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승의 은혜는 하늘같아서 우러러 볼수록 높아만지네."

'스승의 노래' 가사가 무색해진 시대다. 과거에는 가장 이상적인 '직업'으로 선생님이 환영받았지만, 최근에는 그렇지 못하다.

선생님을 더 이상 '존경'하지 않는 시대, 그렇다면 이 시대 '선생님'의 자리는 어디에서 찾아야 할까? 스승의 날을 맞아 방송된 EBS 특집 다큐멘터리 <우리들의 선생님>은 조금은 다른 방법으로 아이들을 만나는 선생님들의 모습을 조명했다.
 
1부 '괜찮아, 선생님이 있잖아' 편
 
 장정호 , 김재복 한마음 고등학교 선생님

장정호 , 김재복 한마음 고등학교 선생님 ⓒ EBS

 
충남 천안시 동남구 동면, 주변에 보이는 거라곤 온통 논과 밭뿐인 그곳에 전교생 60명의 대안학교 한마음 고등학교가 있다. 한 학급 학생은 총 20명, 김재복 선생님은 역사수업 시간에 칠판 가득 필서를 하며 열심히 설명한다. 하지만 그 앞의 학생들 모습이 가관이다. 책상에 엎드려 자는 학생, 열심히 휴대폰 삼매경에 빠진 학생까지 제대로 수업을 듣는 학생이 없다. 하지만 선생님은 그 누구에게도 야단을 치지 않는다. 지적하지도 않는다. 한마음 고등학교의 흔한 수업 시간 풍경이다.

한편 농업과 환경을 담당하는 장정호 선생님의 오늘 수업은 도랑 정화 활동이다. 장화를 신고 도랑에서 쓰레기를 건져내는 선생님, 하지만 아이들은 태반이 구경할 뿐이다. 하지만 선생님은 낙관적이다. "지난주에는 2명이 함께 했는데, 이번주에는 무려 그 두 배인 4명이 참여했다"고 한다. 이어 "아마도 다음주엔 더 많은 학생들이 함께 할 것"이라고 선생님은 낙관적으로 전망했다. 

그런데 황당하게도 장정호 선생님의 전공은 국어였다. 하지만 이 학교로 온 후 선생님은 자청해서 필요한 곳이라면 그 어디든 달려간다. 그뿐만이 아니다. 학교에 안 온 아이를 틈틈이 전화를 걸어 혹시나 무슨 일이 있나 챙겨주고, 전 학교에서 왕따로 상처받았던 학생에게 면박을 받으면서도 포기하지 않고 조금씩 다가간다. 그래서일까, 마음을 닫았던 아이들이 조금씩 달라진다. 상처받았던 아이가 마음을 열고 웃음을 짓고 세상에 다시 뿌리를 내리기 시작한다.

한마음 고등학교에는 기존 정규 고등학교에서 적응을 못해서 온 학생들이 많다고 한다. 두 선생님 김재복, 장정호 선생님이 온 이후로 아이들이 많이 달라졌다. 자연 친화적 교육과 현장 교육을 중요시하는 학교의 모토에 따라 아이들은 스스로 농사도 짓고, 동물들을 키운다. 선생님들도 교사인지 농부인지 구분하기 어렵지만 선생님은 아이들이 스스로 하고자 하는 일이라면 상관이 없단다. 아이들이 딸기를 심고 싶다면, 달려가 모종을 사오는 것을 마다하지 않는 선생님. 이들은 "이렇게 아이들과 약속을 지키는 게 중요하다"고 말한다.

아이들은 농부의 꿈을 키우고 식물과 가축의 보호자가 되고, 가정사로 오랜 기간 정신과 치료를 받던 아이가 이젠 자신보다 어려운 친구의 든든한 멘토로 거듭난다.

2부 '슈퍼맨 아빠와 9남매' 편
 
 흘리 분교 이기도 선생님

흘리 분교 이기도 선생님 ⓒ EBS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흘리'는 우리나라 최초로 스키장이 만들어졌던 마을이다. 하지만 스키장은 13년 전 폐장했고 66년 역사를 자랑하는 흘리 분교만 남아있다. 3년 전 흘리 분교는 전교생 4명으로 폐교 위기를 맞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은 전교생 9명 교사 3명으로 위기를 극복하고 있다. 학교에 활기를 불어넣고 학교를 변하게 만든 주인공은 '슈퍼맨' 이기도 선생님이었다.

흘리의 아침, 복도가 왁자지껄하다. 아이들은 교실 앞 복도에서 롤러브레이드를 타며 하루를 시작한다. 한바탕 놀고 난 뒤에야 아이들은 각자의 교실로 돌아간다. 이기도 선생님의 3학년 교실에는 단 두 명뿐이다.

이기도 선생님은 전교생 '아홉 명의 산골 학교'에서만 가능한 수업을 만들기 위해 밤낮으로 바쁘다. 전교생이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는 여기저기 '자전거 품'을 팔았다고 한다. 덕분에 아이들은 저마다의 '자가용'을 타고 마을을 달린다. 계절에 맞춰 감자 등 여러 채소를 심고, 교무실에서 부화한 병아리들이 뛰어 놀 수 있는 사육장을 아이들과 함께 만들었다. 

