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원의 골목식당>의 한 장면

<백종원의 골목식당>의 한 장면 ⓒ SBS

 
"시작하기 전 미리 말씀드리지만, 일반골목하고 청년몰은 강도가 다릅니다. (...) 혹독하게 트레이닝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지난 경험들을 통해 어느 정도 예상이 됐던 걸까, 아니면 제작진으로부터 언질을 받았던 걸까. 여수 꿈뜨락몰을 찾은 백종원의 표정은 어두웠다. 어쩌면 대전 청년구단 편이 떠올랐는지도 모르겠다. 솔루션의 대상이 장사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청년들이다보니 제대로 가르치겠다는 생각이 들었던 모양이다. 백종원은 작심한듯 '(솔루션의) 강도가 다르다', '혹독하게 할 것이다'라고 엄포를 놓았다. 분위기가 심상치 않았다. 

몰래 꿈뜨락몰에 잠입한 백종원은 차례차례 가게 내부를 살펴보기 시작했다. 첫 번째로 들른 다코야키집은 위생 상태가 엉망이었다. 철판과 냉장고 등 문제가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조리 방법에도 심각한 문제가 드러났다. 사장님은 공구용 드릴에 조리 도구를 끼워 반죽물을 만들었는데, 플라스틱 통을 사용해 백종원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또 싯누레진 행주로 다코야키 철판을 닦고 다코야키를 구워 나갔다. 알고서는 도저히 먹기 어려울 정도였다. 

두 번째로 방문한 수제버거집은 다행히 큰 문제는 발견되지 않았다. 청소 상태도 다코야키집보다 훨씬 나았다. 주방 곳곳에 '나는 수제버거로 성공한다'는 자기최면 문구가 붙여져 있었는데, 백종원은 그런 의욕적인 모습에 만족스러워했다.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사장님은 쉬는 날에는 건설 현장에서 일용직을 하고, 밤에는 대리운전을 하고 있다고 했다. 문제는 수제 버거에 특색이 없고, 맛도 평이하다는 것이었다. 백종원은 '고민을 해보자'는 말을 남긴 채 마무리했다. 

가장 큰 논란은 꼬치집에서 발생했다. 우선, 수제꼬치라고 홍보를 하면서 꼬치와 양념 모두 기성품을 사용했다. 손님을 기만한 것이었다. 또 위생 상태는 최악이었다. 석쇠 바닥에는 조리 과정에서 떨어진 양념이 석탄 덩어리처럼 굳은 채 방치돼 있었고, 냉장고 안에는 밀봉하지 않아 변질된 꼬치들이 가득 쌓여 있었다. 내부에 비치된 쓰레기통에선 악취가 났다. 방송을 대비해 청소를 한 듯했지만, 보이는 곳만 대충 닦은 흔적이 뻔히 보였다. 

"방송한다고 해서 청소 했죠? 그 전에는 청소 안 했죠?"
 
 <백종원의 골목식당>의 한 장면

<백종원의 골목식당>의 한 장면 ⓒ SBS

 
"나는 내가 싫으면 그만이야. 그렇죠? 나는 거짓말 하는 건 못 참아. 모르거나 실수는 다 이해하는데, 거짓말 하는 건 못 참아요. 방송한다고 해서 청소 했죠? 그 전에는 청소 안 했죠?"

지난 8일 방송된 SBS <백종원의 골목식당>은 한 편의 드라마를 보는 것 같았다. 백종원이 가게 내부의 위생 상태를 지적하면서 격한 말들을 쏟아내면 상황실의 정인선은 연신 토끼눈을 뜨고 놀란 표정을 지었다. 또 문제의 사장님들을 불러놓고 백종원이 기본이 안 되어 있다고 큰소리로 꾸짖으면 사장님들은 잔뜩 움츠러들었다.

(늘 그렇지만) 백종원의 분노를 이해하지 못하는 건 아니다. 그는 사장님들에게 큰 것을 바라지도 않았고, 무리한 요구를 하지도 않았다. 백종원이 집중한 건 오로지 '위생'과 '청결'이었다. 그것이 요식업의 기본정신이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경험과 기술이 부족할 수밖에 없는 청년 사장님들이었기에 그런 접근은 옳아 보였다. "나는 이렇게는 못해요. 기본은 해야 도와주고 말고 할 거 아니에요"라는 백종원의 심정은 충분히 공감됐다.

그러나 한 가지 간과한 것이 있다면 현재 꿈뜨락몰 사장님들이 처해 있는 상황이다. 그들은 현재 '패잔병'이다. 2018년 7월 개장한 여수 꿈뜨락몰(중앙시장)에는 총 29개의 매장이 있었다. 그 중 먹거리 업종은 19개였고, 초기 19일 동안의 매출액은 8434만 원에 달했다. 그러나 얼마 가지 못해 매출은 하락세로 접어들었다. 초창기에 한 번씩 들렀던 시민들이 더 이상 흥미를 갖지 못했기 때문이다.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밀어붙인 사업의 한계인 셈이다. 

청년 창업의 꿈을 안고 사업에 뛰어들었지만
 
 <백종원의 골목식당>의 한 장면

<백종원의 골목식당>의 한 장면 ⓒ SBS

 
손님이 줄어들자 버틸 재간이 없던 점포들이 썰물처럼 빠져나갔다. 그 결과 지금까지 남아 있는 곳은 식당 6곳이 전부였다(그 6곳은 모두 <골목식당>에 출연했다). 그마저도 일 매출이 0원인 경우도 있다고 하니 상황이 얼마나 열악한지 짐작케 한다. 청년 창업의 꿈을 안고 사업에 뛰어들었지만, 현실의 벽은 너무도 높았다. 의욕은 넘쳤지만, 준비는 부족했다. 안타까운 일이다. 그렇다고 이들에게 모든 책임을 묻는 게 합당할까?

꿈뜨락몰이 위치한 여수 중앙시장은 도심 공동화와 상권 침체로 건물 2층 점포의 80%가 빈 상태로 방치돼 있었다. 죽어버린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해 중소벤처기업부 광주전남청과 여수시가 계획한 사업이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꿈뜨락몰이었다. 분야별 전문가 컨설팅, 1년 간 임대료 지원, 5년 간 임대 보장 등의 혜택이 주어졌지만, 애시당초 유리한 입지 조건은 아니었던 셈이다. 결과는 보다시피 패잔병만 남았다. 

떠날 수 있는 사람은 이미 떠났다. 방송에 출연한 저 청년 사장님들은 그조차도 할 수 없는 이들이다. 그야말로 막다른 골목에 몰려 있는 것이다. 장사가 되지 않으니 재고 관리가 될 리 없다. 손님이 오지 않으니 의욕이 생길 리 없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낙담한 패잔병에게 날렵한 군기를 기대하긴 어려운 법이다.

물론 백종원의 지적은 타당했고, 사장님들이 요식업의 기본적인 소양이 부족했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지금의 비난은 너무 혹독하다는 생각이 든다. 애석하게도 <골목식당>을 통해 서민이 서민을 욕하는 대립 구도가 형성되고 있고, 심지어 '청년 혐오'를 연상케 하는 비방이 쏟아지는 상황이 과연 어떤 긍정적인 요소를 가져다줄지 의문이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필자의 개인 블로그 '버락킴' 그리고 '너의길을가라'(https://wanderingpoet.tistory.com)에도 실렸습니다.
백종원의 골목식당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너의 길을 가라. 사람들이 떠들도록 내버려두라.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