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강남 1970>의 한 장면.

영화 <강남 1970>의 한 장면. ⓒ 쇼박스(주)미디어플렉스


영화 <강남 1970>이 개봉 3주차에도 꾸준한 관객몰이를 하고 있다. 이 영화는 1970년 강남 개발을 둘러싼 탐욕의 정글에서 돈, 땅, 권력에 얽힌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서로 의지하며 살던 가족 같고 친구 같던 두 사람의 우정이 변해가는 모습을 중심으로 탐욕의 어두운 모습을 보여준다. 순수했던 사람들이 탐욕을 희망으로 착각하고 오직 탐욕을 쫓았을 때 어떻게 변해가는지 통렬히 보여주고 있다.

유하 감독의 '거리 3부작' 마지막 편인 <강남 1970>에는 잔혹한 돈냄새, 피냄새, 살냄새가 가득하다. 스토리는 논외로 치더라도 그 잔혹함과 비정함은 이미 전작들을 거친 표정으로 압도한다. 전작이 비열하게 슬픈 드라마라면 <강남 1970>은 가혹하게 잔혹한 영화라고나 할까?

시작은 인상적이다. "언제 사람처럼 살겠습니까?"란 종대(이민호 분)의 말처럼, 그저 사람처럼 살고 싶다는 희망이 욕망으로 변하는 순간을 이 영화는 강렬하게 담아내고 있다. 탐욕을 자신의 꿈으로 혼동하고, 현실을 미래를 위한 희생으로 착각하는 종대와 용기(김래원 분)의 모습을 이 영화는 시작과 동시에 맹렬히 따라간다.

두 주인공들은 불나방 같은 질주를 보여준다. 의리도 우정도 사랑도 배신하는 인물들 처럼, 영화는 사회적 정의나 약자에 대한 고려들이 배제된 1970년 영화 속 강남의 모습을 비춘다. 그들의 질주 뒤에는 탐욕을 꿈과 희망으로 착각하며 달려가는 사람들과 춤바람에 인감도장과 땅문서를 건네는 여자들까지 담겨 있다. 그렇게 이 영화는 과거와 현 사회로 이어지는 땅과 돈에 대한 원초적 욕망을 풀어낸다.

우울한 종대와 비열한 용기를 통해 보는 대한민국의 민낯

거친 땅위에서 밝은 태양을 보며 걸어가는 민마담(김지수 분)과 종대 일행. 그들이 바라보는 넓은 땅위로, 그들을 비추는 태양 빛은 그리 길지 않다.

영화 속 그들의 불안전한 기대만큼 현실의 우리들의 삶 또한 녹록치 않다. 부동산 개발 붐으로 '아파트'라는 노래가 히트했던 시기 1982년,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전 국민이 아파트에 살기라도 할 것처럼 꿈에 부풀던 시절. 그후 무려 33년이 지나 2015년이 되었지만 변변한 아파트 한 채 구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부동산이 개발되고 아파트가 지어질수록 집 구하기 어려워지는 현실은 과연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

강남 개발을 다룬 영화는 묘하게도 이런 현실과 비슷하게 맞아떨어진다. '돈용기, 땅종대'라며 사람답게 살고자 욕망에 영혼을 팔게 되는 그들. 자신들의 욕망을 이루고자 권력의 끈이 시키는 일을 하면 할수록 이들은 더욱 궁지로 몰린다.

그러한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더욱 비열해지고 잔인해지는 두 사람. 결국 더럽고 추악한 거래의 단물은 그들에게 남지 않는다. 마지막 종대가 터널을 빠져나가기 위해 철로 옆 자갈 바닥을 힘겹게 긁어나가듯 고통스러운 터널 속 자신만 존재할 뿐. 밝은 태양이 비추는 출구는 멀기만 하다.

종대에게 머나먼 출구처럼, 변변한 아파트 한 채 구하기 힘들어 우울해 하는 젊은이들과 옆 사람이 아닌 자신이 정규직이 되기 위해 비열해지는 혹독한 현재의 상황은 닮은꼴이다.

