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디 머큐리를 처음 만난 건 책받침이었다. 내 학창 시절 '우상'들은 책받침에 도배되어 있었다. 국내의 아이돌이 아직 등장하기 전이던 그 시절에 '레이프 가렛'과 '숀 캐시디'에 소녀들은 열광했고, 그들의 얼굴은 학교 앞 문구점에 이른바 '굿즈' 같은 책받침 등으로 걸려 있었다.
   
 보헤미안 랩소디

보헤미안 랩소디 ⓒ 이십세기 폭스 코리아

   
그렇게 외국의 아이돌이 도배한 사이에 이질적인 한 인물이 있었다. 프레디 머큐리. 자칭 '퀸'의 열성 팬이었던 한 친구는 프레디 머큐리가 이끄는 퀸은 미국의 아이돌들과는 격을 달리하는 '뮤지션'이라고 했다. '포스 넘치는 태도로 마이크를 들고 대중을 내려다 보는 프레디 머큐리의 모습은 그렇게 책받침을 통해, 열성적인 한 소녀 팬을 통해 각인되었다. 하지만 그 시절 '라디오'를 통해 만나는 '퀸'의 음악은 그저 여러 좋은 음악 들 중 하나 일 뿐이었다.
 
그리고 맞이한 프레디의 죽음. 언제나 많은 아티스트들을 소비하는 방식이 그러했듯, 그의 음악보다는 그의 병명이 우리를 더 솔깃하게 했다. 그리고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어느덧 퀸은 예능과 스포츠 등 다양한 미디어의 배경음악으로 친숙한 존재가 되어갔다. 나만이 아니었을 것이다. 팬이 아니었던 많은 이들에게 퀸은 그렇게 몇 십 년의 세월동안 조금씩 스며들었다. 그리고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가 개봉했다. 두 말 않고 달려갔다. 1970년대 그들이 활동하던 시기부터 2018년까지 수십 년의 세월을 두고 내 귀에, 내 머릿속에, 내 기억에 저장된 퀸이 나를 그곳으로 불러들였다. 그리고 비로소 나는 제대로 프레디 머큐리와 퀸을 만났다.
 
 보헤미안 랩소디

보헤미안 랩소디 ⓒ 이십세기 폭스 코리아

 
'보헤미안' 프레디 머큐리
 
그저 영국의 록밴드였기에, 당연히 영국인이라(?) 생각했던 프레디 머큐리. 하지만 영화 속에서 만난 프레디는 퀸의 무대를 장악한 '카리스마 프레디'가 아니라 비행기 수화물을 나르는 파로크 불사라(라미 말렉 분)였다. 8세기 경 무슬림에 쫓겨 인도로 망명한 조로아스토 교를 믿는 페르시아인 집안. 영국령 탄자니아 잔지바르에서 공무원을 하던 아버지에 의해 그는 인도 뭄바이에서 10년을 보냈다. 1964년 아랍인과 인도인에 대한 인종차별적 운동으로 영국으로 이주해 1969년 대학 졸업 무렵에야 영국 시민권을 얻었다. 이 장황한 프레디와 그의 가족의 여정은 그 자체로 '보헤미안'이다. 영화는 거기에 메리 오스틴(루시 보인턴 분)과 결혼 약속을 했으면서도 또 다른 성적 정체성으로 혼돈의 시간을 보내야 했던 또 다른 프레디 머큐리의 '보헤미안'적 특성을 얹는다.
  
 보헤미안 랩소디

보헤미안 랩소디 ⓒ 이십세기 폭스 코리아

 
탐 스타펠이 탈퇴한 스마일 밴드의 보컬로 자신을 추천한 프레디는 이방인의 외모를 지닌 그에게 호감을 보이지 않는 클럽 관객들을 4옥타브를 자유롭게 오가는 가창력과 화려한 무대 매너로 대번에 사로잡는다. 이들은 1973년 앨범 발매와 함께 퀸이 되었고 프레디 머큐리와 퀸의 동행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책받침에서 각인된 남성적이고 교주 같았던 프레디 머큐리를 기억하고 있는 글쓴이에게 라미 말렉이 분한 프레디 머큐리는 처음엔 흡사 '희화화'된 듯 보였다. 하지만 프레디 머큐리를 흉내 낸 게 아니라 연기했다는 그의 말처럼, 그 왜소하고 심하게 툭 튀어나온 치아 분장을 한 라미 말렉의 연기를 통해 영국인이 아니면서 영국인으로 살아야 했던, 무대에선 교주 같았지만 마치 악마와 거래를 한 듯 무대 아래에서는 자신을 소진시켜 버리고 마는 프레디 머큐리의 비애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었다.
  
 보헤미안 랩소디

보헤미안 랩소디 ⓒ 이십세기 폭스 코리아

 
프레디 머큐리만이 아닌 밴드 퀸
 
프레디 머큐리의 개인적이고 내밀한 '고독'에 방점이 찍힌 <보헤미안 랩소디>에서 다른 퀸 멤버들의 존재감은 상대적으로 약하다. 물론, 퀸이라는 밴드 자체가 프레디라는 압도적인 스타에 근거한 그룹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18세기의 나무로 만든 수제 기타를 피크 대신 동전으로 연주하고 프레디와 함께 작사·작곡을 했던 브라이언 메이(귈림 리 분)의 존재감이라든가, 영화 속에서는 '갈릴레오'를 외치는 고음만 소개되었을 뿐이지만 일찍이 15살부터 드럼 치는 보컬로 활동했던 로저 테일러(벤 하디 분), 그리고 2명의 베이시스트를 갈아치우고 나서야 비로소 퀸다운 베이시스트로 낙점된 존 디콘(에이단 길렌 분)의 캐릭터에 대해서는 불친절했다.
 
영화는 개별 캐릭터에 대한 불성실한 설명 대신, 왜 프레디 머큐리가 아닌 밴드 퀸이어야 했는가에 대해 명쾌하게 정의 내린다. 눈 밝게 프레디를 밴드의 보컬로 받아들이는 순간부터 '오페라 형식'을 과감하게 도입하려는 프레디의 새로운 시도에 대해 그게 퀸다운 것이라며 적극적으로 호응함은 물론, 자유분방한 사생활로 밴드가 정체되었을 때 관객과 호흡하는 신선한 시도로 돌파구를 마련하는 것 등까지. 거기에 병에 걸린 프레디를 기꺼이 품어 안는 동지애까지 왜 프레디가 아닌 밴드 퀸이었는가를 영화는 보여준다. 또한 연기로 커버한 프레디와 달리, 브라이언과 로저, 존은 실제인지 헷갈릴 정도로 싱크로율이 높았다.
  
 보헤미안 랩소디

보헤미안 랩소디 ⓒ 이십세기 폭스 코리아

  
세기의 밴드 퀸, 그거면 되지 않을까. 세대를 막론하고 여전히 우리에게 퀸은 현재형으로 다가온다는 그 존재감만으로.
덧붙이는 글 이 글은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합니다
보헤미안랩소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