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이 기사에는 영화의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편집자말]
 영화 <탐정 홍길동> 포스터

영화 <탐정 홍길동> 포스터 ⓒ 비단길


2012년 <늑대 소년>을 통해 '송중기 신드롬'을 선도했던 조성희 감독이 돌아왔다. 이번엔 탐정이 된 이제훈이다. 심지어 그는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했던' 홍길동이 되어 나타났다.

중세 유럽에서부터 회자돼 왔던 전설 '늑대 인간'을 통해 비윤리적인 어른들의 세계와 야수의 욕망을 지니지만 순수함을 간직한 늑대 소년의 사랑을 대비시켰던 조성희 감독. 송중기라는 배우를 보기 위해 뭇 여성들의 발길을 끌어당겼지만, 그 완성도나 작품성에서는 후한 평가를 받지 못했다. 그가 2년 만에 선보인 <탐정 홍길동: 사라진 마을(아래 <탐정 홍길동>)>은 이제 본격적으로 '조성희 월드'의 시작임을 알리듯, 영화 전편에 조성희다운 색채가 흠뻑 칠해져 있다.

어른들: 광신도들이 판치는 세상

 <탐정 홍길동>의 홍길동은 자신의 어머니를 죽인 원수 김병덕을 찾아 길을 떠난다.

<탐정 홍길동>의 홍길동은 자신의 어머니를 죽인 원수 김병덕을 찾아 길을 떠난다. ⓒ 비단길


영화가 시작하자마자 스스로 자신을 활빈당의 수장이라 소개하며 신출귀몰 탐정으로서의 면모를 선보이는 홍길동(이제훈 분), 그는 자신의 어머니를 죽였던 원수 김병덕을 찾아 길을 떠난다.

하지만 간발의 차이로 원수 김병덕을 놓치고 대신 그에게 남겨진 두 손녀를 볼모로 떠맡는다. 말순(김하나 분)과 동이(노정의 분)다. 원수의 손녀와 함께, 원수를 찾아가는 로드 무비의 형식을 띤 <탐정 홍길동>은 그 여정을 통해 어린 시절 사고를 통해 잃었던 홍길동 좌측 해마의 숨겨진 기억과 앞으로 발생할 마을의 사건을 통해 어두운 실체 '광은회'를 밝혀가는 과정이다.

<늑대 소년>에서도 그랬듯이, <탐정 홍길동>의 배경은 모호하다. 등장인물의 옷차림과 등장하는 장소의 분위기, 그리고 TV에 나온 광은회 인물들의 행태로 보아, 1970년대, 그 어디쯤의 한국 사회로 추정된다. 하지만 그렇게 추정될 뿐 그보다는 현실의 한국을 빗댄, 가상의 어느 나라, 어느 공간이라고 하는 것이 정확한 표현일 듯하다. 마치 영화 <씬시티>의 그 암흑 도시와 <배트맨>의 고담시처럼.

악이 횡행하는 그 도시들처럼, 거짓말이 장기라는 홍길동보다 마을 사람들은 더 거짓말을 천연덕스럽게 한다. 또한 국민을 위하는 듯한 미사여구를 펼치는 TV 속 인물들의 손목엔 광은회의 표식이 숨겨져 있다. 영화 후반, 광신적 종교적 집단인 광은회는 마을을 이루며 집단 종교 생활을 했고, 그 과정에서 신자들을 희생시키며 축적한 부를 통해 사회와 정치 전반의 실세로 등극했다는 것이 드러난다.

현실 사회의 복제

영화는 형제복지원 사건 등을 통해 드러난 우리 사회의 광신도 조직 사건을 고대로 빼닮았다. 이들은 축적된 부를 통해 사회의 지도층으로 성장해 나간다. 조성희 감독이 규정하는 우리 사회의 기득권층을 설명하는 단어는 광신과 권력이다. 이는 <늑대 소년>에서도 소년을 살인 병기로 만들었던 박병두로 상징된 어른들과 그리 다르지 않다.

자신의 능력인 과학 기술을 통해 좀 더 나은 인간을 만들고자 하는 실험이, 맹목적 권력욕으로 변질하며 늑대 소년을 만들었듯이, <탐정 홍길동>의 광은회는 광신의 힘으로, 사회를 장악한다. 조성희가 두 작품을 통해 그려낸 대한민국 현대사는 성장이라는 광신적 목적에 빠져, 애꿎은 생명을 희생시킨 나쁜 어른들의 역사다. 이제 그들은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한 마을을 희생양으로 삼는다.

광은회의 마을은 사라졌지만, 실은 사라진 것이 아니다. 이들은 사회를 지배하는 권력층으로 계승 발전됐고,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순박한 사람들의 마을을 희생양으로 삼는다. 마을이 희생된다는 점에서 2014년 방영된 SBS <쓰리데이즈>의 양진리 사건과 유사하다. 현실에서도 영화에서도 기득권층은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무고한 마을 사람들의 희생'을 제물로 삼는다.

