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은 세계 여성의 날이다. 1908년 3월 8일 미국의 여성 노동자들은 근로 조건 개선과 참정권 보장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 여성이 한 사람의 인간으로 동등하게 대접받기 위해서 무려 111년의 역사가 필요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유엔은 3월 8일을 여성의 날로 정했다.
   
 < MBC 스페셜 > '핑크를 찢다 화가 윤석남' 편의 한 장면.

< MBC 스페셜 > '핑크를 찢다 화가 윤석남' 편의 한 장면. ⓒ MBC

 
< MBC 스페셜 >은 여성의 날을 기념해, 우리나라 여성주의 미술의 대가인 윤석남을 소개했다. 윤석남을 찾아간 사람은 다름 아닌 모델 한혜진이었다.

1939년 만주 봉천 출생, 올해로 팔순이 넘었다. '팔순 어르신'이라는 단어에서 떠올릴 수 있는 모습과 한혜진을 맞이하는 윤석남 화가의 모습은 확연하게 달랐다. 희끗희끗 하지만 자유분방 하게 휘날리는 머리, 검버섯이 피었음에도 생기가 넘치는 표정, 젊은층들이 즐겨 입는 '조거 팬츠'에 '패딩 조끼' 등 남다른 패션 센스까지.

그리고 툭툭 마디가 불거져 나온 두툼하고 단단한 손은 또 어떤가. 팔순 노인이라고 믿기 어려운, 자신의 작업에 흠뻑 빠져있는 한 예술가의 모습이었다.

핑크를 찢다
 
 < MBC 스페셜 > '핑크를 찢다 화가 윤석남' 편의 한 장면.

< MBC 스페셜 > '핑크를 찢다 화가 윤석남' 편의 한 장면. ⓒ MBC

 
3남 3녀의 셋째로 태어난 윤석남. 아버지는 아들을 보고 싶어서 그의 이름을 '석남'이라 지었다. 하지만 그 아버지는 가장의 몫을 다하지 못하고 그가 어렸던 때에 돌아가셨다. 당시 어머니 나이는 서른 아홉, 막내가 겨우 두 살이었다. 집안을 어렵게 이끌어간 어머니를 보며 석남은 학교도 마다하고 가정일을 돌보려 했다. 그러나 어머니가 오히려 '학교는 마쳐야 한다'고 고집하셨다고 한다. 그래서 그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바로 직장생활을 했고, 또래의 여성들처럼 결혼을 하고 시어머니를 모시고 아이를 키웠다. 그렇게 마흔이 되었다. 하지만 계속 그렇게 살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 다시 그림을 시작했다. 꽃과 풍경 대신 그는 어머니와 자기 주변의 여성들을 그렸다. 윤석남은 그저 '그게 눈에 들어왔다'고 말했다. 아이 키우랴, 돈 벌랴, 살림하랴 경황 없었던 자신의 어머니를 모티브로 한 '손이 열이라도' 역시 그렇게 그린 그림이다. 윤석남표 여성주의 화풍의 시작이었다.
 
 < MBC 스페셜 > '핑크를 찢다 화가 윤석남' 편의 한 장면.

< MBC 스페셜 > '핑크를 찢다 화가 윤석남' 편의 한 장면. ⓒ MBC

 
그의 대표작으로는 '핑크 소파'를 꼽을 수 있다. 화려하게 장식된 소파, 하지만 한 켠에는 가시가 삐죽삐죽 솟아있다. 소파는 휴식을 취하기 위해 앉는 곳이지만 그에게 그 소파에 앉는 삶은 가시방석과 같았다. '고급스럽고 화려한 삶이지만 이게 과연 나의 삶인가 고민했다'던 그녀는 화려한 소파를 박차고 나왔다. 윤석남은 자신의 작품에 삶의 이야기를 담아냈다. 윤석남의 여성주의는 곧 그녀의 삶이었다.

윤석남은 남편의 월급 봉투를 통째로 들고 화방에 가서 화구를 샀다. 그리고 남편에게 '이제부터 그림을 그릴 건데 그게 싫으면 이혼하자'고 선언했다고 한다. 그때부터 그는 하루에 12시간씩 누군가의 아내, 누군가의 엄마가 아닌 화가의 길을 걸었고 3년 만에 개인전을 열었다. '추상화풍'이 지배하던 당시의 화단에서 그의 독특한 화풍은 주목 받았다. 이어 그는 '나무'를 활용한 설치미술 작업을 시작했고, 1995년 베니스 비엔날레에도 초청되는 등 해외 미술계에서도 그를 주목하기 시작했다. 유화로 시작해 나무, 드로잉, 설치미술까지 여성들의 이야기라는 얼개만 남기고 온갖 미술 장르를 종횡무진했다. 그는 결국 여성으로서는 처음으로 이중섭 미술상과 국무총리상을 받기에 이르렀다.

