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은 결핵균(미코 박테리움)에 의해 감염되는 질환이다. 기원전 7천 년경 석기시대 화석에서 발견됐을 정도로 오랫동안 인류와 함께 해온 질병이며 인류의 목숨을 가장 많이 앗아간 질병이기도 하다.

흔히 결핵 환자에게서 나온 미세한 침방울 혹은 비말핵(기침·재채기로 결핵균이 들어있는 입자가 공기 중으로 나와 수분이 줄어 떠다니기 쉬운 형태로 변한 것)에 의해 감염된다. 하지만 감염된다고 해서 모두 결핵에 걸리는 건 아니다. 대개 접촉자의 30%가 감염되며, 감염자 중 10%가 결핵 환자가 되고 나머지 90%는 건강하게 지낼 수 있다.

결핵에 걸리는 사람들의 경우 감염 이후 1~2년 내 발병하고, 나머지는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저하되는 때에 증상이 나오게 된다. 그렇기에 결핵의 발병에는 면역력이 약화되는 조건, 즉 영양의 부족 등의 상황이 주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MBC스페셜 '6개월 후 만납시다 - 북한 결핵병원 이야기'편 중 한 장면

MBC스페셜 '6개월 후 만납시다 - 북한 결핵병원 이야기'편 중 한 장면 ⓒ MBC


북한의 경우, 생활고로 인한 영양 상태의 부족 때문에 결핵 감염률이 높다. 인구 10만 명당 결핵 환자가 550명으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하지만 이런 통계조차도 정확하지 않다. 심각한 건 기존의 결핵약에 내성이 생겨 치료가 어려운 슈퍼 결핵, 다제내성 결핵(Multi Drug Resistant Tuberculosis, MDR-TB) 환자가 6000여 명에 이른다는 사실이다. 9월 3일 방송의 날 특집으로 방영된 < MBC스페셜 >은 '다제내성 결핵'을 치료하기 위해 6개월에 한 번씩 북한을 방문하는 유진벨 재단의 여정을 그렸다.

미국과 한국, 그리고 북한이 함께하는 결핵 치료 활동

다제내성 결핵 치료를 위해 여정을 함께한 사람들은 각별하다. 이번에 방송된 다큐는 북한 출신의 외조부모를 둔 석혜인 감독의 < OUT OF BREATH >의 한국어판이다. 석혜인 감독이 봉사단과 함께 2년에 걸쳐 북한을 방문하여 완성한 이 다큐는 이미 일본에서도 방영되었고, 조만간 영국에서도 방영될 예정이다. 석 감독의 외조부모들은 북한 출신이지만, 그들은 북한을 떠난 이후로 단 한 번도 고향 땅을 밟아보지 못했다. 이런 환경 때문에 석 감독 또한 북한에 대해 관심조차 두지 않았다. '이방인' 석 감독의 눈으로 본 북한 그리고 봉사의 여정은 그래서 담담하고 객관적이다.

석 감독의 눈에 비친 북한은 그녀가 보았던 1950년대 한국의 풍경과도 같다. 민둥산 비포장 도로를 달려 도착한 곳은 함경도 시골 마을이고, 그곳에 북한의 결핵 요양원이 있다. 하지만 말이 요양원이지, 실상은 수용 시설에 가까웠다. 겨우 일반 결핵 환자들을 위한 약이 있을 뿐 다제내성 환자들에 대한 치료는 엄두도 내지 못하는 곳이다. 그나마 약이라도 있으니 다행이다. 작동 자체가 기적이라 할 정도로 오래된, 폴란드에서 1950년대 제작된 기계가 환자들의 X선 촬영을 담당하고 있다. 마치 경제 금수 조치를 당한 쿠바에 1960년대 클래식 카가 활보하듯.

