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무릎이 나갔는데, '근손실'을 검색하고 있었습니다

[건강 강박 사회] 나도 모르게 집착하게 된 운동... 청년들이 '운동 강박증'에 빠지는 이유

등록 2021.05.04 21:01수정 2021.05.04 21:01
2
원고료로 응원
텔레비전을 틀면 '병을 이기는 음식'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이 넘쳐납니다. 포털 사이트 '많이 본 기사'란에는 늘 질병이나 건강 상식 기사가 상위권을 차지합니다. 그만큼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사는 것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크다는 것이겠지요. 이는 청년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평생 '완벽하게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 게 과연 가능한 일일까요. 질병을 앓는 신체는 그 자체로 '불완전한 몸'일까요. 아픈 몸을 사는 것은, 곧 불행해지는 길일까요. 오마이뉴스 청년기획단 시민기자들이 이 질문들에 답해 봅니다. [편집자말]

조깅 ⓒ Unsplash


한참 운동에 꽂힌 적이 있다. 뼛속까지 시린 겨울, 아침 7시마다 옆구리에 요가 매트를 끼고 운동장에 나갔다. 아무도 없는 곳에 매트를 깔고 홀로 무산소 운동을 1시간, 그것이 끝나면 운동장 20바퀴를 내리 달렸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하루도 거르지 않고 밖을 나갔다.

수업이 끝나면 동네 두세 개는 족히 걸어 다녔고, 버스에서 일부러 두세 정거장 일찍 내려 음악을 들으며 달렸다. 주위 사람들이 꿈이 운동선수냐고 물어볼 정도로 조깅에 심취했다. 게임이나 웹서핑은 오래 하면 몸이 상하는데, 운동은 오히려 건강도 챙기고 칭찬까지 받으니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취미라 생각했다.


친구와 6개월 뒤에 마라톤을 나가기로 했다. 엄마가 혀를 찼다. 내가 운동 중독이라며 좀 자제하는 것이 좋겠다고 했다. 엄마가 중독의 뜻을 잘못 알고 있는 것 같았다. 그것은 내 몸에 악영향을 끼칠 때 쓰는 단어 아니던가?

내가 운동선수만큼 하루 종일 운동하는 것도 아니고, 전보다 체력도 좋아지고 주변 사람들도 박수 쳐주는데 왜 엄마는 사서 걱정을 하실까. 나는 아랑곳하지 않고 마라톤을 위해 새벽마다 2시간씩 전력 질주를 하고 왔다. 그리고 6개월 뒤, 마라톤을 앞두고 무릎이 나갔다.

아픈 몸보다 더 걱정됐던 것 

매일매일 아스팔트, 흙길, 돌길 등을 가리지 않고 무분별하게 질주한 것이 화근이었다. 계단도 한 번에 20층을 쿵쿵 내려가고, 미약한 통증이 있어도 무시하고 달렸으니 몸이 버티질 못 했다. 파릇파릇한 청년의 무릎인데 가만히 있어도 시큰시큰 아팠다. 당연히 마라톤은 못 나갔다.

당분간 가만히 앉아서 휴식을 취하기로 했다. 문제는 그때부터 벌어졌다. 몸이 편해질수록 맘이 불안해지는 것이다. 언제부터 그리 열중해서 운동을 했다고, 갑자기 몇개월 간 쌓아올린 체력과 몸 상태가 모두 약화될 것같은 느낌이 들었다. 남아도는 시간에 인터넷으로 마구 건강지식을 뒤져보았다.


근육이 약화되는 데 걸리는 시간, 장기간 운동을 중단할 시 생기는 신체의 변화, 그 외의 부작용 등등을 찾아보고 그 결과가 안심할 만하면 안도하고, 또다시 불안한 정보를 발견하면 초조해 했다. 건강하기 위해 시작한 운동인데, 어느새 나는 그것에 잠식당해 있었다. 건강염려증 수준이었다.