희망을 던져주는 사회 Vs. 탐욕을 던져주는 사회

 영화 <강남 1970>의 한 장면.

영화 <강남 1970>의 한 장면. ⓒ 쇼박스(주)미디어플렉스


세계 최초로 세계 일주를 한 포르투갈의 마젤란, 스페인 여왕의 투자로 희망에 가득 차 탐험에 나섰던 이탈리아 청년 콜럼버스. 그 후 약 500년뒤 IMF를 겪은 한국의 젊은이들에겐 '벤처'라는 희망이 존재했다. 그 희망을 바탕으로 신성장 동력을 만들어 위기를 돌파하던 시대가 있었다.

하지만 <강남 1970> 속 종대와 용기의 강남과 현재의 사회는 그렇지 않다. 청춘을 담보하고 미래를 볼모로 하는 사회. 그저 탐욕을 던져주며 꿈으로 착각하게 만드는 사회. 가혹한 현실의 진행형의 모습일 뿐이다. 젊은 청춘들에게 탐욕스런 욕망이 아닌 건전한 희망을 던져주는 지혜로운 모습은 이제 존재하지 않는다.

희망이 작용하는 법칙을 잊은 1970년의 강남과 현재의 대한민국. 관성을 잃어버린 희망은 탐욕으로 바뀌어 그들에게 욕망을 던져 준다. 오히려 그 욕망이 희망과 꿈으로 포장되어 우리를 유혹한다. 허나 그 욕망의 결과는 화면 가득히 채운 처절한 종대와 용기의 모습으로 가혹하고도 직설적으로 보여준다.

2015년 대한민국의 비정규직은 청춘을 담보로 정규직을 꿈꾸게 하고, 1970년의 영화 속 종대와 용기는 인생을 담보로 돈과 권력을 품은 탐욕의 불나방으로 만들어 버린다. 탐욕에 가득 차 있어야 탐욕으로 가득 찬 사회의 노예가 될 수 있음을 이미 이 사회는 알고 있는 것이다.

'강남 1970'이 보여준 은유 '욕망은 아무도 보호하지 않는다'

과거는 한번 지나가면 돌아갈 수 없는 시간일 뿐이다. 극 말미 종대는 오히려 용기와의 넝마주이 시절을 그리워한다. 그토록 원했던 자신의 현재 상황이 아닌, 오히려 벗어나려고 했던 과거를 그리워하고 있는 것이다. 그가 넘겨 보던 흑백사진처럼 말이다.

그저 '사람답게 살겠다'며 품었던 자신의 희망이, 꿈이 욕망으로 변하고 난 뒤엔 이미 멈출 수 없게 되어 버렸다. 용기가 종대에게 칼을 겨누는 것처럼 그 욕망은 그 자체가 생물이 되어 아무도 보호하지 않는다.

탐욕마저 희망으로 착각하게 만든 어지러운 세상. 다행히도 그 틈바구니에서 탐욕과 욕망이 아닌 진짜 희망을 품고 그 결과를 간직한 작은 역사가 있다. 어쩌면 영화 <국제시장> 속 "이만하면 잘 살았지예. 내 진짜 힘들었거든예"라는 덕수(황정민 분)의 말은 희망으로 욕망을 넘어선 부모 세대의 기억을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강남 1970> 속 종대가 끝까지 터널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것처럼, 욕망은 아무도 보호하지 못한다.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는 욕망과 탐욕을 나 자신의 꿈과 희망으로 착각하고 있는 건 아닐까? 잊지말아야 할 것은 청년을 버리는 나라의 미래는 어두운 그림자 뿐이라는 것이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미디어리포트에도 송고됩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게재를 허용합니다.
강남 1970 이민호 김래원 유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삶은 기록이다" ... 이 세상에 사연없는 삶은 없습니다. 누구나의 삶은 기록이고 그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사람사는 세상 이야기를 사랑합니다. p.s 오마이뉴스로 오세요~ 당신의 삶에서 승리하세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