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파리로 가는 길>은 오십 대의 혼란과 일탈을 보여준다.

영화 <파리로 가는 길>은 오십 대의 혼란과 일탈을 보여준다. ⓒ 티캐스트


<파리로 가는 길>을 보러 갔다. 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나이 때문일까? 중장년층의 여성들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극장을 채웠다. 영화 속 여주인공 앤(다이안 레인 분)의 프렌치 로드를 자신들이 떠나기라도 하는 듯 어딘가 설렘을 담뿍 담은 표정들, 과연 엔딩 크레딧이 올라가고 이분들이 원했던 여행의 목적을 달성하셨을까?

공자께서는 나이 마흔에 더 이상 흔들리지 않고(不惑), 오십에는 하늘의 뜻을 아셨다는데(知天命), 오늘날 이 시대를 살아가는 여성들에게 오십이란 '갱년기'라는 신체적 증상만으로는 다 품을 수 없는 막막한 시절이다. 그리고 바로 그런 막막한 시절에 <파리로 가는 길> 여주인공 앤이 서있다.

뜻하지 않은 일탈

미국 나이로 쉰 두 살. 앤은 영화 제작자인 마이클(알렉 볼드윈 분)의 아내다. 그녀를 소개하는데 마이클의 아내라는 이름표가 가장 앞선 건, 현재 그녀의 존재가 그렇다는 것이다. 영화 제작자인 남편을 따라 영화의 도시 칸으로 휴가를 온 부부. 한때는 의상을 만들기도 했지만 이젠 그것마저도 손을 놓고, 애지중지하던 딸도 다 커서 그녀의 품을 떠났다. 휴가라고 칸에 왔지만, 남편은 업무 스케줄로 바쁘고, 그녀는 호텔에서 밥을 먹으려 해도 남편의 눈치를 봐야 하는 처지다. 정작 샌드위치를 두 개나 시켰다고 잔소리를 하던 남편은 그녀가 없이는 자신의 물건 하나 제대로 찾을 줄 모르는 사람이다.

거기에 그녀의 존재가 있다. 그리고 이는 영화 속 앤만이 아니라, 오십 줄에 들어선 '아내'라는 이름표를 달고 사는 대다수 여성들의 '존재'이기도 할 것이다.

사업차 바쁜 남편이라지만 여행으로 칸에 오자마자 일정 문제로 당장 부다페스트로 떠나야한다. 하지만 갑자기 찾아온 앤의 귀 통증은 그녀의 비행을 허용치 않고, 거기서 남편의 사업 파트너 자크(아르노 비야르 분)가 그녀에게 자동차를 이용한 파리 행을 제안한다.

7시간이면 도착할 것 같던 파리 행. 공항 가는 그 잠깐 동안에도 아픈 그녀를 위한 약에서 부터 딸기 등등을 구하느라 차를 멈추던 자크는, 이제 앤과 길을 떠나자 작정을 한 듯, 샛길로 빠진다. 이미 남편으로부터 프랑스 남자의 방탕함을 경고 받은 바 있는 앤이다. 정해진 시간에 파리에 도착해야 한다는 강박이 그녀를 재촉한다.

영화는 바쁜 남편 마이클을 제외한 그의 아내 앤과 그의 사업 파트너 자크의 동상이몽을 주된 갈등으로 제시한다. 남편이 있는 아내와, 여전히 그 나이에도 독신의 삶을 즐기는 남자. 미국식 시간관념이 내재화된 사람과, 현재를 즐기려는 프랑스 식 삶을 대비시킨다. 또한 부유한 남편을 가졌지만 자기 자신이 무엇인지조차 알 수 없는 사람과, 지금 현재 삶이 곧 인생이라 믿는 동시에 사업 일정과 자금에 쫓기는 사람의 만남이다.

자크는 길을 떠나자마자 마주친 생 빅트와르 산을 세잔의 명화를 통해 그녀에게 소개한다. 하지만 그녀는 그런 풍경이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귀는 아프고, 파리로 갈 여정만이 가득하고, 이 프랑스인 남자도 부담스럽다. 그런 그녀가 자크의 도발적인 일탈 즉 프로방스, 가르동 강, 리옹으로의 여정을 통해 변해간다. 빅트와르 산을 쳐다보지도 않던 그녀가 자크와 함께 마네의 '풀밭에서의 점심'을 재현하며 마음을 열고, 리옹의 자수 박물관과 베즐레이의 성 막달레나 대성당으로 기꺼이 돌아가기를 원하기에 이른다.

 남편 아닌 다른 사람과 동행하는 게 불륜일까? 이 단순한 질문보다 더 근본적 질문이 영화에 담겨있다.

남편 아닌 다른 사람과 동행하는 게 불륜일까? 이 단순한 질문보다 더 근본적 질문이 영화에 담겨있다. ⓒ 티캐스트


로맨스를 넘은 질문들 

자크는 이 여정에서 그녀에게 '손끝하나 안 대기로 마음을 먹었다'지만, 영화 속 그가 보인 행보는 전형적인 '로맨티스트'의 그것이다. 여자가 원하는 장미로 차를 채우고, 여행지의 가장 맛있는 음식으로 그녀를 유혹하고, 달콤한 말로 그녀의 귀를 간지럽힌다. 다만 <파리로의 여행>을 그저 오십 줄 자크와 앤의 연애 이야기로 보면 아쉽다. 그 보다는 존재의 길을 잃은 앤에게 다가온 새로운 선택에 대한 영화로 보는 게 정확할 것이다.

자크는 앤을 사랑한다. 하지만, 그건 남성적 본능이 아닌 마이클의 사업 파트너로서 오랜 시간 그녀를 보아오며 느낀 매력에 대한 헌사다. 남편은 그녀를 자신의 물건을 찾아주는 일상의 한 부분으로 소모하지만, 자크에게 앤은 늘 카메라를 달고 사는 세상의 섬세함을 포착할 줄 아는 능력자다. 자크를 통해 앤은 오십 줄에 자신의 존재를 찾아가게 된다. 이게 이 영화의 본질이다.

여행 중 그녀는 어느 틈에 귀가 아프다는 사실조차 잊었다. 그녀뿐만이 아니다. 그녀의 여정에 동참했던 관객들조차 자크의 도발적 행보와 그 행보에서 그녀가 보이는 긴장감에 어느덧 '스트레스성 증후군'을 놓아버린다. <파리로 가는 길>의 매력은 바로 이 지점에 있다. 자크는 뻔히 스트레스성 질병인 게 보이는 앤과 함께 여행을 하며, 그 누구에게도 끄집어 낼 수 없었던 오랜 아픔을 고백하기도 한다. 이 '프랑스 로드'의 여유와 낭만이 주는 일탈을 관객으로 하여금 만끽하도록 만든다.

짝짝이 양말을 줬다고 모로코에서도 양말을 찾는 남편과 그녀가 쥐어준 짝짝이 양말을 기꺼이 신어주는 남자. 이 현실적이고도 낭만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그녀는 마지막 자크가 보내준 장미 초콜릿으로 답한다. 그리고 그 답은 누구를 선택하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지천명의 시절, 어떤 방식의 삶을 살아갈 것인지에 대한 것이다. 그 선택은 비록 함께 여행하며 유혹해주는 멋진 남자는 없지만, 영화를 보는 관객들에게 고스란히 전해진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함께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파리로 가는 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