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깊은 나무>는 정기준의 등장으로 2막을 열고 있다. 몽타주로만 등장하며 궁금증을 자아냈던 밀본의 수장 정기준은 가리온인 것으로 밝혀졌다.

<뿌리깊은 나무>는 정기준의 등장으로 2막을 열고 있다. 몽타주로만 등장하며 궁금증을 자아냈던 밀본의 수장 정기준은 가리온인 것으로 밝혀졌다. ⓒ SBS


<뿌리깊은 나무> 속 세종의 트라우마와도 같았던 정기준이 모습을 드러냈다. 지금까지 이 드라마의 관심은 '정기준은 누구인가'에 집중돼 있었기에, 밀본의 수장인 그가 실은 백정 가리온이었음이 밝혀진 순간 극은 한 번의 폭발을 했다.

정기준은 역사 속에서 찾을 수 없는 가공의 인물이지만, 조선의 개국공신 정도전의 조카라는 설정으로 픽션과 논픽션의 경계에서 재미를 끌어내고 있다. 실제 역사에 어느 정도 기대면서도 역사적 고증의 굴레를 조금이나마 벗어나 이야기를 꾸밀 수 있는 여유는 이 캐릭터의 장점이다.

어린 유생 정기준 "넌 아무 것도 할 수 없어"

"넌 아무 것도 할 수 없어" 어린 유생 시절의 정기준(신동기 분)

▲ "넌 아무 것도 할 수 없어" 어린 유생 시절의 정기준(신동기 분) ⓒ SBS


힘으로 모든 것을 다스리는 아버지 태종 이방원에 반기를 들 수 없었던 유약한 세종에게 트라우마로 남아있던 인물. 표정을 읽을 수 없는 얼굴로 공포의 주문 "넌 아무 것도 할 수 없어"라고 속삭이는 장면만 반복적으로 등장해 의문을 증폭시켰다. 그는 어린 이도의 앞에서 "아래에 있는 뭇백성은 지극히 약하게 보이지만 힘으로 겁줄 수 없다"는 '조선경국전'의 구절을 읊으며 "주상은 겁을 주는 게 아니라 죽음을 주지"라고 비아냥거렸다.

하지만 정작 아무 것도 할 수 없었던 쪽은 정기준이었다. 태종에서 세종으로 이어지는 왕권 하에 정도전은 여전히 '역적'이었고 조정은 그의 뜻을 잇는 밀본과 정기준의 존재를 쫓았다. 그는 아버지 정도광이 관군에게 죽임을 당하는 것을 보고 분노밖에 할 수 없었다.

가리온, 반촌으로 숨어든 밀본의 본원

쫓기는 신세의 청년 정기준은 현재 영의정이 된 이신적에게 후일을 도모할 것을 기약하고 사라졌다. '대은은 어시은'이라고 깊게 은둔하는 것은 시끌벅적한 시장 속에서 세상 사람과 동고동락하는 것이라더니, 세상과 섞인 채 견딘 세월의 풍파가 꽤나 거셌나보다. 청년기에 잠시 미모가 반짝했던 정기준(최우식 분) 도련님은 놀랍게도 가리온(윤제문 분)이 됐다. 그동안 대체 무슨 험한 일이 있었던 건지 궁금할 정도다.

 백정으로 살아온 가리온(위)과 정기준임이 밝혀진 후의 가리온

백정으로 살아온 가리온(위)과 정기준임이 밝혀진 후의 가리온 ⓒ SBS


시청자가 가리온을 정기준이라 쉽게 넘겨짚지 못했던 이유는 백정이라는 그의 미천한 신분 때문이기도 하지만, 스스로 그 신분을 증명이라도 하듯 굽실거리는 천민 근성이 워낙 두드러진 탓이다. 누명을 씌우고 매를 때리면 양반의 기개라곤 찾아볼 수 없는 목소리로 울부짖고, "저 같은 놈이 어찌 알겠습니까"라는 무지의 콘셉트로 일관했다. 지금 태어났으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법의학자가 됐을 한양 최고의 시신 검안가 가리온은 재능과 상관없이 그렇게 밖에 살 수 없었던 바닥 중의 바닥 인생이었다.

24년 만의 도래 "가까이 있겠다고 하지 않았느냐"

 9일 방송에서 24년 만에 밀본의 본원이 돼 나타난 정기준(윤제문 분)은 "재상 중심 정치를 하는 데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은 집현전 철폐이다"라고 세종 이도와의 정면 충돌을 예언했다.

9일 방송에서 24년 만에 밀본의 본원이 돼 나타난 정기준(윤제문 분)은 "재상 중심 정치를 하는 데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은 집현전 철폐이다"라고 세종 이도와의 정면 충돌을 예언했다. ⓒ SBS


그랬던 가리온이 굽었던 허리를 폈다. 겁먹은 강아지마냥 눈치를 살피던 표정은 무표정을 유지할 수 있는 힘을 얻었다. 자신을 못 알아보는 이신적에게 "가까이 있겠다고 하지 않았느냐"라고 일갈하며 가리온은 24년 만에 정기준으로 돌아왔다. 같은 사람이 같은 복장을 하고 수 초 내에 다른 사람으로 변신하는 장면은 가히 절룩거리다 멀쩡히 걸어가던 카이저소제를 소환할 만 했다. 새로운 인물이 등장할 것이라는 기대감은 깨졌지만, 반전의 충격은 이를 무마하기 충분했다.

이제 궁금한 것은 '밀본'의 수장으로 나오는 정기준이 '민본'을 강조하던 정도전의 뜻을 어떻게 이을 것인지의 문제다. "군주가 꽃이라면, 그 뿌리는 재상"이라며 사대부가 만드는 나라를 강조하는 밀본은 백성이 모든 정치적 행위의 근본적 주체임을 뜻하는 민본사상의 깊이에 비해 아직까지 사대부 비밀결사단체가 꾀하는 반란으로만 보인다.

결국은 정도전이 추구하던 민본정치를 백성을 위한 한글 창제로 실현하고자 했던 세종과 정도전을 바탕으로 한 정기준의 본격적인 충돌이 이제 곧 집현전으로 무대를 옮겨 벌어질 태세다. 트라우마와의 싸움은 이제 수면 위로 올라온 실체와의 실전이 됐다.

정기준 뿌리깊은 나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