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트 디즈니


디즈니-픽사 애니메이션 <코코>가 올해도 어김없이 '골든글로브' 장편 애니메이션상을 수상했다. 디즈니-픽사는 2016년 영화 <인사이드 아웃>, 2017년 <주토피아>에 이어 3년 연속 골든 글로브를 거머쥐었다. 영화 <위대한 쇼맨>에 아쉽게도 주제가 상을 양보했지만 말이다.

그런데 어쩐지 아쉽게 느껴진다. 내 머릿속, 아니 '내 마음의 세계 탐구'라는 신비함 이상으로 치유와 힐링을 전했던 <인사이드 아웃>이나 최근 한국 사회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여성의 사회적 자존 문제를 비롯해 성차별, 인종차별의 문제를 다뤘던 <주토피아>에 비하면 한바탕 축제와도 같았던 영화 <코코>는 유구한 '가족주의'의 전통을 답습한, 가장 디즈니다운 작품인 듯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라프의 활약을 다룬 단편 애니메이션이 끝나고, 멕시코 버전의 디즈니 로고송이 등장하면서 펼쳐지는 <코코>의 세계는 그저 '가족'의 화합이라는 주제로만 한정하기에는 이야깃거리가 많았다. 특히 최근 우리나라에서 거뜬히 천만 관객을 넘은 영화 <신과 함께-죄와 벌>과 함께 '죽은 자의 세계'를 통해 '산 자의 삶'의 정당성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일치한다.

죽은 자의 세계에서 길어올린 산 자들의 이야기

ⓒ 롯데 엔터테인먼트


<코코>와 <신과 함께>는 공교롭게도 집으로 돌아가지 못한 채 죽은 자들의 이야기다. 아이를 구하려다 죽은 소방관 김자홍(차태현 분)은 저승차사들을 환생시켜줄 의인으로 불렸음에도 7번의 저승 재판에서 매번 고전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결정적인 건, 아픈 어머니와 동생을 버리고-심지어 직계 비속으로서 절대 해서는 안 될 범죄를 저지르려다-도망갔던 사실이다. 그리하여 '의인'은 커녕 당장 지옥으로 떨어지게 생겼다. 반면, <코코>의 실질적인 주인공은 '헥터'라는 해골이다. 뮤지션을 꿈꾸던 미구엘은 죽은 자들의 날에 뜻하지 않게 죽은자들의 세상에 들어갔다가 우연히 헥터를 만난다.

두 영화 모두, 그들이 '살아있을 때' 저질렀던 어떤 행위가 죽은 뒤 위기로 작동한다. 김자홍은 지옥으로 떨어지게 생겼고 헥터는 죽은 자의 세상에서 영원히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동양의 지옥도와 영원한 절멸, 물론 그 둘 사이에는 엄청난 고통의 간극이 있다. 그러나 영화를 보는 관객들에게 느껴지는 심리적 중압감에서는 사실 별 차이가 없다. 어쩌면 영원히 잊힌다는 게 더 마음 아프게 다가올 수도 있다.

김자홍과 헥터, 그들은 젊을 때 죽었다. 자신의 꿈을 이루지도 못한 채 억울하게. 그런데 더 억울하게도 그들의 영혼조차 위기에 빠진다. 자신들이 지키고 보호했어야 할 가족을 각자의 이기심으로 버렸다는 '오해(?)'가 그들을 죽음 이후의 위기에 몰아넣는다.

물론, 영화는 절정의 위기를 극복하며 두 사람이 받게 될 처벌이 오해였음을 풀어가는 과정을 그린다.

21세기의 가족주의란?

ⓒ 월트 디즈니


여기서 한 발 더 들어가 감동적인 가족 상봉의 이면에 숨겨진, '가족'의 장애물들을 살펴보자. <신과 함께> 김자홍 모자의 비극은 결국 장애인 어머니와 두 아들의 가난이다. 그들은 가난했다. 나라가 구제해주지 못한 지긋지긋한 가난을 김자홍은 자신을 희생함으로써 건져냈다. 그러나 어머니에게 드릴 밥통이나 자신을 솔직하게 밝히는 진심어린 편지를 전할 기회도 없이 그의 생명을 거둔 저승은 한 술 더 떠서 재판을 하네 어쩌네 한다.

하지만 결국 그 재판의 결과가 '어머니의 용서'일 수밖에 없는 건 김자홍의 오롯한 희생적 삶이 있었기 때문이다. 양식은 '가족'의 굴레를 씌웠지만 결국 이 사회에서 '먹고사니즘'에 희생된 한 개인에 대한 영화적 제의이다. 사실 불교의 저승관을 수용한 영화라지만, 불교에서 이승에서 착한 일을 한 사람에게 '극락왕생'이라는 보상을 준다고 하는 것과 달리 '환생'이라는 보상을 한 영화의 결말은 그래서 지극히 '현세적'이다.

가족의 구성원이지만 죽은 자들의 세계에서 사라질 위기에 놓인 <코코>의 헥터는 어떨까? 거기엔 할아버지가 음악이 좋다며 집을 나간 이후, 가족을 먹여살리기 위해 음악을 버리고 '신발'을 택한 마마 이멜다의 또 다른 희생이 있다. 그녀는 자신에게 남겨진 딸과 함께 살기 위해 신발 장인의 길을 택한다. 이는 그 집안의 전통이 돼 가족들에게 선택의 여지없이 신발 장인의 길을 걷게 만들었다. 가내 수공업의 원시적 자본주의 방식이지만, 미구엘의 가족들이 택한 삶의 방식은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선택하는 자본주의적 삶의 양식이다.

가족을 버리고 떠난 할아버지는 미구엘 가족에게 트라우마로 남는다. 가족들은 미구엘이 하고자 하는 '음악'이란 가족은 물론 자신조차 먹여살릴 수 없는 무책임한 행동이라고 간주하고 시대정신에 위배되는 결정이라고 비난한다.

그러나 영화는 단지 미구엘 가족의 '신발 사업'에 예술지상주의로 맞서지 않는다. 신발 사업 대신 음악이라거나, 가족 대신 개인이라거나, 자본 대신 예술이 아니라, 그 모든 것이 어우러지는 새로운 관계의 신화를 '멕시코 죽은 자들의 축제'를 배경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신과 함께>에서 그저 한 개인으로서의 '의인'이었던 김자홍은 7번의 재판을 통해 '가족'이란 관계 속에서 그의 삶의 정당성을 부여받고 구원을 얻는다. 마찬가지로 <코코> 속 가족의 이단아 미구엘은 헥터를 통해 가족 속에 숨은 '음악적 전통'을 확인받고 죽은 자들의 축제를 무사히 지난다. 또 가족들에게 승인받아 또 다른 새로운 가족 관계의 서막을 연다. 21세기에 '가족'은 참으로 진부한 '코드'다. 그러나 디즈니는 '과연 가족주의 역시 지난 시절의 코드로만 치부할 수 있는 것인가'라는 화두를 던진다.

두 영화는 사회 속에서 원자화된 개인들이 구원받을 수 있는 코드를 '가족'으로부터 열어가고자 한다. 여전히 우리 사회 곳곳에 가족이란 무게를 짊어진 개인들이 있다. 그리고 개인과 가족을 보듬어 주지 못하는 자본주의 사회 각자도생의 삶이 있다. 두 영화는 현실이 아닌 '죽음의 제례'를 통해 화해와 치유를 시도한다. 어쩌면 이것이 <신과 함께>와 <코코>의 흥행으로 이어지고 있는 건 아닐까.

덧붙이는 글 이 글은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코코 신과 함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