엄군이었음을 밝힌다. 그리고 그와 달리 시민군 무력진압을 진두지휘 했던 책임은 있지만 여전히 반성 없이 호위호식 하는 자들에게 직접 벌을 내리고자 무거운 발걸음을 시작한다. 

지난 18일 KBS에서 5.18광주민주화운동 41주기를 맞아 제작한 < 5.18 41주기 특별다큐 나는 계엄군이었다 >(아래 <나는 계엄군이었다>)에 극중 오채근의 실존 인물이라고 할 수 있는 당시 계엄군이 등장해 화제가 됐다. 11공수특전여단 소속으로 1980년 5월 20일 구 전남도청 광장에서 계엄군이 시민군을 향해 무차별 난사를 가할 당시 현장에 있었고, 아직도 미제 학살 사건으로 남아있는 주남마을 버스 총격 사건에도 투입되었던 이 사람은 이후 광주에 관한 소식은 필사적으로 피할 정도로 잊고 살고 싶었다고 토로했다. 

그런 그가 방송국 카메라 앞에 서고, 자신이 계엄군이었다는 사실을 밝히기까지 무려 41년의 세월이 걸렸다. 주남마을 버스 총격사건을 조사하고 있는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이하 조사위)를 통해 당시 사건에 대해서 증언을 요청받았을 당시만 해도 고민이 많았다던 그가 전 국민 앞에 자신의 과거 정체를 드러낸 이유는 단 하나. 자신이 주도적으로 계획하고 진행한 학살은 아니었지만 가담했던 자신의 잘못을 고백하고 참회하는 과정을 통해 더 이상 역사 앞에 죄를 짓지 않겠다는 굳건한 다짐이었다. 

한편 조사위에 따르면, <나는 계엄군이었다> 방송 제작에 참여한 최병문씨 외에도 지난 3월 16일 5.18 당시 계엄군이 자신의 행위를 고백하고 유족에게 직접 사과한 사례가 있었음이 알려져 세간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계엄군들이 당시 진압작전을 증언한 경우는 많았다고 하나, 가해자가 직접 발포 사실을 인정하고 유족에게 사과 의사를 밝힌 것은 5.18 이후 처음이기에, 계엄군들의 연이은 양심고백과 희생자, 유족들을 향한 사죄는 5.18 진상 규명에 있어 적잖은 힘이 될 것으로 보인다. 

"거의 다 의자 밑에 죽어있었어요 엉켜서. (중략) 버스에서 나올 때는 나도 혹시나 싶으니까 뒷걸음질로 나왔거든. 그때 아마 그 사람 발등을 내가 밟은 것 같아요. 내가 보니까." 

최병문씨가 오랜 갈등과 고민 끝에 5.18 학살에 대한 공개적인 증언자로 나서게 된 건 주남마을 버스 총격 당시 자신이 구해줬던 여학생의 소식을 알고 싶다는 갈망이 컸기 때문이다. 총격이 벌어진 이후 지휘관에 명령에 의해 버스에 올라탄 최병문씨는 지금도 생각조차 하기 싫은 끔찍한 현장과 마주해야했고 그 와중에도 용케 생존자가 있음에 감사하고 버스에서 내려왔음을 토로한다. 

과연 최병문씨가 당시 발견했던 여학생은 지금도 잘 살아 있을까. 이런저런 질문을 뒤로하고 제작진과 함께 그동안 애써 피하고자 했던 당시 기억의 퍼즐을 맞춰가던 최병문씨는 마침내 5.18 이후 한 번도 가지 않았던 광주에 가기로 결심한다. 

가해자이면서 피해자인 계엄군, 이제 이들이 나서야할 때 

5.18 당시 진압을 지시하거나 지휘했던 위치가 아니라면 광주민주화운동 진압에 투입 되었던 다수의 계엄군들은 가해자이면서 피해자인 이중적인 위치에 놓여진다. 최병문 씨의 고백처럼 영문도 모른채 광주로 향하는 기차에 올라탄 그와 동료들은 졸지에 국군이 아닌 계엄군이 되어 국민들을 향해 대검을 휘두르고 총을 쏘는 존재가 되어야 했다. 

그러나 최씨는 자신도 어쩔 수 없이 진압에 투입 되었다는 식으로 자신의 과거에 스스로 면죄부를 주려 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1980년 5월의 광주와 비슷한 일이 일어나고 있는 미얀마 군부의 시민불복종운동 무력 진압 영상을 보고 "저기에 투입된 군인들은 자신들의 행동을 정당화하고 있을 것이다. 당시 계엄군들 또한 우리가 정당한 줄 믿고 있었다"면서 자신의 과거에 대한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그런데 <나는 계엄군이다>를 끝까지 보면서 든 의문. 물론 최씨처럼 진압 작전에 투입된 계엄군 또한 자의든 타의든 학살에 가담한 가해자로서 자신의 과오를 인정하고 희생자들에게 사과하는 태도의 변화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허나 정말로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고 그에 대한 처벌을 받아야 마땅한 이들은 왜 자신의 과거를 인정하지 않고 책임지지 않는 것일까. 왜 부끄러움과 죄책감은 영문도 모른채 시키는 대로 명령에 복종해야했던 이들에게만 해당되는 과제인가. 

단순히 최병문씨가 발견했던 생존자의 행방 여부를 떠나 여전히 풀리지 않는 5.18 미스터리에 대한 수많은 질문을 던지는 다큐의 메시지는 너무나도 분명해 보인다. 5.18은 우리가 알고 있는 그 이상으로 국가가 주도했던 잔인하고 참혹한 대대적인 학살 이었고 1980년 5월의 광주는 아직 끝나지 않았음을. 그리고 5.18에 대한 더 많은 양심 고백과 증언이 필요함을. 그것이야말로 5.18을 인정하고 반성하지 않는 자들을 향한 진정한 복수이자 역사 앞에서 조금이나마 덜 부끄러워질 수 있는 시민의 책무다. 

"만약…나를 욕을 해도 좋습니다. 저 녀석 저기 왜 나와서 쓸데없는 소리 하나 이런 소리 해도 좋은데 한 분 한 분 생각해봐달라고 내가 부탁 좀 드리고 싶습니다. 지금 (5.18 관련) 실종자들이 너무 많더라고. 제발 우리 부대원들은 알고 있잖아요. 알고 있으니까. 제발 우리 부대원들 그 한 마디만 좀 해주면… 그래도 명색이 특전사 아닙니까. 특전 요원답게 나섭시다."
5.18 계엄군 광주민주화운동
댓글6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로 지금 여기에서 여성의 눈으로 세상을 보고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