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이 글에는 영화의 주요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다.
 
 내가 죽던 날

내가 죽던 날 ⓒ 워너브라더스 픽쳐스

 
아마도 배우 김혜수의 다음 '인생작'이 등장하기 전까지 <내가 죽던 날>은 오래도록 그의 인생작으로 기억되지 않을까. 청소년 시절부터 성숙한 모습으로 성인 연기를 해냈던 김혜수는 이후 연이어 히트를 기록하며 배우로서 자리잡게 된다.

특히 영화 <타짜>에서는 "나 이대 나온 여자야"라는 명대사를 남기며 한 시대를 풍미하기도 했다. 그런 그가 <내가 죽던 날>에서는 톱스타나 배우가 아닌, 사람 김혜수만의 냄새를 풍긴다.

<내가 죽던 날>은 지난 2008년 서울 국제 여성 영화제 아시아 단편 경쟁 부문에서 <여고생이다>로 최우수상을 수상한 박지완 감독의 장편 데뷔작이다. 고립된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닥칠 수 있는 문제를 그리며, 위로를 담아냈다는 점에서 2020년이 길어낸 힐링 영화가 아닐까 싶다. 

이야기는 형사 현수(김혜수 분)에게서 시작된다. 병가를 내고 휴직 중이었던 현수는 복직을 하고자 한다. 그녀는 괜찮다고 하지만 상관에서부터 친구이자 동료까지 그녀의 이른 복직을 우려한다. 형사로서 불미스러운 사건을 겪고 남편과 이혼 위기에 놓인 현수. 하지만 그는 남편에게 다른 여자가 있었다는 사실을 전혀 눈치 채지 못했다. 

그는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닥친 일들을 어떻게든 의연하게 버텨내고 싶었다. 하지만 그의 마음과 달리 다른 사건이 터지고 결국 그는 휴직을 선택한다. 그리고 영화의 시작으로 돌아와 현수는 주변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복직을 하고자 한다. 복직한 현수에게 맡겨진 사건은 태풍이 몰아치던 날 절벽에서 사라진 소녀 세진(노정의 분)에 대한 수사보고서를 마무리하는 것이었다.
 
평범한 고등학생이었던 세진은 아버지가 밀수 사건으로 범죄자가 되면서 본의 아니게 증인이 된다. 경찰은 세진을 증인 보호라는 명목으로 외딴 섬에 뒀는데, 세진이 어느날 사라져버린 것이다. 

조사에 돌입한 현수는 복직을 위한 요식 행위처럼 보였던 세진의 사건에 점점 빠져들게 된다. 그건 바로 세진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한 CCTV에 잡힌 세진의 행적 때문이었다. 현수는 세진에게서 자신의 처지를 발견하게 된다.
 
 내가 죽던 날

내가 죽던 날 ⓒ 워너 브라더스 픽쳐스

 
남들의 부러움을 살 만한 삶을 살다 하루 아침에 나락으로 떨어진 세진의 처지가, 그럼에도 어떻게든 섬에서 살아보고자 애쓰는 모습이 자신과 닮아있다고 느낀 것. 현수 역시 자신에게 벌어진 사건에 집어삼켜지지 않고 버텨보려고 애쓰고 있었고, 남들이 말리는데도 이른 복직을 하며 현실에 자신을 끼워 넣으려 했다. 하지만 현수는 이 사건을 놓지 못하면서 세상의 모든 관계로부터 방출당한 듯한 세진의 절망감을 그대로 느끼며 고통스러워 한다. 

그런 가운데 또 다른의 '인물'이 등장한다. 세진이 살았던 섬 사람이지만 섬 사람들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순천댁(이정은 분)이다. 예전에는 다른 섬 사람들과 어울려 살았던 순천댁. 하지만 동생이 죽고, 그 동생의 하나 밖에 없는 딸마저 사건을 겪자, 순천댁은 스스로 세상과 자신을 단절한 채 살아왔다. 가족이었던 사람들을 잃어버릴 뻔한 과정에서 목소리마저 잃어버린 순천댁은 섬 사람이었지만 그림자처럼 살아간다.

방출된 현수와 세진에게 내밀어진 '손'

영화 <내가 죽던 날>은 자신이 맺었던 관계에서 방출된 세 사람 현수, 세진, 순천댁의 이야기를 세진의 실종 사건을 매개로 풀어낸다. 우리는 한 사람의 존재로서 세상을 살아간다. 하지만 우리를 우리답게 만들어 주는 건, 점과 같은 존재인 우리를 엮어주고 이어주는 관계들이다. 

관계의 매듭은 견고했으면 하는 우리의 갈망과 달리 헐겁다. 꽉 묶인 매듭인 줄 알았는데 너무 쉽게 풀리기도 한다. 이럴 때면 고립무원의 점이 되어 세상 밖으로 던져진 것처럼 상실감에 시달린다. 
 
 내가 죽던 날

내가 죽던 날 ⓒ 워너 브라더스 픽쳐스

 
영화는 그럼에도 어떻게든지 자신에게 닥친 운명에서 도망치지 않으려 애쓰는 현수와 세진, 그리고 순천댁의 삶을 그려낸다. 그들의 의지와 상관없이 그들에게 휘몰아친 여러 사건들 속에서 그들은 견디고 버티려 한다. 주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팔을 자해하면서까지 현수는 세상에 자신을 끼워 넣으려 한다. 세진 역시 마찬가지다. 현수도, 세진도 그 막막함에 잠을 이루지 못한 채 뒤척이고 발버둥친다. 그리고 그 노력의 끝에서 '절벽 실종' 사건이 발생한다.

영화는 관객의 예상과 다르지 않게 흘러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서로에게 내민 손이 주는 위로가 뭉클하다. 그건 <내가 죽던 날>이 사건이 아니라, 현수와 세진, 그리고 순천댁이라는 주요 인물에 집중하기 때문이다. 관객은 김혜수, 이정은, 노정의 세 배우의 울림 있는 연기를 통해 우리 시대의 증후군과도 같은 존재의 상실감을 진득하게 보여준다. 그리하여 그 끝에서 연대의 실마리를 펼쳐낸다. 

세 사람은 다르지만 결국 같았다. 거기에 세진의 사건을 포기할 수 없었던 현수의 집요함과 짓밟힐 풀 한 포기같은 세진을 돌아보아준 순천댁의 마음, 조카를 자신처럼 돌보던 순천댁의 측은지심, 그 조카에게 마음을 보여준 세진의 연민까지. 이렇게 작지만 커다란 마음들은 단단한 끈이 되어 이들의 삶을 나락에서 건진다. 나풀거리는 점같은 존재들이 세상에서 떨궈지는 것도 한순간이다. 그러나 동시에 그 점같은 존재를 세상에 다시 묶어주는 실낱같은 인연도 그렇게 다시 우리를 찾아온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내가 죽던 날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