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BS 스페셜 > '체인져스, 나도 돈 벌고 싶다'편

< SBS 스페셜 > '체인져스, 나도 돈 벌고 싶다'편 ⓒ SBS


지난 8일 방송된 < SBS 스페셜 >은 '체인져스(Changers))'에 대해 다뤘다. 여기서 체인져스란, 혁신을 바탕으로 돈 버는 판을 뒤집어 바꾼 사람들이란 말로 최근 우리 사회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각종 '스타트업' 기업을 만든 사람들을 통칭한다. 

취업난은 나날이 극심해지고, 어렵사리 직장을 구한 뒤에도 다시 돈 걱정을 하느라 '미래'를 꿈꾸기조차 힘든 상황이다. 현실의 많은 젊은이들은 이런 상황 탓에 취업 대신 창업을 택하고 있기도 하다. 2014년과 비교했을 때 거의 두 배 늘어난 30세 미만의 창업자 '체인져스'의 '인피니티 스톤'은 무엇일까? 

'단군이래 가장 돈벌기 좋은 시대', 자영업을 하는 34살 주인규씨가 이 시대를 정의하며 한 말이다. 그는 왜 그런 생각을 했을까? 원래 경제 방송 PD였던 그는 현재 월 7천만 원 정도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 말이 경제 전문 방송 PD지, 자신이 분석하는 경제 상황으로 인해 눈 앞에서 몇 천억이 오고가는데도 정작 그가 받는 월급은 170만 원 남짓이었다. 이런 아이러니한 상황을 돌파하고자 그는 창업을 생각했다.

'어떤 방법으로 돈을 벌까', 고민하던 그가 찾아낸 건 바로 이 시대 고객들의 욕구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그는 사람들이 검색하는 제품과 그에 걸맞은 상품 정보량을 비교한 뒤 상품에 비해 검색량이 많은 제품을 중심으로 '인터넷 쇼핑몰'을 열었다. 

그리고 자신의 성공 메뉴얼을 중학교 친구인 정재민씨와 공유하고 온라인에도 올렸다. 예전에는 쇼핑몰을 열기 위한 홈페이지를 만드는 데만도 돈이 들었지만 이제 그런 초기 비용조차 들지 않는 세상이다. 누구라도 자신만의 사업에 도전할 수 있다. 그래서 이렇게 자신만의 쇼핑몰 사업을 하는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세포 증식하듯이 증가한다 하여 이른바 '세포마켓'이다. 

이 시대 체인져스들의 인피니티 스톤? 
 
 < SBS 스페셜 > '체인져스, 나도 돈 벌고 싶다'편 한 장면

< SBS 스페셜 > '체인져스, 나도 돈 벌고 싶다'편 한 장면 ⓒ SBS


다큐는 그렇게 스타트업을 창업하여 성공한 이들의 인피니티 스톤, 즉 성공 요인이 무엇인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4년 전만 해도 스위스 로잔 공대에서 박사 과정을 밟고 있었던 서찬수씨. 그때까지 그는 자신이 대학을 가고, 대학원을 가고, 교수를 꿈꾸는 공학도의 루트를 따라가는 삶을 살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뜻하지 않은 일로 인해 지도 교수와 사이가 틀어지고 학교에서 잘리면서 서찬수씨의 인생 궤도는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된다. 

스위스로 유학을 오면서 공부하는 틈틈이 가이드 일을 하던 그는 가외로 하던 이 일에서 자신의 새로운 길을 찾아냈다. 여행 카페를 운영중인 그는  평균 월 3000만 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는 중이다. 그런데 그가 돈을 버는 방식은 지금까지 '자본주의적' 방식과 좀 다르다.

파리를 찾는 이들은 대부분 에펠탑 앞에서 사진을 찍는다. 하지만 서찬수씨 카페 회원들은 전문 사진사가 찍어주는 작품 같은 느낌의 사진을 남길 수 있다. 그 사진사에게 서찬수씨가 매달 월급으로 지급하는 비용은 500만 원. 그럼 서찬수씨는 무엇으로 이익을 남길까?

무료 사진 촬영 서비스를 받은 사람들은 서찬수씨가 운영하는 여행 카페에 솔직 후기 4개를 남겨야 한다. 그들이 남긴 솔직 후기를 보기 위해 여행 카페로 사람들이 모여들고, 바로 그 사람들에게 노출되는 광고가 서씨에게 돌아가는 이윤 창출의 통로다.

이처럼 이 시대 체인져스들의 이윤 추구 방식은 전통적인 자본주의적 방식과 다르다. < SBS 스페셜 >의 취재 작가로 직접 '체인져스' 대열에 뛰어들어 '문구' 쇼핑몰을 연 박해인씨는 월세 35만 원 버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고전했다. 그런 박씨의 멘토로 나선 주인규씨는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가에 대해 좀 더 고민을 하라고 조언한다. 

