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화중이야>의 한장면

<녹화중이야>의 한장면 ⓒ 노가리필름


일상은 길고 어두컴컴한 터널과 다름없다. 반복적이며 익숙하고 지루하다. 뻔하고 흔한 이 길을 한참 달려야 겨우 아주 가끔씩 특별한 순간이 눈 앞에 펼쳐진다. 말하자면 일상은 '해프닝'이란 역에 도달하기 위해 감내해야 할 재미없는 여행 같은 것이다. 달리 대체할 것도 없지만 그렇다고 딱히 소중할 것도 없는 시간들.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앞으로도 쭈욱 겪어갈 일상은 은연중에 우리가 늘 마시는 산소만큼이나 아무것도 아니다.

영화 <녹화중이야> 속 스물 셋 연희(김혜연 분)의 경우는 좀 다르다. 위암 4기 시한부 인생인 그는 특별할 것 없는 하루하루를 소중히 기록한다. 남자친구 민철(최현우 분)을 찾아가 잠자는 그를 깨우고, 함께 산에 오르고, 공원 데이트를 하는 등의 일상을 캠코더에 담는다. 민철의 친구 우석(서진원 분)과 형 석민(박상규 분)도 심심찮게 등장해 이들과 함께한다. 특별히 무언가를 '포착'하려는 건 아니다. 그저 익숙한 곳에 가고 뻔한 사람을 만나는 일상이 뷰파인더에 담길 뿐이다. 눈에 걸리는 모든 사소한 일들을 캠코더로 기록한다. 더 정확하게는, 모든 일상의 순간 속에서 캠코더는 늘 녹화중이다.

 <녹화중이야>의 한장면

<녹화중이야>의 한장면 ⓒ 노가리필름


서사의 중심은 삶이 얼마 남지 않은 연희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곁을 지키는 민철의 이야기다. 컴퓨터 수리기사 일을 하던 민철은 우연히 출장 온 집에서 은희를 만난 인연으로 연인으로 발전한다. 거듭된 암 투병에도 씩씩하고 밝은 연희는 민철과 알콩달콩 행복한 시간들을 보낸다. 민철의 죽마고우 우석은 연희가 찍은 영상을 영화로 만들기로 하고, 민철의 형 석민은 의사로서 연희의 투병을 돕는다.

다분히 신파적인 설정을 일상적으로 풀어낸 영화의 만듦새는 묘하게 매력적이다. 극중 인물들이 서로 카메라를 주고 받으며 '시선'과 '피사체'의 입장을 오가는 지점은 특히 그렇다. 연희와 민철을 중심으로 형성된 네 인물 간의 관계는 시시각각 주객을 전도시키며 사적 다큐멘터리를 겹겹이 쌓아 올린다. 완전히 독립된 이 세계는 알지도 못하는 누군가의 책상 서랍 속에 숨겨진 먼지쌓인 비디오테이프나 비밀일기장과도 닮았다.

 <녹화중이야>의 한장면

<녹화중이야>의 한장면 ⓒ 노가리필름


등장인물들의 손을 오가며 핸드 헬드 숏으로 촬영된 장면 장면들에서는 현장감이 다분하다. 여기에 클로즈 업 숏 안에서 이루어지는 인물 간의 어쭙잖은 인터뷰는 역설적이게도 주체와 객체의 내면을 더할 나위 없이 깊은 결로 담아낸다. 이들의 (대사가 아닌)대화를 듣고 있노라면 그 시공간 속에 함께하고 있다는 착각이 들 정도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슬퍼진다. '아, 이건 이미 없는 과거의 일이구나' 하고 말이다. 이 와중에 고개를 드는 나오는 괴리감과 상실감은 퍽 아릿하다.

결국 <녹화중이야>는 재현(再現)을 위해 온 힘을 쥐어짜는 작품이다. "故최연희양의 유언대로 이 영상을 공개하는 바입니다"라고, 연희의 죽음을 전제한 뒤 시작되는 영화는 그의 존재를 통해 부재를 상기시킨다. 기록된 사건들이 파편화된 시간 속에 재구성되어 추억으로 소환된다. 각각 연희이기도 하고 남은 이들이기도 한 '그 때의 나'와 '그 때의 당신'이 생생하게 되살아난다. 그렇게 영화는 감정을, 관계를, 삶을 재현한다. 과거를 현재 속에 소환한다. 시간을 다루는 세상 모든 예술의 바람대로 말이다. 오는 2일 개봉.

녹화중이야 페이크다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모든 것에 의미를 담습니다. 그 의미가 당신에게 가 닿기를.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