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딜런

밥 딜런 ⓒ EPA/연합뉴스


노벨문학상, 누군가는 하루키를 말했고, 누군가는 고은을 말했지만 정작 수상한 건 밥 딜런(Bob Dylan)이었다. 그 소식에 나는 두 손 두 발 다 들었다. 놀라긴 했지만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음유시인이 노벨상을 탄 것이었다. 이론의 여지는 없어 보였다.

그런데 외국의 유명 작가들 몇몇이 밥 딜런 수상에 반발하면서, 외신은 물론 외신을 참고하는 우리 언론 역시 '작가가 아닌 밥 딜런이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는 것에 대해 논란이 많다'는 식으로 기사를 내보냈다. 대체 '논란'이 있기나 했던 걸까?

SNS에서 본 절대다수의 영미쪽 대중들과 한국 대중들은 밥 딜런 수상을 '신선하다'면서 환호했다. 누군가는 '문학의 순수성 내지 고유성'을 주장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아주 오랜 기간 수많은 시가 노래로 불렸다는 건 이미 우리 정규교육과정에서부터 배운 것 아닌가. 그렇다면 대중가요 '가사'가 문학작품의 대접을 받으며 상을 받는 것 역시 이상한 일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왜 수많은 '시인'들을 제치고, 역시 '음유시인'으로 일컫어지는 레너드 코헨이나 닐 영도 아닌, '밥 딜런'이 상을 받았는지 의문이 든다면 영화 <초콜렛 도넛>을 보라고 권하고 싶다.

게이 커플은 다운증후군 아이를 입양할 수 있을까?

 파티에 초대받은 루디, 폴, 마르코

파티에 초대받은 루디, 폴, 마르코 ⓒ 주)수키픽쳐스


"노벨상 위원회에서 밥 딜런에게 상을 주면서 '귀를 위한 시'라고 표현했잖아요. 제가 생각하게 '귀를 위한 시'라고 한다면 밥 딜런의 노래는 누군가의 귀에 들어가는 순간이 아니라 누군가의 귀에 들어간 다음에 그 사람의 입으로 다시 나올 때 그의 시가 완성된다고 생각하거든요. 이게 그냥 듣기에 좋은 노래가 아니라 누군가에게 밥 딜런의 노래가 '방패'가 되고 '무기'가 되는 순간들이 실제로 많이 존재했기 때문에 밥딜런 노래의 가치를 이렇게 인정해주는 거 아닌가. (중략) 누군가에게 정말 자기 삶을 노래하는 중요한 도구로 밥 딜런 노래가 사용되는 경우가 영화에도 많이 있었거든요."

MBC 라디오 FM4U '배철수의 음악캠프'에 나온 김세윤 영화평론가는 위와 같이 말하면서 밥 딜런의 노래가 주요하게 쓰인 영화 중 하나로 트래비스 파인 감독의 작품인<초콜렛 도넛>을 지목한다.

<초콜렛 도넛>은 1979년 미국에서 게이 커플이 다운증후군 아이의 입양권을 얻기 위하여 고군분투하는 이야기다.

게이바에서 무용수 일을 하는 루디(알란 커밍 분)의 옆집에는 다운증후군을 겪고 있는 마르코(아이작 레이바)라는 남자아이가 산다. 그런데 마르코의 어머니는 마약에 중독되어서 사실상 아이를 방치하고, 결국 경찰에 체포되어 감옥살이를 한다. 이때 루디와 첫눈에 반해 연인이 된 폴(가렛 딜라헌트)은 루디와 동거를 하며, 동시에 마르코와 함께 가족을 꾸린다. 그러나 이들이 게이 커플인 것이 주변 사람들에 의해 공개되면서, 이들이 가졌던 '입양권'은 상실된다.

이들의 심정이 담긴 노래가 영화의 클라이맥스에, '루디'의 목소리를 통해 나온다. 밥 딜런의 백밴드 출신인 'The Band'의 곡이자, 밥 딜런이 작곡·작사한 'I Shall Be Released(난 풀려날 거야)'였다.