물론 광신론적이며 권력을 쟁취하고 계승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나쁜 어른들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순박한 어른들도 있다. <늑대 소년>의 마을 사람들처럼, <탐정 홍길동>의 마을 사람들도 그렇다. 선인지 악인지 모호했던 그들은 영화가 진행되며 아이들을 지키기 위해 기꺼이 자신의 목숨을 희생한다. <늑대 소년>에서 강박사로 등장해 늑대 소년의 사살을 막기 위해 애썼던 유승목 배우가, 다시 한 번 정비소 주인으로 등장해 위기의 홍길동 일행을 구출한다. 하지만 홍길동 일행을 구출하려 했던 여관 주인 정성화나 유성목이나 몰살에 무방비했던 마을 주민들은 권력이 된 광은회에 무기력한 모습을 보인다. 순박하지만 무기력한 어른들, 이 또한 조성희 월드의 또 하나의 표식이다.

어른이 만들어낸 괴물 아이: 홍길동

 <탐정 홍길동>의 강성일 역 김성균 연기의 진폭이 다소 아쉽다.

<탐정 홍길동>의 강성일 역 김성균 연기의 진폭이 다소 아쉽다. ⓒ 비단길


홍길동이 홍길동인 이유는 영화의 클라이맥스에 밝혀진다. <늑대인간>과 <탐정 홍길동>은 전혀 다른 길을 가는 이야기지만, 그런데도 두 영화의 주인공들은 광신적 목적에 빠진 아비들이 만들어 낸 자식이 그 트라우마로 '괴물'이 되었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홍길동은 자신의 장기가 거짓말이라고 주장하듯(그 거짓말은 어린 소녀 말순조차 속이지 못할 만큼 어설프다), 눈 하나 깜짝하지 않고 자신이 적이라 생각한 인물의 목숨을 거두어 버리듯 좌측 해마의 장애로 감정을 상실한 인물이다. 늑대 소년이 인간성과 야수성을 동시에 가지면서 괴물이 되어버리듯, 홍길동은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로 기억의 단편을 잃고, 감정을 상실한다.

또한 늑대 소년이 이름조차도 순박한 순이와 마을 사람들을 통해 인간성을 회복해 가듯 홍길동도 마찬가지다. 홍길동은 원수의 자식 동이와 말순과 같은 아직 사회적으로 상처받지 않은 이들을 통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스스로 인간적으로 회복되어간다.

하지만 그저 인간적이라는 단편적 파편의 감정들이 복수를 향한 그의 여정을 막지 못한다. 인간적 감화를 받지만, 홍길동은 복수를 향한 행로를 멈추지 않는다. 전래 소설 속 홍길동은 아비라 부름을 허가받고 아비랑 화해하지만, 영화 속 홍길동은 '아비를 아비라, 형을 형이라' 부르는 것을 거부한다. 그리고 단죄한다. 홍길동은 꿋꿋이 부조리한 아버지의 세계와 맞서 싸울 것을 다짐하며 영화는 마무리된다.

프랑스 만화 <땡땡의 모험>과 비슷한 모양새를 하고 선과 악의 경계를 오간다지만, 결국 말순과 동이의 손아귀에서 어수룩하게 넘어가며 각성제를 수시로 삼키는 신경질적인 인물 홍길동. 영화 전체적 분위기가 어두운 것에 비해 그다지 다크하지도, 안티 히어로 같지도 않은 범죄물 영화나 드라마 어디선가 본 듯한 인물이다. 하지만 결정적으로 선한 이 인물은 광신적인 아비를 처단하는 도덕적 판단을 내릴 존재로 적절했다.

결국 나쁜 아비의 세상에서, 또 다른 순박한 아비들은 희생될 뿐이다. 이는 아들의 단죄를 통해 청산돼야 한다고 조성희 감독은 말한다. <탐정 홍길동>은 이런 감독의 주제 의식에 충실하게 전개되며, <늑대 소년>의 불투명했던 주제와 허술했던 전개에서 진일보한 이야기를 선보인다. 이형곤 감독의 <구미호 가족>의 독특한 분위기, 나아가 박찬욱의 미쟝센, 김지운의 분명한 색채마냥 조성희 월드가 한결 뚜렷해진 점이 반갑다. 영화 말미 노골적으로 드러낸 속편의 가능성에서 보이듯, 아마도 <탐정 홍길동>의 다음 편에서는 더더욱 진화한 조성희 월드를 만날지도 모르겠다.

홍길동으로 분한 이제훈과 강성일 역의 김성균, 그리고 김병덕의 박근형은 모두 캐릭터에 맞는 성실한 연기를 보인다. 형을 형이라 부를 수 없었던 홍길동 형제의 비애가 좀 더 두드러졌으면, 그래서 김성균의 진폭이 컸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기는 한다. 이들의 성실한 연기 사이로 톡톡 튀어 오른 사람은 예측을 불허하는 신스틸러 말순의 김하나이다. 하지만 말순이 <늑대 소년> 송중기만큼의 신드롬을 불러올 것 같지는 않다. 과연 조성희 감독은 홍길동 2편을 다시 만들 수 있을까? <시빌 워>의 압도적인 상영관 장악이 아쉽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함께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탐정 홍길동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16년부터 오마이뉴스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팟캐스트 '말하는 몸'을 만들고, 동명의 책을 함께 썼어요. 제보는 이메일 (alreadyblues@gmail.com)로 주시면 끝까지 읽어보겠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