여성주의 화가로서
 
 < MBC 스페셜 > '핑크를 찢다 화가 윤석남' 편의 한 장면.

< MBC 스페셜 > '핑크를 찢다 화가 윤석남' 편의 한 장면. ⓒ MBC

 
하지만 윤석남은 그저 자기 주변의 여성에만 천착하지 않았다. 이매창, 허난설헌, 김만덕 등 재능은 있었지만 뜻을 펼치지 못한 우리 역사 속 여성들까지 그의 그림 속에서 살아났다. '페미니즘 작가', '여성주의 미술의 대모'라는, 그를 따라다닌 이름표에 고심한 결과물이었다. 우리 사회 속 여성 문제에 대한 이야기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가 우리 사회에 화두로 오르기 이전에도 관심을 기울여 '나눔의 집'이 세워질 당시 자신의 작품을 기부하기도 했다.

그의 관심은 여성을 넘어 생명으로 이어졌고, 유기견 1025마리를 나무에 아로새기느라 허리 수술까지 감내해야 했다. 그럼에도 늘 여전히 그는 고민한다. 혹시 자신이 세상의 이목을 끌기 위해 작품을 하는 것은 아닐까. '자기 만족에 빠진 미친 사람들'이라며 자신과 같은 예술가를 정의내린 윤석남 화가, 하지만 그는 단호하게 마무리 한다. "어쨌든 난 최선을 다했다"고.
 
 < MBC 스페셜 > '핑크를 찢다 화가 윤석남' 편의 한 장면.

< MBC 스페셜 > '핑크를 찢다 화가 윤석남' 편의 한 장면. ⓒ MBC

 
팔순이 넘은 그는 40년 동안 한번도 시도하지 않았던 한국적 '채색화'를 그리느라 자신의 자화상 연습만 1000장을 넘게 하고 있다고 한다. 그야말로 회사원처럼 매일 일정한 시각에 출근해서 하루종일 작업에 몰두하는 일상을 보내고 있다. 주변에서는 '하던 대로 예술적 감흥이 더 큰 설치 작품을 하는 게 작가의 명성에 더 도움이 되지 않겠냐'고 새로운 시도에 대해 냉정한 평가를 내리기도 한다. 하지만 윤석남은 '더 늦기 전에 자신의 생애에 기억이 남는 관계들을 남기고 싶다'고 밝혔다. 우리의 전통 그림 중 여성의 초상화가 없다는 사명감도 있다.

여성의 이름으로 여성의 삶을 예술로 알리고, 대표적인 여성 예술가가 된 윤석남의 이야기는 또 다른 여성 한혜진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친근하게 전달된다. 윤석남이란 화가를 소개하는 것을 넘어, 작품을 들고 찾아가는 전시회를 마련해 세상과 소통을 도모한다.
 
 < MBC 스페셜 > '핑크를 찢다 화가 윤석남' 편의 한 장면.

< MBC 스페셜 > '핑크를 찢다 화가 윤석남' 편의 한 장면. ⓒ MBC

 
윤석남이 그렸던 어머니의 이야기는 전북 남원 구룡마을로 찾아 들었다. 그곳에서 평생을 살아온 노인들에겐 생전 처음 해보는 미술 관람이었다. 하지만 할머니들은 곧 '내 모습 같다'고 고개를 끄덕였다. 포항 공대 미술관을 '개판'으로 만든 1025마리의 '사람과 사람없이'라는 작품은 고상한 대상이 아니라 익숙한 대상이었다. 개들의 눈빛은 보는 사람으로하여금 버려진 생명에 대한 관심과 연민을 불러 일으킨다.
나무에 서로 다른 표정의 여성들을 새긴 작품 '빛의 파종'은 충북 청주에 있는 여성들을 찾았다. 이제 곧 사회에 나서야 하지만 도전보다는 제약과 한계에 고민이 많은 청주의 젊은 여성들은 작품에 공감했다.

< MBC 스페셜 >은 여성의 날 111주년을 맞아 특별한 선언보다는 그저 여성의 삶에서부터 시작된 '여성주의'를 보여줬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우리 여성주의 미술의 대모 윤석남 화가가 있었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MBC스페셜-핑크를 찢다, 화가 윤석남> 여성의 날 핑크 할머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