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호철이라는 음악인을 아시는지. 행여 김호철을 아는 이라면 그와 같은 꿈을 꾸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김호철은 한평생 민중음악을 만들어온 민중음악 창작자이기 때문이다.

만약 민중음악을 알고 좋아하는데, 김호철이라는 이름이 낯설다면 혹시 <파업가>와 <단결투쟁가>를 들어보신 적 있으신지. 노동자들이 시위하고 행진할 때 항상 나오는 노래. 한국 노동가요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졌고, 가장 많이 부르는 노래. 바로 그 노래를 만든 창작자가 김호철이다.
  
 그가 만든 <파업가> <단결투쟁가>는 한국 노동가요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졌고 가장 많이 부르는 노래이다.

그가 만든 <파업가> <단결투쟁가>는 한국 노동가요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졌고 가장 많이 부르는 노래이다. ⓒ 진승일


모든 노동자들을 위한 노래

김호철은 1980년대 중반 일군의 민중가요 창작자들이 교회, 노동조합, 성당, 지역, 학교 등에 뿌리를 내리고 민중가요를 만들 때 노동자들 곁으로 갔다. 1988년 전국 노동법 개정 및 임금인상 투쟁본부 명의로 발표한 민중가요 카세트테이프 '총파업가'와 1989년 노동자노래단이 발표한 '전노협 진군가'가 그의 공식적인 시작이다.

그는 자신의 노래로 노동자들의 나팔수가 되기 전, 1980년 서울의 봄 당시 한국체육대학 총학생회장으로 서울역 회군에 반대했으나 소수의견으로 그치고 말았다. 이후 강제징집 당해 군대에 끌려간 그는 군악대에 지원했고, 합격해 트럼펫을 불게 되었다. 김호철은 제대 후 다른 일을 해보려 했으나 자신의 전력으로 인해 여의치 않게 되자 밤무대를 돌며 음악인으로 살기도 했다.

그러나 시대는 그를 내버려 두지 않았고, 그 역시 피하지 않았다. 노동현장에 먼저 투신한 여동생의 설득으로 위장취업하게 되고, 그때부터 김호철은 노동운동가로 활동하면서 노동자를 대변하는 노래를 만들기 시작했다. 당시 서울과 인천을 비롯한 공단 지역에는 수많은 위장취업자들이 활동하고 있었고, 노동자문화운동을 펼치는 이들이 있었다.

김호철도 자신이 쓴 노래들을 하나둘 내놓았는데, 이 노래들이 노동자들의 심장을 강타했다. <단순조립공> <x에게> 등으로 시작한 김호철의 노래는 <단결투쟁가>, <파업가>, <포장마차> 등으로 이어졌다. 김호철의 노래는 쉽고 명쾌하며 강렬했다. 물론 그의 노래만 쉽고 명쾌하며 강렬한 것은 아니었다. 노동자들과 함께하려는 여러 민중가요 창작자와 문화운동가 역시 노동자들의 삶과 정서에서 싹튼 진실한 노래를 만들고 있었다.

그중에서도 군가풍의 리듬과 직설적이고 적확한 노랫말을 결합한 김호철의 노래는 그 강렬함과 명쾌함으로 투쟁하는 노동자들의 의지와 감성을 탁월하게 대변했다. "흩어지면 죽는다 / 흔들려도 우린 죽는다"로 이어지는 <파업가>가 그렇고, "너희는 조금씩 갉아먹지만 / 우리는 한꺼번에 되찾으리라"고 노래한 <단결투쟁가>가 그렇다. 그는 고급스럽고 지적인 노래보다 노동자들이 절절하게 공감할 수 있는 노래, 그들의 삶을 정직하고 치열하게 담은 노래를 만드는데 치중했다. 그래서 그는 군가풍의 리듬이나 뽕짝 스타일을 피하지 않았다. 특별한 음악적 훈련을 받지 않은 노동자들에게는 그 스타일이 익숙했기 때문이다. 

흩어지면 죽는다, 노동자와 함께한 30년의 기록  

김호철에게 노래의 가치는 기존의 음악성에만 머무르지 않았다. 그는 자신의 노래가 일하는 이들의 삶을 대변하고, 그들의 삶을 변화시키는 원동력이 되기를 바랐다. 민중가요가 등장하기 전에는 일하는 사람들의 삶을 외면했던 한국의 노래문화는 김호철을 비롯한 민중음악인들의 노력으로 비로소 그들을 노래하기 시작했다. 때로 투박하고 거칠게 느껴지는 노래일지라도 노동자 자신에게는 진실하고 간절한 노래들은 노동자의 자각과 낙관을 일깨웠고, 노동운동의 성장에 밑거름이 되었다.

노동자라는 말이 부끄럽고 불온하게 느껴지는 세상에서 김호철 등의 노래는 노동자의 자존심과 긍지를 되찾는 데 기여했다. 예술성과 작품성에 대한 이견에도 불구하고 김호철의 노래에 깃든 간절함과 현장성은 아무도 부정하지 못한다. 그의 노래에는 분노만 넘치지 않아 해학이 있고, 서정이 있고, 낙관이 있다. 그는 한 생을 다해 노래를 만들고 운동하며 노동가요라는 불모지를 일군 노동가요 노동자이다.

지금까지 한국 노동가요의 상징이라고 여겨지는 노래를 내놓은 김호철은 노동자 노래단, 노래공장, 초록지대 등의 팀을 이어가며 계속 노래를 발표했다. 그는 항상 노동자의 눈과 귀로 그들을 대변하려 했고, 싸우고 다치고 죽는 노동자들 곁을 떠나지 않았다. 그는 노래운동만 펼치지 않고, 노동운동에도 전력을 다했다. 장애인 인권운동에도 힘을 보태는 김호철은 여전히 자신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그 사이 30년이 흘렀다. 대통령이 여러 번 바뀌어도 노동자의 삶은 풍파가 그치지 않는 시간, 그의 노래가 있어 견디고 버틸 수 있었음을 아는 동료 음악인들이 '파업가 30주년 기념 김호철 헌정 음반 - 흩어지면 죽는다'를 만들고 있다.

노래패 꽃다지의 음악감독 정윤경이 프로듀서를 맡고, 민중가수 박은영이 조감독을 맡아 김호철의 노래를 리메이크하고 있다. 오는 10월, 2018년 노동자대회에 맞춰 선보일 음반을 이들에게만 맡겨둘 수는 없지 않을까. 그의 노래를 들으며 꿈꾸고 눈물 흘리고 싸우며 오늘까지 살아온 이들이 함께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고단하고 힘겨워도 희망을 향해 웃으며 걸어가는 모든 이들의 노래.  

'파업가 30주년 기념 김호철 헌정음반' 공동제작자가 되어주세요.   
공동제작자가 되시면 음반 부클릿에 제작자로 이름을 올려드립니다.
참여 구좌당(1구좌 5만원) 1개의 음반을 보내드립니다 
참여신청 bit.ly/파업가-30
덧붙이는 글 이 글을 쓴 서정민갑님은 대중음악 의견가이고,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과 네이버 온스테이지 기획위원입니다. 이 글은 월간<참여사회>9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김호철 파업가
댓글

참여연대가 1995년부터 발행한 시민사회 정론지입니다. 올바른 시민사회 여론 형성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