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봉 영화 중 최대 스크린을 장악한 두 영화 <명량>과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

개봉 영화 중 최대 스크린을 장악한 두 영화 <명량>과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 ⓒ CJ E & M


최근 개봉한 <명량> <군도: 민란의 시대>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의 공통점은? 스크린 수가 1000개를 넘어선다는 점이다. <명량>은 개봉일 1159개에서 시작해 일요일인 3일 1586개의 스크린에서 상영됐다. 최대 상영 횟수는 7960회였다. 올해 한국영화로는 최대의 스크린 점유였다.

<군도: 민란의 시대>(이하 '군도')도 비슷하다. 개봉 첫날 1250개 스크린으로 출발해 26일 1394개 스크린에서 7119회 상영됐다. <명량>에 밀리기 전까지 개봉 후 1주일간 1000개 이상 스크린을 유지했다. 지난 6월 개봉했던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는 1512개 스크린에서 출발해, 최대 1602개의 스크린을 차지했다. 이날 상영 횟수는 7795회였다.

한국영화가 호황? 착시현상 강화하는 스크린 독과점

여름철 성수기를 맞아 대작 영화들의 잇따라 개봉하면서 스크린 독과점 논란이 다시 불붙고 있는 모습이다. 해도 너무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박스오피스 상위 영화들이 대부분의 상영관을 장악하면서 부익부빈익빈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도 눈에 띤다.

최대 성수기라는 말이 무색하게 주말 박스오피스에서 일일 관객 수 1만이 넘는 영화가 고작 6편에 불과할 만큼 편중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일일 관객 수 100만을 넘긴 영화 아래로는 간신히 20만에 도달한 영화와 10만을 넘긴 영화들이 뒤를 잇고 있다. 고작 몇 편만 잘 되고 있을 뿐 10위권 영화 중 절반 가까이는 일일 1만 관객에도 못 미치는 '불황'이다. 

영화진흥위원회 집계에 따르면, 8월 현재 국내 스크린 수는 모두 2584개다. 1500~1600개에 달하는 스크린 수라면 60% 이상의 스크린을 차지하는 셈이다. 물론 영진위의 스크린 집계는 어떤 영화든 1회 이상 상영될 경우 모두 계산하는 방식이다, 하루 동안 하나의 스크린에서 4편의 영화가 번갈아 상영됐다면 각각 영화들이 1개의 스크린을 점유한 것으로 집계된다. 따라서 공식통계상 스크린 점유율은 39.8%에 불과하다.

 지난 7월 20일 부천에서 열린 '한국 영화산업 정책 개선을 위한 포럼'

지난 7월 20일 부천에서 열린 '한국 영화산업 정책 개선을 위한 포럼' ⓒ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하지만 눈속임일 뿐이다. 매출액 점유율이나 상영 점유율이 스크린 독과점 실체를 더 정확하게 알려준다. 3일 <명량>의 매출액 점유율은 67.5%이고, 상영점유율은 52.1%였다. 이날 10만 이상 관객을 기록한 영화 4편이 차지한 비중은 93%에 달했다. 3일 상영됐던 영화는 모두 62편이었는데 나머지 58편 영화들의 비중은 고작 7%에 불과한 것이다.  

이는 한국영화의 현실과도 일치한다. 지난해 한국영화 관객이 1억 명을 돌파하며 호황을 이뤘다지만 영진위 통계에 따르면 개봉작 183편 중 순제작비 10억 미만의 영화는 133편(73%)이었다.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이들 영화의 총 관객 수는 전체 관객 수 대비 2.2%에 불과했고, 매출액은 2.1%였다.

그러나 몇몇 영화들이 크게 흥행해 전체 관객 수가 늘어나면서 한국영화는 호황으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7월 20일 부천에서 열린 '한국 영화산업 정책 개선을 위한 포럼'에서 문화부 관계자가 밝힌 입장은 이를 단적으로 보여 준다.

"잘 되는 산업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이 정부방침이라고 밝힌 이 관계자는 "모태펀드의 문화 계정 중 영화 투자 비율이 기존의 30%에서 20%로 축소됐고, 국가의 영화계 지원 축소는 이미 진행되고 있다"고 밝혀 영화인들에게 황당함을 안겨줬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하려는 의도로 마련된 자리에서 확인된 정부의 인식은 영화계의 뒤통수를 친 것과 다름없었다. 

