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우(최우식)가 과외를 소개받아 박 사장(이선균) 집으로 가고 있다.

기우(최우식)가 과외를 소개받아 박 사장(이선균) 집으로 가고 있다. ⓒ 씨제이엔터테인먼트

 
영화 <기생충>은 부자와 빈자 두 가족이 얽혀들면서 벌어지는 기묘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야기 구조는 비교적 단순하지만, 그 단순함 안에 강렬한 독창성과 개성, '양극화'라는 사회 현실을 모두 담았다. 몰입감이 대단하고, 보고 나면 다양한 감정이 밀려드는 영화라고도 할 수 있다. 해외 언론은 이 영화를 '풍자극'이라고 표현했는데, 봉준호가 묘사하고 창조해낸 이 작고 기이한 세계 안엔 슬픔과 분노, 소외, 연민, 웃음, 아이러니, 가족애, 안타까움 등 다양한 감정들이 표류하며 뒤엉킨다.

봉준호 감독은 "부자와 가난한 사람이 한 공간에 있을 일이 별로 없다"고 했는데, 바로 그 점 때문에 그는 '가족'에 대한 영화를 만들겠다고 마음먹으면서, 부자 가족과 가난한 가족이 만나고 뒤엉키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것 같다. 기우(최우식)는 대학생 친구로부터 과외 자리를 소개받아 IT기업 사장 집으로 간다. 이렇게 퀴퀴한 냄새가 밴 반지하에 사는 기우 가족과 유명 건축사가 설계한 너른 집에 사는 박 사장(이선균) 가족이 만난다. 

영화는 빈자와 부자를 매순간 강렬하게 대비시킨다. 그들이 사는 동네와 집, 각 캐릭터들의 사고방식과 태도, 인생의 '계획'이 있냐, 없냐는 기택(송강호)-기우 부자의 대화들을 통해서다. 마치 자신들이 빈자로 사는 것은 앞날에 계획이 없기 때문이라는 듯이 아버지와 아들은 자주 계획에 대해 말한다. 무엇보다 영화에서 부자와 빈자를 가장 날카롭게 대비시키는 모티브는 '냄새'다. 기택의 몸에 밴 냄새가 박 사장과 그의 가족의 입을 통해 여러 번 언급된다. 말 그대로 봉준호표 디테일이다. 

기택 가족은 서로 가족애가 있는 가정으로 묘사되는데, 모두 그런 것은 아니지만 빈민가의 부모와 자식은 종종 서로 갈등하고 불화를 일으키면서 소원해지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엄연한 현실임에도 무능한 기택은 자식들로부터 나름대로 애정과 존중을 받는 가장으로 묘사된다.

또 기택 가족이 자신들의 불우하고 궁상맞은 처지를 끊임없이 의식하는 데 반해, 박 사장 가족을 향해선 "순진하고 사람을 잘 믿고, 꼬인 데가 없다", "부잣집 애들은 구김살이 없어. 돈이 다리미야. 돈이 구김살을 쫙 펴준다니까"라는 대사도 등장한다. 이것은 기택의 아내 충숙(장혜진)의 대사다.

하지만 빈자가 삶의 진실을 아는 반면, 부자들은 그것을 모른다. 이 영화는 그 점도 함께 드러내고 부각한다.

한국 사회 현실 비추는 것 같아 섬뜩
 
 기택(송강호) 가족이 사는 동네.

기택(송강호) 가족이 사는 동네. ⓒ 씨제이엔터테인먼트

 
개인적으로, 박 사장은 영화의 캐릭터 중 가장 설득력이 떨어지는 평면적인 인물이라는 느낌이 들어 조금 아쉬웠다. 그렇다고 <기생충>이 허술한 작품이란 의미는 아니다. 이 영화는 스토리의 밀도가 높고, 각각의 캐릭터와 그 관계도 촘촘하게 잘 설계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홍경표 촬영감독은 "모든 스태프가 최선을 다할 수 있는 세계를 만들어준 봉준호 감독에게 고맙다"고 했다(영화홍보사 배포 보도자료). 인물들은 대부분 각자의 입장과 논리를 갖고 움직이도록 설계됐고, 따라서 관객도 그들에게 '감정이입'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

봉준호 감독은 <기생충>에서 벌어지는 일련의 '사건'에 대해 "독특하고 유니크한 상황들의 연속처럼 보일 수 있지만, 또 충분히 벌어질 수 있는 일들"이라고 설명했다. 그의 발언은 전적으로 옳다. 세상에선 어떤 일이라도 일어날 수 있고, 일어나지 못할 일 같은 건 별로 없는 것 같다. 더구나 한국처럼 역동적인 사회에선 더 그렇다. 하루가 멀다 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일들이 신문 지면을 가득 메운다.

