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TBC


저녁 무렵 당신의 집에 낯 모르는 누군가가 찾아와 식사를 함께 해달라고 한다면? 당연히 씨알도 먹히지 않는다. 그런데 만약, 그 누군가가 당대 최고의 개그맨이라면? 반가움은 있겠지만, 준비되지 않는 우리 집 저녁 밥상을 '개그맨'을 빙자한 방송에 공개한다는 건 어쩐지 무리다. 차라리 아쉽고 말지. 지난 19일 첫선을 보인 <한끼줍쇼>의 1회를 요약한다면 이 정도가 아닐까?

큰소리 치며 숟가락 하나 달랑 들고 야심만만하게 떠난 강호동과 이경규의 여정은 7시간의 행보 끝에 실패하고 만다. 궁여지책 편의점에서 식사하는 여고생들 틈에 껴서 컵라면을 먹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다음 회를 기약하며. 그런데 다음 회엔 가능할까?

이경규, 강호동도 어찌 해볼 도리가 없는 도시의 저녁

지금도 재래시장에 가면 간혹 만나지만 그리 오래지 않은 시절에 경문을 외며 집집이 '보시'를 받으러 다니는 탁발승이 있었다. 스님은 음식을 얻으면서도 오히려 음식을 나누어 주는 사람이 자신의 업을 덜 수 있다고, 그를 구원해준다며 당당했다. '보시'가 가능했던 것은 담이 낮았던, 담만큼 인심이 넉넉했던 집 내부와 외부가 열린 '마을 공동체'가 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오늘날은 어떨까? 아파트라면 경비실을 넘지 못할 것이요, 혹시라도 넘는다 하더라도 '업무가 불성실하다'며 경비원이 경고를 받게될 것이다. 단독 주택이나 빌라라면 문이 열리기는커녕, 인터폰으로 일언지하에 거절당하는 것이 당연한 세상이다. 도시가 아닌 시골이라면 다를까?

ⓒ JTBC


도시의 이경규와 시골의 이경규는 달랐다. 지난 6월 22일 종영한 <예림이네 만물 트럭>을 몰고 이경규는 그의 딸 예림이와 유재환과 함께 시골 마을을 누볐다. 어르신들에 필요한 물건을 가져다 드리는 목적이었지만, 그게 아니더라도 홀로 계신 어르신들이 대부분인 집에서 이경규는 언제나 환영이었다. 마을 노인정에서도 무사통과였다. 하지만 어르신들에게 프리패스였던 이경규가 '도시'로 오니, 그의 자신만만함이 옹색해진다. 당장 거리로 나서니, 그의 수제자이자 파트너라는 강호동의 너스레는 백발백중인 반면, 이경규는 그를 알아보는 사람들이 있는가 싶게 인지도부터 떨어진다.

하지만 강호동의 너스레라고 다 통하지는 않는다. 이제는 기억도 가물가물한 '천하장사'를 내세워도 닫힌 문은 요지부동이다. 예능 대부 이경규라는 이름표도, 철 지난 강호동의 '천하장사'란 타이틀도 무색해지게 결국에 쫄쫄 굶고만 <한끼줍쇼>. '규동'이라 이름 붙인 '망원동 브라더스'의 어정쩡한 조합을 각인하기 위해, '밥 한 끼'의 소중함을 부각하기 위해 굶을 만도 하겠다 싶다. 하지만, 그 이전에 이 프로그램의 취지가 때늦어 버린 건 아닌가라는 노파심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다.

시대를 잘못 타고난 예능은 아닐까?

프로그램 말미 강호동은 '실패했다' 말하지 말고 '성공하지 못했다'로 하자며 자위한다. 비록 밥은 얻어먹지 못했지만, '망원동'에 대해 충분히 알게 됐다고 자부한다. 그러나, 몇 십년 만에 처음 지하철을 타고 망원동에 내려 해가 저물도록 품을 팔았지만, '망원동'이란 동네가 그리 정겹게 다가오지 않는다. 강호동이 '문학적'이란 수식어를 내세우며 강조한 것이 무색하게 말이다. 오히려 어디를 가나 인기척 대신 꽉 닫힌 문들로 점철된 도시의 동네를 마주하게 될 뿐이다. 해가 지니 으슥하게 느껴질 정도로.매번 거절당하기도 했지만, 그 이전에 과연 저 집들 중 어떤 집이 '저녁'이 있는 삶을 누릴까 하는 회의가 먼저 든다.

'저녁이 있는 삶', 모 정치인의 슬로건으로 시작된 이 단어. 하지만 도시민의 '저녁'은 그리 녹록지 않다. '가족'을 이루어 사는 집보다 홀로 사는 이의 가구가 더 많아져 버린 나라에서 엄마가 부르는 소리에 음식 냄새 풍기는 집으로 달려가 퇴근하신 아버지와 함께 밥상머리에 빙 둘러앉아 한 끼를 나누던 그 저녁은 이제 '추억'의 한 장일 뿐이다. <응답하라>라는 드라마가 그토록 '붐'을 이뤘던 것은 이제는 잃어버린 도시 공동체를 기억 속에서 '소환'했기 때문이었다. 저녁시간을 오후 6시부터 8시까지로 정해놓고 두 MC가 망원동을 헤매는 시간, 그들이 헤맨 골목에는 불이 켜진 집이 그리 많지 않았다. 겨우 불을 밝힌 집으로 찾아가면 거절당하기 일쑤다. 지하철에서 만난 신혼 아내의 고백처럼 하루 한 끼도 밥을 나누지 못하는 부부들이 사는 세상에서, 애초에 밥숟가락 하나 얹을 저녁상을 받을 집이 '희박'한 것이다.

취지는 좋다. 도시의 저녁을 함께 나누며 잃어버린 도시의 온기를 느껴보는 것만큼 낭만적인 것이 어디 있으랴. 하지만 그 밥 한 끼의 낭만이 시대착오가 되어가는 세상에서, <한끼줍쇼>가 고민해야 할 것은 25년 만에 처음으로 만나 어색한 '규동' 커플의 어울리지 않음이 아니라, '저녁'을 잃어버린 '도시'가 아닐지. 이는 그 옛날 '양심 냉장고' 같은 캠페인으로도 해결될 길 없는 시대의 삭막함이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함께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한끼 줍쇼
댓글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16년부터 오마이뉴스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팟캐스트 '말하는 몸'을 만들고, 동명의 책을 함께 썼어요. 제보는 이메일 (alreadyblues@gmail.com)로 주시면 끝까지 읽어보겠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