 MBC스페셜 '6개월 후 만납시다 - 북한 결핵병원 이야기'편 중 한 장면

MBC스페셜 '6개월 후 만납시다 - 북한 결핵병원 이야기'편 중 한 장면 ⓒ MBC


그곳에서 한 미국인이 유창한 한국어로 북한 사람들에게 '동무'라며 자신들의 방문에 대해 소개한다. 그는 스티브 린튼 박사로 과거 한국에 왔던 선교사의 자손이다. 린튼 박사는 성경을 손에 들고 왔던 자신의 할아버지처럼, 성경 대신 결핵 약을 바리바리 싣고 북한 함경도 골짜기를 찾았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다제내성 결핵 치료 지침서를 작성한 전문가이자 세계적인 결핵 전문의 한국계 미국인 승권준 박사도 함께한다. 일행은 봉사단의 북한행을 '외계와의 조우'에 빗댄다. '아무 것도 없다'란 전제 하에 그곳에서 봉사를 펼칠 '모든 것'을 준비해 가야 하는 여정. 그곳엔 숨쉬기조차 힘들어 하면서도 기꺼이 쉽지 않은 치료에 합류하고자 하는 환자들이 있다.

봉사단의 꾸준한 치료활동도 쉽지 않은 상황

키 169cm에 몸무게는 46kg에 불과한 결핵 환자 김태성씨. 그는 숨이 차 묻는 말에 대답하는 것조차 힘들어 한다. 휠체어에 실려온 젊은 청년에게는 잠시 몸무게를 재기 위해 홀로 서는 일조차 쉽지 않다. 아내가 끄는 리어카에 실려 먼길을 온 중년의 환자도 있다. 그들은 모두가 '포기해버린' 사람들이었다.

 MBC스페셜 '6개월 후 만납시다 - 북한 결핵병원 이야기'편 중 한 장면

MBC스페셜 '6개월 후 만납시다 - 북한 결핵병원 이야기'편 중 한 장면 ⓒ MBC


 MBC스페셜 '6개월 후 만납시다 - 북한 결핵병원 이야기'편 중 한 장면

MBC스페셜 '6개월 후 만납시다 - 북한 결핵병원 이야기'편 중 한 장면 ⓒ MBC


심각한 건 환자를 건사하다 주변의 가족들이 감염되어 아빠와 어린 딸, 엄마와 어린 아들이 함께 찾아오는 사례다. 마치 권정생의 동화 <몽실언니>에서 어머니 북촌 댁의 폐결핵을 전쟁 통에 끼니조차 챙기기 힘들던 몽실 언니의 동생 난남이가 이어받듯이 말이다. 그래서 승권준 박사는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 옮기는 결핵이 가장 치료하기 힘들고 어려운 질병이라 정의한다. 그렇게 갖가지 증상과 상태로 모인 다제내성 결핵 환자들은 기존의 결핵 약으로는 치료가 더 이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그들에겐 진단을 위한 객담 조사조차 버겁다.

봉사단은 그들과 함께한 북한의 결핵 전문가, 그리고 현지의 의료진과 함께 환자들의 실태와 상태 조사에서부터 시작한다. 전기 사용조차 여의치 않은 요양원의 처지로 인해 발전기까지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진료 과정엔 늘 예기치 않은 변수와의 실랑이가 동반된다. 그 변수들을 극복해 내며 봉사단이 애를 쓰는 건 바로, 북한 내에서는 약조차 구할 수 없는 다제내성 환자들에 대한 치료와 교육이다.

봉사단이 약을 가져가지만, 약만으로 모든 것이 해결되지 않는다. 이미 기존의 결핵 약으로 치료가 되지 않는 다제내성 결핵을 치료하기 위한 약은 치료만큼 독성도 강하다. 복용으로 우울증이 생기기도 하고, 청력을 잃을 수도 있고, 신부전의 부작용이 생기기도 한다. 약 자체를 먹는 것이 힘들다. 그래서 환자들이 그 어려운 투약 과정을 이겨낼 수 있게 만드는 '정신 무장'도 방문단의 주요한 일정이다. '6개월 후에 만나요'라고 기약할 수 없는 인사를 남겨야 하는 안타까운 여정이기도 하다.