생후 20개월 된 아이를 키우는 직장맘 정지예씨는 회사 화장실에서 육아 고통을 해결하느라 고군분투하는 직장맘들의 고민을 접하다 베이비시터 중계 플랫폼을 창업했다. 기존의 베이비시터는 물론 아르바이트를 구하는 대학생들까지 활용하는 방식이다. 그는 베이비시터 공급 시스템을 원활하게 한 덕에 매해 두 배 넘는 수익을 남기며 창업 3년째를 맞았다.

<마켓 컬리>의 김슬아 대표의 경우도 직장인이었던 자신에게 필요한 새벽 배송을 찾다가 자신만의 사업 아이템을 찾은 경우다. 그저 '돈을 벌어야지' 한다고 벌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목적과 가치 판단이 분명한 아이템들이 이 시대 '체인져스'들의 인피니티 스톤이다. 이처럼 이 시대 새로운 스타트업에 도전하는 이들은 고객들의 변화하는 '니즈'에 집중한다.

물론, 다큐에는 긍정적인 면만 담기지 않았다. 월세 35만 원을 목표로 쇼핑몰을 창업했던 박혜인씨는 목표로 삼은 30일의 중반이 지나도록 주문량 0의 고전을 면치 못한다. 성공 사례자인 주인규씨의 도움을 받아 홈페이지를 바꾼 뒤부터 주문은 늘었지만, 30일이 다 되었을때 박씨가 번 돈은 15만4천 원으로 순수액은 매출의 10%인 1만5000원을 겨우 넘겼다.

결국 박씨는 쇼핑몰 대신 자신이 원래 하던 작가의 일로 돌아선다. 주인규씨 역시 창업 첫 해엔 1000만 원의 수익도 못 올렸다며 생각보다 스타트업 창업에 인내와 노력이 필요하단 점을 강조한다. 

벤처 붐에 이은 스타트업 붐? 
 
 < SBS 스페셜 > '체인져스, 나도 돈 벌고 싶다'편

< SBS 스페셜 > '체인져스, 나도 돈 벌고 싶다'편 ⓒ SBS


이쯤에서 최근 활성화된 스타트업 창업 시장과 관련하여 김대중 정부 시절의 벤처 기업 붐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 IMF외환 위기 이후 무너진 시장 경제를 다시 일으켜세우기 위한 방편으로 김대중 정부는 벤처 기업 육성을 강력 추진했다. 거기에는 외환 위기 이후 오늘날처럼 심각해진 '청년 실업 문제 해결'이라는 필요성도 함께 했다. 정부 주도의 벤처 기업 육성 제도 정책에 힘입어 1998년 7만 6000명이던 벤처 고용인구가 2001년 31만 6000명까지 급격하게 증가했다. 

하지만 2002년 32만 여명으로 줄었고, 오늘날 당시 사업을 시작했던 곳들 중엔 네이버, 다음, NC 등 몇몇 기업들만 거대 기업으로 컸다. 반면, 팬택 드림위즈 등 '벤처'에 명운을 건 수많은 기업들이 사라져 갔다.

다큐에서 성공사례로 언급된 서찬수씨는 이런 스타트업 창업을 낯설지만 새로운 인생의 오솔길이라 칭한다. 새로운 길이지만, 그 길은 사람들이 쉽게 갈 수 없는 낯선, 외로 난 길이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다큐에 등장한 여러 성공한 스타트업의 사례는 '대박' 아이디어지만, 또 한편에서는 누구나 쉽게 접근하기 힘든 '특별한' 사례이기도 하다.

물론 벤처가 그렇듯, 2019년의 스타트업은 불황과 실업에 몰린 이 시대 젊은이들의 생각 가능한 선택지라는 점에서는 유효한 가치를 지닌다. 하지만 그건 공부만 하던 이들이 갑자기 예체능에 도전을 하듯 생각만큼 쉬운 길이 아니다.

게다가 그들이 창업한 아이템들 대부분이 '소비' 중심이라는 점에서, 장기 불황이 예고되고 있는 우리 경제 상황에서는 위험 부담을 배제하기 어렵다. 과연, 그 '특별하고도, 특수한' 오솔길에 자신을 던질 용기, 안 그래도 하루하루 살기 힘든 이 시대 젊은이들에게 그건 또 다른 '무모한 도전' 아닐까. 체인져스의 인피니티 스톤은 어쩌면 이 시대의 또 다른 '벤처 버블'이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위험성을 내포한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SBS스페셜- 체인져스, 나도 돈벌고 싶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