They say everything can be replaced
바꿀 수 없는 건 없다고들 하지
Yet every distance is not near
사람들 사이의 거리는 가까울 수가 없다고
So I remember every face
얼굴 하나하나 모두를 기억해
Of every man who put me here
날 여기에 집어넣은 사람들
I see my light come shining
내 빛이 밝아오네
From the west unto the east
서녘에서 동녘까지
Any day now, any day now
얼마 지나지 않아, 얼마 지나지 않아
I shall be released
난 풀려날 거야

They say every man needs protection
사람들은 말하지 누구나 보호받아야 한다고
They say every man must fall
사람들은 말하지 사람은 누구나 무너진다고
Yet I swear I see my reflection
정말로, 맹세코 내 환영이 눈에 보여
Some place so high above this wall
이 벽 너머 멀리 있는 내가
I see my light come shining
내 빛이 밝아오네
From the west unto the east
서녘에서 동녘까지
Any day now, any day now
얼마 지나지 않아, 얼마 지나지 않아
I shall be released 난 풀려날 거야



'무고한 죄수'에 관해 쓴 이 곡을 절규하듯 부르는 모습은 이 영화에 큰 설득력을 부여한다. 게이 커플이 만난 지 며칠 만에 동거를 하고, 다운증후군을 겪고 있는 마르코를 입양하고, 생판 '남'인 그를 키우기 위해 모든 위험을 감수하며 사는 이유에 대해 이 영화가 짜임새 있게 설명하고 있진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알란 커밍이 부른 'I Shall Be Released'는 자신들의 신분을 '무고한 죄수'에 비유하면서, 그들의 감정선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했다. 실제로 '초콜렛 도넛'의 원제는 'Any Day Now'인데, 이것은 'I Shall Be Released' 가사의 한 부분이다. 알란 커밍은 이 곡에 대해 "곡이 이야기와 매우 잘 어울릴 뿐 아니라, 우리 영화의 주제곡이라서 기뻤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지난해 미국에서 동성커플의 결혼이 합법화됐다. 이들의 바람처럼 'Any Day Now'는 아니었지만, 긴 시간을 거쳐 드디어 이들은 '무고한 죄수' 신분에서 벗어났다. 어쩌면 2012년에 나온 이 영화도 대법원이 내린 '동성결혼 합헌' 결정에 작은 보탬이 됐을지 모른다. 그리고 이 곡에서 주인공들의 '무기'였던 밥 딜런의 가사는 그의 시대인 60년대 히피정신을 대변하였을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도 수많은 민중들의 생활 속에서 숨쉬고 있었다는 것을 이 영화는 증명한다. 

"밥 딜런이 반드시 필요했던 순간이 이 영화였고, 밥 딜런 노래가 아니면 안 되었던 순간이 바로 <초콜렛 도넛>에 등장하거든요. 위대한 시인의 조건이라면, 시인이라는 건 결국 누군가에게 언어를 선물하는 거잖아요. 누군가에게 자기 이야기를 대신할 언어를 선물해주는 사람이 시인이라면 초콜렛 도넛의 주인공에게는 밥 딜런이야말로 최고의 시인이죠.

누군가에게 언어를 선물하고, 누군가에게 그의 노래가 깃발이 되고, 방패가 되고, 무기가 되는 순간들이 영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데 그게 밥 딜런 노래일때가 굉장히 많아요. 감상용 혹은 분위기를 띄우는 노래로 많은 노래들이 사용되지만, 누군가의 노래가 주인공의 입을 통해서 다시 불려지는 노래를 보면 밥 딜런 노래나 부르스 스프링스틴 노래가 많이 사용되거든요."

'시인이라는 건 결국 누군가에게 언어를 선물하는 것', 김세윤 영화평론가의 말은 밥 딜런이 왜 노벨문학상을 받을 수 있었는지에 대해 정확하게 설명한다. 그는 어떤 시인보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언어'를 선물했기 때문이다.

밥딜런 밥 딜런 초콜렛 도넛 I SHALL BE RELEASED 동성결혼
댓글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메가3같은 글을 쓰고 싶다. 될까? 결국 세상을 바꾸는 건 보통의 사람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