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는 해마다 가정의 달 5월이면 <휴먼다큐 -사랑>을 방영해 왔다. 2006년 시한부 삶을 사는 영란씨와 그녀의 1분 대기조였던 남편 창원씨의 순애보로 시작된 시리즈는, 2007년 '엄지 공주, 엄마가 되고 싶어요', 2009년 '풀빵 엄마', 2011년 '진실이 엄마' 등을 통해 2016년까지 45편의 다큐멘터리가 '가족'의 의미를 되새겼다.

해마다 같은 이름으로 돌아온 <휴먼다큐-사랑>이지만, 해를 거듭하며 이 다큐멘터리를 통해 조명하고자 하는 '가족'의 의미는 우리 사회의 변화와 궤를 같이하며 다른 감동과 다른 질문을 던진다. 2009년 '로봇다리 세진이'와 2014년 '꽃보다 듬직이'를 통해 피보다 진한 사랑으로 뭉친 입양 가정의 이야기를 그렸고, 2015년에는 러시아로 귀화한 안현수 선수의 일상을 통해 더 큰 가족으로서의 국가의 의미에 대해 물음표를 남겼다. 2016년에는 초고령 사회에 접어든 우리 사회 가족의 그늘을 그린 '러브 미 텐더', 탈북자의 문제를 그린 '내 딸 미향이' 등, <휴먼다큐-사랑>은 가족에 대한 질문의 넓이와 깊이를 더했다.

그 해 <휴먼다큐-사랑>을 보면 그 시대 우리 사회 '가족'의 정의와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인지할 수 있었을 만큼, 지난 10여 년, <휴먼다큐-사랑>은 우리 사회 가족의 잣대로 자리매김해 왔다.

고아 수출국의 민낯

 '내 이름은 신성혁'

'내 이름은 신성혁' ⓒ MBC


2017년에 찾아온 <휴먼다큐-사랑>에서 보여진 이 시대의 가족은 어떤 모습일까? 그 첫 테이프를 끊은 건, '나의 이름은 신성혁'이다. 5월 8일, 15일 2부에 걸쳐 방영된 이 다큐는 '고아 수출국' 대한민국의 민낯을 밝힌다.

우리나라는 1956년부터 1998년까지, 무려 38년간 해외 입양 1위 국가였다. 심지어 OECD 국가 중 유일하게 '고아 수출국'이었다. 그중에서도 주로 '미국'으로의 고아 수출이 대부분이었다. 1980년에서부터 1998년까지의 미국 이민 자료를 보면 미국의 전체 고아 입양 대상자 중 한국은 36.8%, 즉 미국 고아 입양자 세 명 중 한 명이 한국인이었다. 그렇다면 미국으로 간 아이들은 다 '아메리칸 드림'의 표상이 되었을까? 현실은 그렇지 못했다.

이름 신성혁. 하지만 그는 자신의 이름을 한국말로 하는 것이 어눌하다. 오히려 40년 동안 써온 아담 크랩서란 이름이 입에 익다. 당연히 그의 첫 번째 언어는 영어다. 그러나 1부에서 만난 그는 이민국의 재판 과정에 있다. 심지어 결국 그 재판에서 져서 수용소에서 건강을 잃어가며 하루하루 한국으로의 송환 날짜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40년 전 그의 아버지는 집을 나갔고, 다리가 불편한 어머니는 홀로 두 아이를 먹여 살릴 자신이 없었다. 그래서 굶지 않고, 잘 살 수 있다는 꿈의 나라 미국으로 두 아이를 떠나보냈다. 하지만 어머니의 기대와 달리, 아이들의 미국 생활은 지하실에서 숟가락이나 벨트로 맞는 학대의 연속이었다. 정부 보조금을 노리고 아이들을 입양한 양부모들은 학대했고, 파양했다.

그렇게 16살 어린 나이에 쓰레기통에서 남이 버린 햄버거를 주워 먹으며 노숙 생활을 시작했다. 하지만 그것도 입양 당시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성경책 등을 가지러 몰래 양부모의 집에 들어갔다 신고되는 바람에 25개월의 교도소 생활로 마무리됐다. 그리고 이 '범죄'는 그를 '추방'할 유효한 조건이 되었다.

왜 미국에서 십여 년을 넘게 살았는데 그는 미국인이 될 수 없었을까? 그건 바로 '고아 수출'에만 연연한 채, 그들의 권리 따윈 안중에도 없었던 우리 정부 때문이었다. 한국 정부는 '고아'만 수출했지, 그들이 미국 시민이 될 수 있는 권한에는 눈을 감았다. 그래서 미국으로 온 한국의 고아들은 18살 이전에 양부모가 시민권을 취득시켜 줘야만 미국 시민이 될 수 있었다. 하지만 아담처럼 18살이 되기 전에 쫓겨난 아이들, 혹은 설사 18살이 되더라도 양부모가 동의하지 않는 아이들, 심지어 교도소라도 다녀오기라도 했다면 영원히 미국 시민이 될 수 없다.

40년 만에 돌아온 아들

 '내 이름은 신성혁'

'내 이름은 신성혁' ⓒ MBC


냉정한 재판, 그리고 한국으로의 송환을 인정하기 전에는 끝을 기약할 수 없는 수용소 생활, 결국 아담은 신성혁으로 한국에 돌아왔다. 자신의 이름을 말하기조차 어려운 미국인, 당연히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그는 졸지에 다시 한국인이 되었다. 하지만 다행히도 그에겐 그를 기다리는 어머니가 있었다.

그리고 2부는 어머니와 이젠 신성혁이 된 아담의 40년 만의 모자 상봉을 그렸다. 40년 만에 돌아올 아들을 위해 며칠 동안 음식 준비를 하던 어머니는 그만 아들을 보자 눈물을 터트리다 못해 정신을 놓아 버렸다. 아들이 왔다는 것 외엔 잠시 기억을 잃을 정도로. 대화는 안 통하지만 지난 40년간 늘 학대를 당하던 아들은 어머니의 눈물만으로 오랜 외로움이 풀려간다. 그러나 다리를 못 쓰는 어머니, 마찬가지로 몸이 성치 않은 새 아버지에게 자신을 의탁할 수는 없는 아들은 서울로 올라와 귀환 입양아들을 위한 시설로 들어간다.

그러나 여전히 한국 역시 그에게는 좀처럼 쉽게 '정착'을 허용치 않는다. 주민등록증은 주어졌지만, 오물이 나오는 지하 방과 쉽게 늘지 않는 한국어, 그리고 그보다 더 어려운 밥벌이가 그를 지치게 만든다. 하지만 여긴 그를 한없이 외롭게만 했던 미국이 아니다. 이제 그의 생일날 바리바리 음식을 싸 들고 그를 찾아오는 어머니가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휴먼 다큐-사랑>은 고아 수출국의 오명을 자신의 40년 생애에 고스란히 새긴 신성혁 씨와 그 어머니의 뒤늦은 모성을 2017년의 가족, 그 자화상으로 그려냈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함께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휴먼 다큐 사랑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