'6개월 후에 만나자'는 인사, 그러나 훗날을 기약할 수 없다

봉사단의 여정이 훗날을 기약할 수 없는 이유는 두 가지다. 그 중 전제가 되는 건, 바로 언제나 요동치는 한반도의 정세다. 북한의 치료받지 못한 결핵 환자들을 돕고자 하는 인도주의적인 여정은 언제나 남북한의 정치 정세에 가장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 '무슨 충돌이 있더라도 환자는 같이 살리자'는 '성숙된 인도주의 정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스티브 박사는 강변한다.

다음은 6개월에 한 번, 상시적이지 않은 인도주의적 봉사가 북한의 환자들에 대한 지속적인 보살핌을 할 수 없도록 만든다는 것이다. 6개월 후에 꼭 봤으면 좋겠다고 했지만, 그곳을 떠나는 봉사단은 그 말이 얼마나 기약할 수 없는 말인지 안다. 분명 차도가 있고 열의가 있던 환자였지만, 봉사단이 6개월 후에 그곳을 찾았을 때 환자가 유명을 달리하거나, 더는 약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있을 때도 있었다.

 MBC스페셜 '6개월 후 만납시다 - 북한 결핵병원 이야기'편 중 한 장면

MBC스페셜 '6개월 후 만납시다 - 북한 결핵병원 이야기'편 중 한 장면 ⓒ MBC


그래서 요양원을 떠나는 사람들은 두 부류이다. 더는 이곳에서도 치료를 기대할 수 없거나 스스로 치료를 포기하여 눈물을 흘리며 떠나는 사람들, 혹은 어려운 치료 과정을 거뜬히 이겨내고 건강인으로 다시 사회에 복귀하는 경우다. 그들은 모두 '오래오래 건강하게 살라'는 의미가 담긴 종이학 목걸이를 목에 걸고 요양원을 떠난다. 몇 번의 방문에서 정이 든 봉사단은 완치가 안 된 채 떠나는 이들에겐 '포기하지 말라'는 간곡한 인사를 하고, 건강해져서 떠나는 이들에겐 앞날의 행복을 기원한다.

한국에 돌아온 봉사단은 다시 분주하게 자신들의 인도주의적 봉사를 위한 도움을 요청한다. 이들은 북한의 환자들을 위한 약과 의료 기기를 준비하고 방문 시기에 맞춰 서둘러 보내고자 한다. 하지만 여전히 의료기기조차 '방북'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 인도주의적 봉사의 여정은 여전히 갈 길이 멀다. 현재 북한에선 해마다 4천~5천 명의 결핵 환자가 발생하는 상황이고, 공식적으로 집계된 환자 수는 11만 명에 달한다. 이 공식 집계 수치가 비공식적 집계의 10%에 불과하다는 주장도 있다. 그리고 결핵 사망자 중 상당수가 어린이와 청소년이다.

과거 어린 시절 크리스마스가 되면 크리스마스 씰이라는 기념 우표를 샀던 기억이 있다. 한국에서 크리스마스 씰을 처음 발행한 사람은 1928년 한국에 처음으로 결핵 요양소를 세운 캐나다의 선교사 셔우드 홀이다. 그렇게 남한의 결핵 퇴치에 앞장섰던 선교사들처럼, 그들의 후예들은 여전히 북한의 결핵 퇴치와 치료에 힘쓰고 있다.

 MBC스페셜 '6개월 후 만납시다 - 북한 결핵병원 이야기'편 중 한 장면

MBC스페셜 '6개월 후 만납시다 - 북한 결핵병원 이야기'편 중 한 장면 ⓒ MBC


다큐에 나온 유진벨재단의 스티브 역시 결핵 치료에 힘쓰는 사람이고, 스티브의 활동은 선인들의 활동과 다르지 않다. 과거 한국에 와서 결핵 퇴치에 앞장섰던 선교사들에 대해 우리가 감사함을 가지듯, 이제 북한 결핵 봉사에 대해서도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너그러운 아량과 베품을 나눌 때가 아닐까.

덧붙이는 글 이 글은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합니다.
MBC스페셜 결핵 북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