문화부 관계자는 "지금 한국영화가 호황이 아니고 불황이라고 하면 누가 믿겠냐"며 "영화계가 현실에 안 맞는 어림없는 요구를 하는 것 같아서 정부의 입장을 강조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대기업 수직 계열화에 종속 강화되는 한국영화

 영화 <명량>의 한 장면

영화 <명량>의 한 장면 ⓒ CJ E&M


국내 영화계 인사들은 "천만 영화 한 편보다는 100~200만 영화가 여러 편 나오는 게 한국영화 성장을 위해 좋다고 말한다. 그러나 현실은 부익부빈익빈에 대기업 독과점이 강화되면서 일부 영화의 성공이 전체 영화의 성공으로 보이는 착시현상을 빚어내고 있다. 과도한 스크린 독과점은 한국영화의 현실을 오도하게 만들고 있는 가장 대표적인 경우다.

상영관들이 시장논리를 앞세워 다른 영화들이 차지하고 있는 스크린을 특정 영화에 할애하는 것도 문제가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한 영화계 관계자는 "다른 영화가 상영되던 스크린도 관객들이 몰리는 시간대에는 특정 영화 상영으로 전환되면서 '퐁당퐁당(교차상영)' 영화들의 영역이 침해당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비판했다. 사실상 과도한 스크린 독점이 작은 영화 죽이기의 선봉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명량>의 경우 좌석점유율이 최대 87%에 달할 만큼 매우 높아 스크린 독과점 문제제기가 무색하다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영화산업을 시장논리로만 말한다면, 경쟁력 없는 다른 다양성 영화들은 스크린을 다 뺏겨도 된다는 식의 주장에 불과할 따름이다.

한국영화의 고질적 문제점으로 떠오른 대기업의 수직계열화는 이 같은 문제의 바탕으로 작용하고 있다. 대기업이 제작과 배급, 유통까지 장악하면서 영화산업 종속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현실이다. 영화산업을 장악한 대기업이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스크린 독과점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최근 극장 체인인 CGV가 투자·배급에 나서 논란도 일고 있는 것도 여기에 기인한다. 중·저예산 한국영화에 활력소를 불어넣겠다는 순수한 의도를 강조하고 있지만, 이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따라 붙는 대기업의 시장 지배력 강화는 막을 방법이 없다.

기형적인 영화산업 구조를 만들고 있는 대기업 수직계열화 문제는 대통령도 공개적으로 문제의 심각성을 언급하면서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상태다. 하지만 말로만 끝날 뿐 공염불에 그치고 있다. 최근 영화계 현실에 대해 잘 모르는 언론계출신 인사를 영화진흥위원장에 내려 앉히려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들릴 정도로 스스로의 입장을 부정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초반 흥행 반기다 스크린 독과점에 표정 굳는 영화계

한 영화평론가는 <명량>의 스크린 수에 대해 "공격적인 마케팅이 아니라 가자지구를 폭격한 이스라엘과 같은 무차별 폭격"이라고 비판했다. <터치>의 민병훈 감독은 <명량>의 흥행 신기록이 거푸 경신되는 모습을 바라보며 3일과 4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런 글을 연달아 올렸다.

'명량!! 1494개의 스크린으로 한국 극장을 초토화시키는군요. 이순신의 씁쓸한 표정이 떠오릅니다.'

'이순신은 단 12척으로 싸워서 승리했습니다. 어제보다 100여개를 더한 1586개의 스크린은 이순신도 울고 갈 숫자입니다. 부러운 게 아니라 부끄럽습니다.'

영화계 역시 초반 한국영화의 흥행을 반기는 분위기에서 스크린 독과점이 심화되자 표정이 차츰 굳어지는 모습이다. 사실상 작은 영화들의 스크린을 빼앗아 성공을 이루는 모양새기 때문이다. 지난해 여름 스크린 독과점 논란을 의식해 최대한 신중하려 했던 영화들이 양심 있게 보일 정도다.

결과적으로 스크린 독과점은 한국영화 호황에 대한 착시현상을 강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영화산업 발전에 득이 되지 않음은 분명해 보인다. 대작 영화의 성공 이면에 작은 영화들이 죽어가고 있는 현실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한국영화에 독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명량 트랜스포머 CJ
댓글15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3,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