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82년생 김지영> 포스터

영화 <82년생 김지영> 포스터 ⓒ (주)봄바람영화사

 
영화 < 82년생 김지영 >의 주인공 지영(정유미 분)은 어릴 때부터 하고 싶은 일이 많았다. 유달리 똑 부러지고 영리 했던 언니 민정(공민정 분)과 함께 세계 일주를 하고 싶었던 지영은 소설가가 되고 싶었지만 현실적인 이유로 홍보대행사에 취직을 했고 강단있는 직장 선배 김팀장님(박성연 분)을 롤모델로 삼아 커리어 우먼으로 성공적인 삶을 살고 싶었다. 

하지만 대현(공유 분)과 결혼 후 그와의 사이에서 아이를 낳은 지영의 현재는 경력단절된 전업 주부다. 출산 후에도 복직이 가능하긴 했겠지만, 아이가 어느정도 클 때 까지 내심 그녀의 복직을 원하지 않는 시부모와 남편의 뜻에 따라 육아와 가사 노동에만 전념하고 있다. 
 
 영화 < 82년생 김지영 >

영화 < 82년생 김지영 > ⓒ (주)봄바람영화사

 
지영 또한 집에서 아이를 돌보는 삶이 나쁘지 않다고 생각은 하지만, 그녀도 모르는 사이 이유를 알 수 없는 외로움과 무력감이 건강했던 지영의 삶을 갉아먹기 시작한다. 여기에 학창시절 남학생에게 성추행을 당했음에도 피해자인 자신의 탓으로 돌릴 수밖에 없었던 과거의 기억과 사회 곳곳에 만연한 불법촬영 현장, 직장과 가정에서 은근하게 벌어지는 남녀 차별과 성희롱, 며느리로 대표되는 여성에게만 가사노동을 강요하는 한국의 명절 문화, 아이를 키우는 여성을 맘충이라 부르는 혐오의 풍경이 곳곳에 펼쳐지며 지영을 더욱 심란하게 만든다. 

동명 소설을 영화화한 < 82년생 김지영 >에는 두드러지는 악역이 등장 하지 않는다. 본인이 산후 우울증에 걸린지도 모르는 지영을 대신하여 먼저 정신과를 찾는 대현은 아픈 아내를 살뜰이 배려하고 육아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자상한 남편처럼 보여지며, 지영에게 무심결에 상처를 주는 이들도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사람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 82년생 김지영 >은 영화 속 지영과 비슷한 상처와 일상을 경험한 사람들에게 어떤 영화, 소설보다 더 섬뜩하게 느껴지는 현실을 상기시킨다. 

소설 혹은 영화 < 82년생 김지영 >이 그랬듯이 대개 1980년대 전후에 태어난 여성들은 이전 세대와 다르게 비교적 평등한 교육 기회와 사회 진출을 부여 받았다. 또한 과거 어머니들처럼 집에서 가사노동, 육아, 남편 내조에 전념하는 삶을 천직으로 여기며 행복하게 살아가거나 그런 라이프를 꿈꾸는 여성들도 더러 있을 것이다.
 
 영화 < 82년생 김지영 >

영화 < 82년생 김지영 > ⓒ (주)봄바람영화사

 
하지만 그와 반대로 일과 결혼 생활의 양립을 꿈꾸며 사회활동을 통한 성취감 획득과 주체적인 삶 영위를 인생 최우선의 목표로 삼아왔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하고 싶은 일을 하지 못하고 주저앉아 버린 여성들의 현실 또한 분명 존재한다. 소설 속 김지영과 비슷한 일을 겪고 경험할 동시대 여성들에게 '사실적'이라는 호평을 한 몸에 받은 이유다. 

영화에서 출산 이후 회사를 그만둔 지영을 두고 몇몇 사람들은 이렇게 말하기도 한다. 나도 회사 그만두고 너처럼 집에서 애나 봤으면 좋겠다. 어떻게 보면 요즘같이 맞벌이가 필수인 시대에 행여나 아내가 힘들까봐 외벌이를 마다하지 않는 지영의 남편은 아내에 대한 배려심이 넘쳐나는 자상한 남편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허나 회사를 그만둔 이후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이유를 알 수 없는 무기력과 공허함에 시달리는 지영에게 그러한 배려와 위로는 되레 더 큰 상처로 다가올 뿐이다. 
 
 영화 < 82년생 김지영 >

영화 < 82년생 김지영 > ⓒ (주)봄바람영화사

 
< 82년생 김지영 >의 삶을 살아보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정말 별 일 아닌 것처럼 보여지고 느껴지기에 그녀들 혼자 삭일 수밖에 없었던 고통의 순간들. < 82년생 김지영 >처럼 살지 않았던 혹은 아예 관심조차 가지지 않으려는 사람들이 소설, 영화 속 김지영, 혹은 현실의 김지영들의 현실을 전적으로 동의하고 공감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영화 < 82년생 김지영 >은 결혼과 출산 이후 경력이 단절된 30대 기혼 여성들만의 고충을 토로하지 않는다. 하고 싶은 것이 많았지만 현실적인 이유로 그 꿈이 좌절되어 깊은 무력감에 빠진 여성의 이야기를 세밀하게 다룬 영화는 누구의 아내, 누구의 엄마가 아닌 그냥 '나'로 살고자 하는 지영을 통해 새로운 희망을 모색하고자 한다. 도무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주인공의 암담한 현실을 강조한 소설과는 사뭇 다른 전개다. 남성 중심적 가부장적 사회 관습과 편견에서 벗어나 오롯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자 하는 여성의 긍정적인 변화와 진취성을 담은 < 82년생 김지영 >은 오는 23일 극장가에서 만날 수 있다. 
82년생김지영 여성 영화 정유미 공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로 지금 여기에서 여성의 눈으로 세상을 보고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