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우묵배미의 사랑> 포스터.

영화 <우묵배미의 사랑> 포스터. ⓒ 모가드코리아

 
화려한 옛 시절을 간직하지 못하고, 한국 영화 최악의 작품으로 많은 사람이 손꼽는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 감독이 된 장선우. 그는 세기말에 <거짓말>로 한국 영화계 최고의 파격을 선보였다. 그러나 이후 <나쁜 영화>와 더불어 괜찮지 못한 길로 발을 내디뎠다.

그는 일찍이, 그러니까 1980년대부터 '좋은' 영화들을 선보였다. 90년대 들어서 보다 논쟁적으로 변했지만 자못 성공적으로 당대를 비췄다. 단 한 작품도 빼놓지 않고 연출은 물론 각본까지 직접 수행했다. 주로 원작이 있는 작품들이었는데, <우묵배미의 사랑> <경마장 가는 길> <화엄경> <너에게 나를 보낸다> <꽃잎> <거짓말>이 대표적이다. 

올해 출연배우들의 열렬한 환영 속에서 30여 년 만에 재개봉한 <우묵배미의 사랑>은, 1990년에 개봉하여 그야말로 90년대 한국 영화의 새로운 시작을 알린 작품이다. 당대를 비추는 새로운 창이라고 할 수 있을까. 그 방법론에 있어서 사실주의로 부드럽게 선회하였다. 장선우 감독의 영화 인생 절정기이기도 하다. 

작디작은 마을의 '금지된 사랑'
 
 영화 <우묵배미의 사랑>의 한 장면.

영화 <우묵배미의 사랑>의 한 장면. ⓒ 모가드코리아

 
서울 바닥에서 놀고 먹던 일도(박중훈 분)는 아내(유혜리 분) 그리고 갓난 아기와 함께 경기도 한적한 마을 우묵배미로 이사온다. 능력은 있었던지 자그마한 치마공장에 취직되어 미싱을 돌리게 된 것이다. 그런데 제 버릇 개 못 준다더니 일도는 치마공장 옆자리에 앉은 공례(최명길 분)에게 관심을 보인다. 

공례는 시어머니를 모시고 살며 네댓 살 먹은 아들이 하나 있는데, 문제는 남편이다. 무차별적인 남편의 폭력, 공례는 일도의 관심을 외면할 도리가 없다. 그들은 일도의 첫 월급날 밤 기차를 타고 서울로 가 여관에서 하룻밤을 보낸다. 

마음의 준비가 덜 된 공례와 그런 공례가 답답한 일도, 둘은 각각 남편과 아내에게 한바탕 얻어맞고는 출근해서 함께 웃으며 희한한 우애를 다진다. 전에 없이 가까워진 일도와 공례는 본격적으로 외도를 시작한다.

흔한 시골 마을에서, 흔한 남녀가, 흔한 불륜 관계를 맺는 이야기에 무슨 의미가 있을까 싶지만, 영화는 그 자체로 1980년대에서 90년대로 넘어가는 한국 사회의 찌질한 천태만상 중 한 단면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그리고 영화의 의미는 시간이 갈수록 퇴색되는 게 아니라 선명해진다. 

소외된 소시민들의 사랑
 
 영화 <우묵배미의 사랑>의 한 장면.

영화 <우묵배미의 사랑>의 한 장면. ⓒ 모가드코리아

 
<우묵배미의 사랑>에서의 불륜이자 로맨스는 흔한 소재다. 그리고 이 영화에 자연스럽게 빠지게 만드는 수단에 불과하다. 두 주인공 일도와 공례는 완벽한 '스테레오 타입'이지만 날 것의 현실 같은 연기가 전형성과 지루함을 압도한다. 

일도는 화려한 서울 생활을 뒤로 하고 시골 변두리로 오게 된 소시민이다. 영화는 서울 아닌 시골에서의 소시민을 조명한다. 특히 이 영화는 소시민이 갖는 특성 중에서도 '소외'에 보다 방점을 찍고 '시골'을 소외의 공간으로 치환했다. 그런 곳에서의 '사랑'은 당연히 특별할 게 없지만, 특별할 게 없는 사랑이기에 그런 '곳'으로 시선이 돌아가는 것이다. 우묵배미의 '사랑'이 아닌 '우묵배미'의 사랑. 소외된 소시민들의 사랑은 어떤 모습일까. 

보다시피 별반 다르지 않다. 영화는 어딜 가나 사랑의 모습은 똑같고 그 주체가 소외된 소시민일지라도 마찬가지라고 말하고 있다. 사랑을 불륜으로 바꿔도 똑같다. 영화는 소외된 자들의 모습들을 수면 위로 끌어올리며 똑같다고 말한다. 

1980, 90년대 한국의 전형적인 형상
 
 영화 <우묵배미의 사랑>의 한 장면.

영화 <우묵배미의 사랑>의 한 장면. ⓒ 모가드코리아

 
일도와 공례의 밤기차 밀애, 일도는 말한다. "우린 계속해서 이렇게 샛길로 가야 할 거예요." 찌질한 현실에서 도피해 남몰래 가는 짜릿하지만 불안할 길. 공례는 답한다. "멀고 험한 길은 재미가 없잖아요." 일도가 말한 샛길을 함께 가겠다는 대답이다. 그녀는 끝날 것 같지 않은 힘든 현실에서 탈출하고 싶다. 

비단 한국뿐이겠냐마는, 한국의 1980~90년대는 호황 중의 호황이었다. 30여 년 전이라곤 믿기 힘든 고층빌딩들이 도시에 즐비했다. 수많은 사람들이 그곳으로 몰려들어 호황을 만끽했다. 짧은 새 도시의 모습이 시시각각으로 변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남녀의 관계는 변하기 어려웠다.

일도는 놀고 먹는 놈팡이로 집에서는 아내한테 꼼짝 못하고 살지만, 밖에서는 남자라는 이유 하나로 떵떵거린다. 시어머니를 모시고 사는 공례는 이유 없는 남편의 폭력에 상습적으로 시달린다. 한 명, 파격적일 수도 있는 인물이 있는데 일도의 아내이다. 그녀는 아내임에도 남편을 육체적으로 압도한다. 

하지만 그녀조차 아이가 있기에 남편을 버리지 못한다. 정신 못 차리고 사는 남편을 시댁에 데리고 가서 화해 아닌 화해를 하고, 그의 외도를 알면서도 다시 챙겨주며 잘 살아보려 한다. 시대가 낳은, 시대가 만든 어쩔 수 없는 좌절의 형상이다. 

물론 이 영화를 단순히 가부장적인 시대를 그린 전형적인 작품이라고 재단할 수는 없다. 일도의 아내가 맞닥뜨린 절망을 있는 그대로 그린 점은 또 하나의 빛나는 성취로 관객에게 다가온다. 이 영화는 개봉한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난 뒤에도 오히려 그 가치가 더욱 선명해진다. 2018년도 끝을 향해 가고 있다. 지금의 영화들이 비추는 2010년대의 전형적인 형상은 어떤 모습일지 자못 궁금해진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singenv.tistory.com에도 실립니다.
우묵배미의 사랑 장선우 1990년대 한국사회 소외된 소시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冊으로 策하다. 책으로 일을 꾸미거나 꾀하다. 책으로 세상을 바꿔 보겠습니다. 책에 관련된 어떤 거라도 환영해요^^ 영화는 더 환영하구요. singenv@naver.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