표현력은 풍부하지만 아직 한국어가 어눌한 은지를 위해서 방과 후 수업은 물론 조부모님과 함께 사는 은지네에 가정방문까지 하면서 열정을 발휘한다. 눈이 오고, 꽃이 피는 자연 그대로가 수업이 되는 학교를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이기도 선생님. 그 덕분에 흘리 분교가 좋아서 찾아오는 학생들도 늘어났다고 한다.

하지만 이기도 선생님은 아직 신입생 소식이 들리지 않아 걱정스럽다. 결국 9명의 학생들과 3명의 선생님들이 총출동해 '흘리 분교 뮤직비디오' 만들기에 나섰다. 아이들이 직접 노래 가사를 바꾸고, 콘티도 작성했다. 자연 속에서 뛰노는 아이들이 "흘리로 오세요"라고 외치는 뮤직비디오에는 폐교 걱정없는 흘리 분교의 건강한 내일이 담겨 있다.

3부 '뜨겁게 그리고 따뜻하게' 편
 
 부원 중학교 송미정 선생님

부원 중학교 송미정 선생님 ⓒ EBS

 
아이들이 '수포자'(수학 포기한 사람)와 '과포자'(과학 포기한 사람)가 되는 건 언제쯤일까.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이르면 중학생부터 포기하기도 한다. 조금씩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인천 부원중학교 송미정 선생님의 과학 수업 시간에는 그런 일이 없다. 암석에 대해 배우는 수업시간, 아이들이 어려워 하는 건 수업 내용이 아니라 게임이었다. 선생님은 암석을 게임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냈고 덕분에 아이들은 보드게임을 하듯이 암석에 대해 익혀간다.

송미정 선생님은 아이들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수업을 만들고 싶단다. 그는 교직생활 10년 차 즈음부터 '과학교사 모임'에 나가기 시작했는데 지금까지 한 번도 빠지지 않고 개근하고 있다. 무려 '과로'로 토하면서까지도.

선생님의 재밌는 수업은 이렇게 오랜 연구와 토론을 통해 만들어졌다. 송미정 선생님은 직접 만든 각종 수업도구를 모아둔 자신의 '보물창고'까지 마련했다. 교과서에 나온 내용이라도 좀 더 재밌고 신기하고 색다르게 가르치기 위해 쉴 틈이 없다.
 
 백운자 선생님

백운자 선생님 ⓒ EBS



인천에는 송미정 선생님이 있다면, 충남 당진에는 백운자 선생님이 있다. 백운자 선생님은 십여 년 넘게 아이들의 독서토론 수업을 이어오고 있다. 이른 시간 아침을 먹지 않고 나오는 아이들을 위해 선생님은 매일 아침 아이들의 아침을 준비한다. 오늘의 아침 메뉴는 선생님표 수제 샌드위치였다. "성장기의 아이들에게는 아침 식사가 중요하다"는 선생님은 매일 아침 아이들의 아침 만들기를 기꺼이 자청한다.

어디 아침뿐일까. 하루 수업이 끝나면 선생님은 가정 형편 때문에 학원을 다니지 못하는 아이들을 위해 방과 후 공부방도 책임진다. 역시 거기에도 빠지지 않는 선생님표 저녁밥. 오늘의 메뉴는 카레였다. 그리고 밤 9시까지 홀로 공부하는 아이들과 함께하다가, 집이 먼 아이들을 차로 데려다 주고 나면 선생님의 하루 일과가 마무리 된다.

백운자 선생님에게는 누가 선생님인지 구분이 안 될 만큼 비슷한 연배로 보이는, 까마득한 옛 제자도 있다. 초임 교사 월급이 12만 원이었던 시절, 백운자 선생님은 제자 김경래씨가 가정 형편 때문에 진로를 고민하자 월급의 절반 정도나 되는 큰 돈을 기꺼이 건넸다고 한다. 김경래씨는 "'일단 네가 좋아하는 일을 하라'고 격려해주신 덕분에 지금의 자기가 있을 수 있었다"며 감사를 전한다. 정년을 앞둔 백운자 선생님은 이제 제자들과 함께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아 아쉽기만 하다.

이 선생님들의 공통점

자신을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람이라 불러주는 제자들이 있는 것만으로 행복하다는 백운자 선생님. 하루 종일 뛰고 또 뛰는 열정 파워 우먼 송미정 선생님, 그리고 슈퍼맨 이기도 선생님. 선생님인지 농부인지 구분하기도 어렵지만 우리 아이들이 어제보다 조금 나은 오늘, 그리고 조금 더 자신을 찾아가는 내일이라면 상관없다는 김재복, 장정호 선생님. 이 선생님들의 공통점은 무엇이었을까.

아마 각자 방식은 달라도 모두 학생을 최우선으로 두고 노력한다는 점이 아닐까. 세 편의 다큐멘터리에서 선생님들은 모두 학생들이 보다 재밌고, 보다 즐겁게 자신의 꿈을 찾아갈 수 있도록 끊임없이 애쓰고 노력하고 있었다. 그리고 전부 다 바빴다. 학생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배려하려 했고, 작은 약속이라도 학생들과의 약속은 꼭 지키려 했다. 그리고 정해진 수업 교과를 넘어 살아있는 교육을 하기 위해 노력했다. '교권의 위기'라고 불리는 2019년 방송된 세 편의 다큐멘터리는 우리에게 '진정한 선생님의 모습'에 대해 보여주고 있는 듯하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EBS특집 다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