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태양은 없다> 포스터.

영화 <태양은 없다> 포스터. ⓒ 삼성영상사업단

 
김성수 감독은 3년 전 영화 <아수라>로 유명세를 치렀다. 시대를 앞서갔기 때문인지 혹은 시대를 잘못 읽었기 때문인지 그의 장편 연출작들 중에서 꽤 여러 작품이 뒤늦게 진가를 발휘했다. <아수라>가 대표적이다. 비교적 최신의 <감기>나 20여 년 전 <무사>도 그러했다. 그만큼 그만의 스타일이 확고하다는 반증일 수 있겠다. 

그의 연출작 7편 중 배우 정우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다. 초기 3편과 최근 영화 1편에 주연으로 출연했다. 정우성의 말없는 눈빛 연기가 주는 강렬함은 김성수 감독의 영화 스타일과도 잘 맞아떨어진다. 이 조합에 대중들은 열광했고 <비트>와 <태양은 없다>에 이어 <무사> <아수라>까지 김성수 마니아층을 만들었다.

나아가 이 영화들은 당대를 상징하는 컬트적 인기를 도맡아 했으니, 단순히 성공과 실패라는 도식으로만 판단할 수 없는 가치를 만들어낸 것에 모든 의미를 부여해도 충분하다. 적절한 흥행작은 남지 못해도 컬트 인기작은 영원히 남을 것이기 때문이다. 20년 전 1999년 개봉작 <태양은 없다>는 김성수 감독과 정우성 배우의 전작 <비트>에 이어 1990년대를 대표하는 컬트 무비로 남아 있다. 

가진 것도 미래도 없는 청춘들

챔피언에 도전할 수 있을 정도의 자질을 가진 도철(정우성 분), 후배한테 지고선 권투를 그만둬버린다. 펀치 드렁크 증후군을 앓게 된 그는 돈이 성공의 전부는 아니라고 믿는다. 관장 소개로 흥신소에서 일하게 되고 또래 홍기(이정재 분)를 만난다. 돈이 성공의 전부라고 믿는 홍기는 6년 만 있으면 30억 짜리 빌딩을 살 거라고 떠벌리지만 현실은 도박을 일삼으며 동네깡패 병국 일당에게 쫓기는 신세일 뿐이다. 

한편 도철은 홍기가 매니저 일을 봐주고 있다는 내레이터 모델 배우 지망생 미미에게 끌린다. 그녀도 도철과 홍기와 마찬가지로 가진 것 없이 꿈을 꾸며 하루하루를 버티는 청춘이다. 홍기가 흥신소 돈을 빼돌리는 바람에 도철까지 함께 그만둔다. 되는 일 하나 없던 그들에게 우연치 않게 돈이 생기는데 홍기가 가지고 도망가 버린다. 도철은 그만두었지만 계속 마음이 가던 권투를 다시 시작한다. 

도철과 홍기와 미미는 따로 또 같이 분란을 일으키면서도 관심을 가지고 만나고 챙기고 각자의 꿈을 향한다. 하지만 홍기는 도박에서 계속되는 실패와 무시무시하게 조여오는 병국 일당의 압박에 못 이겨 또 다른 도둑질까지 한다. 그마저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홍기, 그의 태양은 떠오르지 않을 건가. 도철과 미미는 권투선수와 배우라는 꿈을 버리지 않고 계속 꾸며 거머쥘 수 있을까.

영화를 넘어 문화로 자리잡다

영화 <태양은 없다>는 가진 것 하나 없는 청춘들의 되는 일 하나 없이 나날들을 담아냈다. 되는 일이 없더라도 착실하면 언젠가 자리를 잡을 수 있겠지만, 청춘에게 방황은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듯 그들은 너나없이 비틀거리기만 할 뿐이다. 영화 자체가 상당히 두서 없는 줄거리이다. 청춘의 방황을 표현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영화는 청춘을 방황과 함께 멋진 한때로 표현하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여전히 최고의 자리를 지키고 있는 배우 정우성과 이정재의 20년 전 모습도 눈길을 끈다. 영화 안 캐릭터가 아닌 영화 밖 배우에 집중한 세련되고 화려한 구도와 영상을 선보인다. 이는 영화가 영화로 끝나지 않고 문화로 자리잡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물론 <태양은 없다>는 비판 당할 요소가 차고도 넘친다. 도식적이고 관습적이며 개연성 역시 부족하다. 생각지도 못하게 훌륭한 연기를 선보이는 이정재의 홍기를 제외하곤 연기력조차 아쉬운 수준이다. 김성수 감독의 시대적 선구안이 탁월했다. 20세기 마지막의 그때 그시절이 원하는 게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한 것일 테다. 

IMF 시대의 청춘을 그린 컬트 무비

<태양은 없다>가 개봉한 건 1999년 1월이니 제작한 건 1998년일 테다. 당시 한국 사회의 시대상을 생각해 보면, 이 영화가 왜 그때 그시절에 가능했는지 유추해볼 수 있다. 다름 아닌 1997년 11월 IMF 외환위기이다. 국가부도 사태에 직면한 한국 사회는 모든 게 무너져 내리고 있었고 청춘들의 방황은 희망을 찾을 수 없는 미래로 귀결된다. 

사회에 발을 디디고 합당한 미래를 꿈꾸어야 할 청춘들은 이미 방황을 끝냈어야 한다. 하지만 사회는 그들을 받아줄 준비는커녕 언제 끝날지 모를 오리무중 상황에 진입했고 청춘들은 일찍이 찾아보기 힘든 미증유의 사태에 직면해 어찌할 바를 몰랐다. <태양은 없다>가 보여주는 청춘은, 그래서 어쩌면 당연한 게 아니라 유임되고 있는 것이리라. 그들이 하는 일련의 '나쁜 짓'들로 그들을 가해자 취급해선 안 되며 그들이야말로 피해자이기도 한 것이리라. 

이 영화를 바라보는 또 다른 방법론으로 IMF 시대의 청춘이라는 도식을 대입해 보았는데, 영화에서 내보이는 현실과 그리 잘 맞아떨어지는 것 같진 않다. 감독의 의도가 무엇이었을지, 영화는 왜 이렇게 만든 건지 궁금할 따름이다. 그럼에도 이 영화는 영원히 남을 것이다. 1990년대 한국사회 아닌 한국문화를 상징하고 대표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대표 컬트 무비로서 말이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김형욱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 singenv.tistory.com에도 실립니다.
태양은 없다 정우성과 이정재 컬트작 청춘의 방황 IMF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冊으로 策하다. 책으로 일을 꾸미거나 꾀하다. 책으로 세상을 바꿔 보겠습니다. 책에 관련된 어떤 거라도 환영해요^^ 영화는 더 환영하구요. singenv@naver.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