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듀스 101', 시선강탈 연습생 소녀군단!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Mnet <프로듀스 101> 제작발표회에서 보컬 트레이너 김성은, 안무가 배윤정, 래퍼 치타, 대표 프로듀서 장근석, 가수 가희, 가수 제아가 101명의 연습생들과 함께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프로듀스 101>은 국내 46개 기획사에서 모인 101명의 여자 연습생들이 참가한 초대형 프로젝트로, 국민 프로듀서가 된 시청자들의 투표를 통해 발탁된 최종 멤버 11명이 유닛 걸그룹으로 데뷔하는 과정을 그린 프로그램이다. 22일 금요일 밤 11시 첫 방송.

▲ 시선강탈 연습생 소녀군단 지난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Mnet <프로듀스 101> 제작발표회에서 보컬 트레이너 김성은, 안무가 배윤정, 래퍼 치타, 대표 프로듀서 장근석, 가수 가희, 가수 제아가 101명의 연습생들과 함께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프로듀스 101>은 국내 46개 기획사에서 모인 101명의 여자 연습생들이 참가한 초대형 프로젝트로, 국민 프로듀서가 된 시청자들의 투표를 통해 발탁된 최종 멤버 11명이 유닛 걸그룹으로 데뷔하는 과정을 그린 프로그램이다. ⓒ 이정민


101명의 사람으로 채워진 프로그램이지만 사람이 없다. 연습생은 걸그룹이라는 완제품을 위한 부품이 된다. 그 완제품을 조립하는 데는 당신 즉 국민 프로듀서의 허락, 공포가 필요하다.

연습생이라는 부품을 사용해 완제품 걸그룹을 만들어내는 프로그램, <프로듀스 101>의 이야기이다.

부품(연습생) 조립해 완제품(걸그룹) 만드는 국민 프로듀서

Pick me 'Pick me, pick me, pick me, pick me I want you pick me up'의 가사가 이들의 처지를 잘 대변한다.

▲ Pick me 'Pick me, pick me, pick me, pick me I want you pick me up'의 가사가 이들의 처지를 잘 대변한다. ⓒ Mnet


참가자는 A에서 F로 평가받는다. 등급이 나뉜 뒤 연습생에게 주어지는 것은 소속사, 이름, 등급이 새겨진 이름표와 옷이다. 등급별로 색깔이 다른 옷과 등 뒤에 크게 새겨진 알파벳 대문자가 곧, 그들 자신이 된다. 그 옷은 연습생이라는 부품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서가 된다.

이 부품을 모아 걸그룹이라는 완제품으로 만들어 줄 사람은 '국민 프로듀서'다. 심사위원이 아닌 당신이다. 기존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심사위원은 큰 역할을 차지했지만, 여기서는 보조 트레이너에 그친다. 프로그램은 당신을 강조한다. 프로그램 첫 화 초반, 장근석과 연습생들은 허리를 90도로 굽히며 외친다. "프로듀서님 잘 부탁드립니다!" <프로듀스 101>은 얼굴 본 적 없을 연습생의 생살여탈권을 화면을 보고 있는 이름 모를, 당신에게 준다.

<프로듀스 101>은 국민 프로듀서가 결정적이다. 모든 서바이벌 오디션이 그렇듯 꿈을 향해 달려가는 참가자를 찍는다. A등급이 추락하고 F등급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등급 재조정을 통해, 실력 있는 사람도 3일간 제대로 연습하지 않으면 떨어질 수 있고 실력이 모자란 사람도 연습하면 등급이 바뀔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딱 거기까지다. A등급이어도 당신의 선택을 받지 못하면 소용이 없다. "하면 된다, 포기하지 말자"고 트레이너들은 말하지만, 국민 프로듀서의 결정을 받지 못하면 열심히 해도 꿈을 이루지 못한다.

<프로듀스 101>의 주제가 격인 'Pick me'의 가사를 보면 확실해진다. '우리는 꿈을 꾸는 소녀들, 너와 나 꿈을 나눌 이 순간'부터 보자. 101명의 '소녀들'은 그룹 데뷔를 꿈꾼다. 하지만 그 꿈은, 당신이 소녀들과 공유하겠다고 허락하는 그 순간에만 가능하다. 데뷔를 위해 노력하지만, 당신이 동의할 때만 의미 있게 되는 것이다.

'나(국민 프로듀서)'는 소녀의 꿈을 응원하기 위해 그녀를 선택한다. 하지만 나의 선정을 받지 못한 소녀는 꿈을 꿀 수 없다. 그렇기에 소녀들은 자신을 뽑아 달라고 노래한다. 'pick me, pick me, pick me, pick me I want you pick me up!' 연습생의 모든 노력은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가사처럼, 화면 밖에서 자신들을 보고 있는 얼굴도 본 적 없는 자의 선택을 받기 위함이다. 당신의 승낙이 필요하다.

