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스타>는 스타는 물론 예능, 드라마 등 각종 프로그램에 대한 리뷰, 주장, 반론 그리고 인터뷰 등 시민기자들의 취재 기사까지도 폭넓게 싣고 있습니다. 언제든지 '노크'하세요. <오마이스타>는 시민기자들에게 항상 활짝 열려 있습니다. 편집자 말

이병헌, 검은 정장차림으로 증인 출석 배우 이병헌씨가 2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증인진술을 마치고 법원을 빠져 나오고 있다.

배우 이병헌 ⓒ 이희훈


올 초 연예계를 뜨겁게 달구는 이병헌-이지연 카카오톡 대화와 클라라-폴라리스 회장의 문자 메시지에선 몇 가지 공통점이 읽힌다. 첫 번째는 지극히 사적인 영역에서 나눈 그들의 대화가 언론을 통해 공개됐다는 것이고, 두 번째는 메시지 내용 공개 이후 이병헌과 클라라가 대중의 조롱거리로 전락했다는 점이다. 대화 내용엔 지대한 관심을 기울이면서 정작 문자메시지가 유출된 경로에 대해서는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다는 점까지도 꼭 닮았다. 

참 이상하다. 문자메시지의 내용을 공개한 언론에서는 '알 권리' 차원에서 이를 공개했다고 밝히고 있지만, 도대체 누구를 위한 '알 권리'인지 모르겠다. 만약 이병헌과 이지연의 대화, 클라라와 폴라리스 회장의 문자 메시지 내용이 공익에 부합하거나 공공의 안녕에 위배되는 내용이라면 이야기는 달라지겠지만, 두 사건은 그저 개인의 부도덕한 일탈에서 출발한 가십에 지나지 않는다.

물론 소송 중인 사건이라는 특수성이 존재하지만 만약 당사자들이 나눈 대화(메시지)가 사건의 진실을 밝히는 데 꼭 필요한 증거라면 이는 수사기관과 법정에서 다뤄져야 할 내용이다. 언론이 앞장서 전 국민을 상대로 두 사람이 나눈 대화 내용을 재구성까지 해가며 보여줘야 할 이유는 어디에도 없으며, 그 출처의 경위 또한 의심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이병헌과 이지연의 카톡 대화 내용 공개에 대해 하재근 문화평론가는 < 한국경제TV >의 칼럼을 통해 "문자메시지의 내용이 사적인 사안임에 반해, 문자메시지가 공개된 사실 자체는 언론이 시민의 사생활을 까발린 공적인 문제였다. 그렇다면 우리가 공적으로 논의해야 할 것은 문자의 내용이 아닌, 문자를 공개한 행위여야 했다. 언론이 시민의 자유영역을 침범한 사건이기 때문"이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백번 맞는 말이다.

  영화 <워킹걸>에서 오난희 역의 배우 클라라가 7일 오전 서울 팔판동의 한 카페에서 오마이스타와의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배우 클라라 ⓒ 이정민


따지고 보면 클라라와 폴라리스 회장의 문자 메시지가 공개된 것 역시 마찬가지다. 현재 양측에서 진행 중인 소송에 두 사람의 대화 내용이 결정적인 증거가 된다 하더라도, 과연 언론이 개인의 사생활을 이렇게 드러내도 좋은가 하는 문제는 여전히 이성의 영역에서 논의돼야 할 사안이다. 

언론도 언론이지만, 이를 지켜보는 대중의 태도 또한 문제다. 맥락은 고려되지 않고 단순한 텍스트의 나열만으로 구성된 두 사건의 대화 내용은 필연적으로 자극성을 동반하고, 당사자 중 누군가에겐 불리하게 작용할 수밖에 없다. 또 지극히 사적인 공간에서 이뤄진 대화 내용이 세상에 공개되었다는 점만으로도 그들에겐 이미 지울 수 없는 상처가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대중은 강제로 공개된 이들의 사생활에 실망했다며 손가락질하기 바쁘다. 내 사생활은 보호돼야 마땅하지만, 연예인의 사생활은 관심 밖이다. 그저 자극적이고 선정적이며, 또 질타와 조롱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으면 그뿐이다.

지난 2014년 '사이버 망명'이 크게 화제가 된 적이 있다.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에 대한 검열 논란이 일면서 대화 내용의 해독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독일산 메신저 텔레그램(Telegram)으로 갈아타자는 움직임이 일어난 것이다. 물론 그 기세는 한풀 꺾였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에는 '사적인 대화를 감시당할지 모른다'는 우려가 팽배해 있다.

그런데 참으로 아이러니하다. 이병헌과 이지연, 클라라와 폴라리스 회장의 대화가 공개된 것에 대해서는 왜 이러한 우려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지 않는 것일까. 그들은 사생활 공개까지 감내해야 하는 연예인이라서? 조금 더 솔직해질 필요가 있겠다. 내 사생활은 감추고 싶지만, 연예인의 사생활을 훔쳐보고 싶은 욕망이다. '알 권리'가 아닌 '관음증'이다.

이병헌과 클라라를 옹호하고 싶은 마음은 없다. 그러나 연예인이라는 이유만으로 문자 메시지 내용까지 모두 공개되는 것은 지나친 처사가 아닐까 싶다. 만약 어느 날, 어떤 사건의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면서 내 휴대전화에 저장된 문자 메시지가 세상에 공개된다면 어떤 기분이겠는가? '집단 관음증'에 빠진 우리 사회가 진지하게 성찰해 볼 문제라고 생각한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박창우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saintpcw.tistory.com), 미디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이병헌 클라라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