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조> 포스터

영화 <조> 포스터 ⓒ (주)팝엔터테인먼트

 
*주의! 이 기사에는 영화의 스포일러가 포함돼 있습니다.

이성 간의 관계를 연구하고 커플 사이의 매칭을 도와주는 연구소에서 근무하는 조(레아 세이두). 그녀는 함께 근무하는 콜(이완 맥그리거)에게서 사랑이라는 감정을 느끼게 된다. 하지만 정작 그와의 연애 적합도 검사 결과는 0%에 불과했다. 무언가 석연찮다는 걸 직감한 조는 콜에게 이를 하소연해본다. 그런데 그에게서 돌아온 답변은 뜻밖이었다.

사실 조는 콜에 의해 설계되고 제작된 인공지능 로봇이었다. 그렇다면 그녀는 왜 스스로를 로봇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것일까? 다른 로봇들과는 달리 애초 조에게는 자신을 로봇으로 인지하는 기억과 기능을 심어놓지 않은 데다 스스로 학습하며 끊임없이 진화를 거듭해 온 덕분이다.

조는 콜을 향한 사랑의 감정을 더 이상 숨길 수 없어 이를 고백하기에 이른다. 콜은 자신이 직접 설계한 조의 끝없는 진화에 당혹스러움을 감추기가 어려웠다. 인간 이상으로 섬세한 그녀의 감정 앞에서 결국 굳게 닫혀 있던 마음의 빗장마저 서서히 열리기 시작한다.
 
 영화 <조> 스틸 컷

영화 <조> 스틸 컷 ⓒ (주)팝엔터테인먼트

 
인간과 인공지능로봇 간의 사랑

영화 <조>는 로봇이면서도 스스로를 로봇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인공지능 로봇이 자신을 설계한 남성을 사랑하게 되면서 점차 예상 밖의 진화를 거듭하고, 진짜 사랑에 눈 떠간다는 로맨스 장르의 작품이다.

콜은 지독한 실연의 아픔을 간직한 인물이다. 그가 커플 매칭 연구소에서 근무하고 있고, 인공지능로봇 개발에 몰두하게 된 건 바로 자신이 겪은 아픔을 다른 사람들은 더 이상 경험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 때문이다. 지속 가능한 연애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했다. 조의 탄생은 이의 연장선이었다.

조의 감정이 한쪽으로 급격히 기울어갈수록 콜의 감정 또한 비록 미세하지만 점차 균열이 생기기 시작한다. 더불어 갈등도 깊어간다. 실연에 의한 상처가 그를 이곳으로 어렵사리 이끌었는데, 조로 인해 또 다시 비슷한 아픔을 경험할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아울러 조의 몸짓과 생각 그리고 감정이 때로는 사람보다 섬세하여 놀라움을 자아내게 하지만, 어차피 조는 사람이 아닌 콜이 설계한 로봇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자신이 비로소 로봇임을 깨닫게 된 조, 콜에게 묻는다.

"지금 이 사랑도 설계된 것인가요?"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사랑을 갈구해 온 콜, 그리고 자신이 로봇인지조차 모른 채, 아니 알면서도 인간과의 사랑을 꿈꿔 온 조. 둘의 사랑은 과연 인간과 로봇이라는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까? 인간과 로봇 사이의 연애 적합도가 0%라는 사실은 두 개체 간의 사랑이 애초 불가능하다는 의미인데, 이를 과연 뛰어넘을 수 있을까?
 
 영화 <조> 스틸 컷

영화 <조> 스틸 컷 ⓒ (주)팝엔터테인먼트

 
영화 속에서 등장하는 조는 완벽한 사람의 형상을 띤, 모양뿐만 아니라 피부의 질감 등 물리적인 요소까지 상당히 정교하게 고안되어 제작된 인공지능 로봇이다. 극 중 조처럼 모든 측면에서 거부감이 느껴지지 않고 끊임없는 진화를 통해 사랑의 감정까지 온전히 표출하는 로봇이 우리가 사는 세상에 실제로 등장하게 된다면 과연 어떤 결과가 빚어질까?

관계에 상처받은 현대인들, 로봇으로 치유 받다

영화는 애초 콜이 설계한 의도와는 별개로 스스로 학습하고 진화를 거듭하면서 현대 기술의 총아로 불리며 현재보다는 향후 발전 가능성을 더욱 기대케 하는 인공지능기술이 어느덧 사람의 감정 영역에까지 파고들어와 영향을 미치는 단계에 이르렀음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인간관계란 누구에게든 쉽지 않은 영역이다. 특히 남녀 간의 관계는 더욱 복잡 미묘하다. 세상의 변화에 상당한 가속도가 붙으면서 근래 이로 인한 현기증을 호소하거나 관계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하는 현대인들이 급격히 늘고 있다. 여러 연유로 인해 이성 간의 교제를 회피하는 사례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콜처럼 연애 과정에서 내상을 입고 트라우마로 남아 남녀 간의 관계에 어려움을 호소해야 하는 입장이라면, 이들에겐 무엇보다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사랑이 급선무일지도 모른다. 조는 바로 이러한 사람들을 위해 특별힌 고안된 인공지능로봇 가운데 하나다. 이를 입증하듯 조에 탑재된 기능은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우리는 오프라인 온라인 가릴 것 없이 촘촘하게 연결된 이른 바 초연결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통을 위해서는 지금보다 더 많은 대가를 지불해야 하는 등 갈수록 사람들 사이에서 관계 맺기에 어려움을 토로해야 하는 실정이다.
 
 영화 <조> 스틸 컷

영화 <조> 스틸 컷 ⓒ (주)팝엔터테인먼트

 
이런 가운데 영화 속에서 스쳐 가는 몇몇 신들, 이를테면 성욕을 해소해주는 인공지능로봇이나 첫사랑의 느낌을 인위적으로 만들어주는 약물 따위가 횡행하는 장면은 지금보다 관계에 더욱 어려움을 호소해야 할 것으로 짐작되는 가까운 미래의 우리 모습을 적나라하게 묘사하고 있는 듯 싶어 괜스레 심란해진다.

인간으로부터 소외되거나 상처를 입은 사람들이 완벽에 가까운 외양과 내면을 갖춘 인공지능로봇을 이용하여 치유하고 그들의 매력에 흠뻑 빠져드는 놀라운 세상. 어쩌면 이는 결코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닐지도 모른다. 11일 개봉.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김봉건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 '새날이 올거야(https://newday21.tistory.com)'에도 실렸습니다.
이완 맥그리거 레아 세이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미래를 신뢰하지 마라, 죽은 과거는 묻어버려라, 살아있는 현재에 행동하라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