아이돌 시장의 소비자는 바로 국민 프로듀서인 당신

101개의 부품 101개의 부품이 나란히 전시됐다. 이를 완제품 걸그룹으로 조립하는 건 국민 프로듀서의 몫이다.

▲ 101개의 부품 101개의 부품이 나란히 전시됐다. 이를 완제품 걸그룹으로 조립하는 건 국민 프로듀서의 몫이다. ⓒ SBS


당신의 허락 여부는 <프로듀스 101> 연습생의 공포와 맞물린다. 당신은 걸그룹을 소비하는 주체다. 그렇기에 국민 프로듀서인 당신의 선택을 받지 못하면 연습생으로 돌아가야 한다. 당신에게 자신의 필요성을 호감을 사지 않으면 그 말은 데뷔할 수 없다는 것이기에 연습생들은 공포를 느낄 수밖에 없다. 연습생에게 데뷔 이후는 걱정이 아니다. 데뷔를 이룬 사람들만의 걱정일 뿐이다.

프로그램 첫 화에서 나왔듯 그들의 데뷔는 '알 수 없음'이다. 연습생 기간이 데뷔를 보장하지도 않는다. 모두 한 번이라도 데뷔해본 연습생을 부러워한다. 성공이나 실패 여부는 고려 대상이 아니다. 데뷔 그 자체가 꿈인 이들은 여기서 탈락한다면, 바닥으로 돌아가야 한다. 소비자인 '당신(국민)'의 선택조차 받지 못했는데, 다시 시작한들 무슨 의미가 있을까. 그 숨겨진 공포가 연습생을 떨게 하고 프로그램을 지탱한다.

이들의 노력은 프로그램 후반, 통지서 한 장과 투표 숫자로 요약된다. 학생들이 입시를 위해 노력했던 3년에서 12년의 세월이, 고작 수능 성적 통지표 한 장에 숫자로 인쇄돼 나온 것처럼 말이다. 그 통지표의 결과에 따라 당신의 가치가 평가됐듯 그들도 채점된다.

"스스로 운명을 만들 수 있어" vs. "그들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어"

'프로듀스 101' 베일 벗는 연습생들!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Mnet <프로듀스 101> 제작발표회에서 101명의 연습생들이 포토타임을 갖고 있다. <프로듀스 101>은 국내 46개 기획사에서 모인 101명의 여자 연습생들이 참가한 초대형 프로젝트로, 국민 프로듀서가 된 시청자들의 투표를 통해 발탁된 최종 멤버 11명이 유닛 걸그룹으로 데뷔하는 과정을 그린 프로그램이다. 22일 금요일 밤 11시 첫 방송.

▲ '프로듀스 101' 베일 벗는 연습생들 지난 1월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Mnet <프로듀스 101> 제작발표회에서 101명의 연습생들이 포토타임을 갖고 있다. ⓒ 이정민


<프로듀스 101>은 선택받지 못한 연습생은 탈락이 아니라 '방출'된다고 말한다. 소비층인 국민 프로듀서의 선택을 받지 못하면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탈락은 영역 안에서 이뤄지지만, 방출은 영역 밖으로 내쳐진다. 방출 시스템은, 나는 허락한 적 없는 '국민' 프로듀서라는 이름과 연습생의 간절함을 팔아 돌아간다.

프로그램은 노력하면 F 등급도 걸그룹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자신의 주특기는 노래이지만 춤을 못 춰 눈물을 흘리면서도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를 외치고, F등급을 매긴 자신의 트레이너에게 머리 숙여 "감사합니다"라고 말하는 이유다. 하지만 국민 프로듀서의 선택을 받아야만 꿈을 이룰 수 있도록 설정해 놓음으로써, 프로그램은 연습생을 조롱한다. 그리고 이 감사와 조롱 등을 애매하게 섞어 놓았다. 시청자의 선택을 받지 못하면, F에서 A로 올라갈 정도로 노력한 것도 소용이 없다. 그리고 이 체제를 만든 프로그램은, 그런 걸 기획한 적이 없다는 듯, 슬쩍 뒤로 빠진다. 당신과 연습생만 남는다.

프로그램은 말한다. "당신의 한 표가 소녀들의 운명을 결정한다"며 "당신의 소녀에게 투표하라"고. 연습생에게는 노력하면 꿈꿀 수 있기에 스스로 운명을 결정할 수 있다고 말하지만,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당신에게는 연습생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모순이다. 누가 이 엉킨 실타래를 풀 수 있을까. 엉킨 실타래의 시작점을 찾는 것조차 어려워 보인다.

프로듀스 101 장근석 국민 프로듀스 MNET
댓글3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2014년 5월 공채 7기로 입사하여 편집부(2014.8), 오마이스타(2015.10), 기동팀(2018.1)을 거쳐 정치부 국회팀(2018.7)에 왔습니다. 정치적으로 공연을 읽고, 문화적으로 사회를 보려 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