이 영화가 보여주는 세계가 한국 사회의 현실을 거울처럼 비추는 것 같아 섬뜩하고 마음이 아프긴 하지만, 한편으론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묘사한다기 보단 현실을 '모사'한다는 느낌을 더 강하게 받았다. 현실에서 일어날 만한 개연성은 충분하지만, 그대로 현실은 아닌 기묘한 풍자이자, 신자유주의에 물든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우화이자, 현실을 똑같이 모사하는 하이퍼리얼리즘(Hyperrealism)이다. 사물을 있는 그대로 찍은 '사진'인 줄 알고 봤다가, 가까이서 보면 붓질이 보이는 '회화' 작품 같은 인상을 <기생충>에서 받았다고 할까. 

이 영화는 또 매 컷, 매 장면이 빛나는 영화라고 할 수 있다. 단 한 컷, 한 신도 대충 찍힌 것이 없고, 관객에게 높은 몰입감과 영화적 재미를 선사한다. 보통 영화는 서사의 힘이 가장 중요하고 배우와 장소(location)가 서사를 구현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고 알려졌다.

배우를 귀하게 여길줄 아는 연출자 봉준호
 
 박 사장과 아내 연교(조여정).

박 사장과 아내 연교(조여정). ⓒ 씨제이엔터테인먼트

 
봉준호 감독은 독보적인 아이디어로 신선하고 힘있는 시나리오를 완성했고, 서사를 구현할 최적의 배우와 장소를 찾았다. 아마도 온전하고 휼륭한 시나리오로 감독과 배우 이하 모든 스태프가 집중하고 몰입해 하루하루 회차마다 찍어나가는 기쁨이 컸을 것 같다. 

이 작품에도 장소 선택에서 그동안 남다른 개성과 재능을 보여온 봉준호 영화의 특징이 잘 드러난다. 개인적으로 몇 개 장소 혹은 미장센이 잔영으로 남아 있지만, 스토리 전개에 대해 최대한 노출시키지 말아달라는 언론시사회에서의 당부가 있어서 그에 대해 언급하기가 어렵다.

이 작품은 공간의 수가 적은 편이라 더 몇몇 장소와 그 장소를 비추는 카메라 앵글이 기억에 남는다. 아마도 극장을 찾을 관객들도 비슷한 감흥을 느낄 것이다. 또 봉준호의 장기인 영상과 음악의 모순된 매치와 이를 통해 발생하는 '아이러니'도 여러 군데서 볼 수 있다. 영상은 슬픈데, 음악은 경쾌해 웃픈 감정을 유발하는 식이다.  

봉준호 영화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 한 가지 더 말하고 싶은 것은 그가 배우를 사랑하고 귀하게 여기는 연출자라는 점이다. 사실 배우 연기에 대해 잘 모르고, 좋은 연기를 끌어내는 방법에 대해 무지한 감독도 많다. 연기를 잘 모르기 때문에 그냥 배우를 믿고 맡긴다고 말하는 감독도 의외로 많다. 그러면서 배우를 '도구화'하는 감독도 적지 않다.

그런데 봉준호 감독은 공식적인 자리에서 항상 배우들에 대한 찬사를 아끼지 않고 그들에게 영광을 돌리곤 한다. 일례로 그는 "괴물 같은 대배우 송강호에 의지해 <살인의 추억> 오프닝을 찍었다"고 말했다. 그는 자기 영화가 스크린에 투영돼 생생한 생명력을 갖기까지 배우들이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잘 아는 예술가다. 자신을 낮추며 배우를 추켜올리는 태도는 영화를 지망하는 초심자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된다. 

그래서인지 배우들 사이에 흔히 '합' 혹은 '케미'라고 불리는 '앙상블'이 이 영화에서 유난히 좋다. 이들의 앙상블은 장소와 결합해 화면에서 생생하게 빛이 난다. 현장에서 배우들이 서로 돋보이려고 신마다 기싸움을 하는 것은 흔한 일인데, 감독은 이를 항상 염두에 두고 이들이 서로 조화와 균형을 이루도록 해야 한다는 조언을 종종 듣는다. 이 작품의 경우 이러한 기싸움이나 분량에 대한 문제가 아니라 노련한 배우들 간의 앙상블을 느끼며 즐겁게 영화를 볼 수 있는 것 같다.

30일 개봉. 러닝타임 131분. 15세 이상 관람가.
 
 기택 가족이 사는 반지하 집.

기택 가족이 사는 반지하 집. ⓒ 씨제이엔터테인먼트

 
기생충 칸영화제 봉준호 송강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