나는 친구들이 몸에 좋다는 잡곡을 몽땅 넣은 밥을 먹고 소화가 안 돼 체하거나, 몸이 안 좋다며 영양제를 한 번에 10가지 종류를 먹을 때 홀로 우쭐해 하기도 했다. 건강에 대한 너무 과한 반응이 아닌가 싶었다. 차라리 그러지 말고 밖에 나가서 조깅이라도 한 번 하고 오면 걱정이 풀릴 거라 생각했다. 하지만 운동을 하루라도 안 하면 초조해지는 지금의 나는 누구보다도 불안에 잠식되어 있는 사람이었다.

우리 할머니가 생각났다. 노령에도 불구하고 무척 정정하신 할머니는 지금도 홀로 시장을 다녀오시고, 직접 김치를 담그셨다. 오히려 요즘 젊은이들이 병이 많다며 걱정하기도 하셨다. 할머니의 건강 비결은 단순했다. "밥 잘 묵고, 잠 푹 자면 별 거 있나. 딴 거 읍다."

우리에게 필요한 건 '멈춤'이다 
 
a

우리에겐 '쉼'이 필요한 건지도 모른다. ⓒ pixabay

 
청년들은 예전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배우고, 터득하고, 성장했다. 하지만 과하게 치열한 경쟁을 하면서 살아가기도 한다. 어떤 것이 나에게 필요한 정보인지 선별하지 못 하고 무조건 정보라면 다 쥐고 보니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도 있다. 취업이니, 시험이니 끊임없이 달리는 법만 배우고 정작 멈추는 법은 배우지 못했다. 달리는 자세나, 휴식 방법은 모른 채 무작정 운동장을 뱅뱅 돌기만 했던 나처럼 말이다.

결국 청년들이 경험하는 건강염려증은 불안과 부정확한 정보가 결합된 결과가 아닐까. 가장 간단하고 쉬운 방법은 잠시 멈추는 것임을 알면서도, 그 방법을 몰라 영양제나 운동으로 해결하려는 것 아닐까. 우리는 이상한 자동차가 되었다. 엔진은 모든 업그레이드를 다 하여 최고급인데, 브레이크는 나무 토막으로 하나만 달아놓았다. 빨리 달리면 달릴수록 더 크게 부서지는 기이한 자동차다.

나는 휴식을 배우기로 했다. 브레이크를 밟는 것도 숙련되어야 하듯, 일상을 멈추는 것도 연습이 필요하다. 시시때때로 불안함이 엄습해 와도, 10년 뒤를 내다본다. 어차피 운동을 할 거라면 평생 할텐데, 하루 빠진다고 어떻게 되겠는가. 내가 살아온 생활 습관이 있는데, 하루 관뒀다고 몸이 확 변하겠는가. 어떤 이들은 당장 오늘이 마지막인 것처럼 살라고 했지만, 코 앞의 물체만 보고 운전하다간 차가 박살난다는 것도 어느 정도 인지해야 한다.

나는 10년 후에도 운동을 하고 있을 텐데, 오늘 하루 안 한다고 어떻게 되겠는가. 내가 몇 십 년 간 유지해온 생활리듬이 있는데, 하루 어떻게 산다고 내 몸이 갑자기 약해지겠는가. 내가 운동 중독이라고 걱정했던 엄마의 말이 이제는 이해가 간다. '무엇을 하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다. 그것이 나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느냐가 중요하다는 걸, 이제는 알겠다.

건강을 지키려고 운동을 하고, 영양제를 챙겨먹고, 병원을 수시로 드나드는데도 마음의 응어리가 해소되지 않는다면, 그 모든 것을 잠깐 멈춰 보자.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오히려 달리지 않는 것인지도 모른다.
#건강 #건강염려증 #마라톤 #조깅
댓글2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반갑습니다. 정누리입니다. snflsnfl835@naver.com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찰 급했나...'휴대폰 통째 저장', 엉터리 보도자료 배포
  2. 2 "그래서 부끄러웠습니다"... 이런 대자보가 대학가에 나붙고 있다
  3. 3 [단독] 김건희 일가 부동산 재산만 '최소' 253억4873만 원
  4. 4 재판부 질문에 당황한 군인...해병대 수사외압 사건의 퍼즐
  5. 5 [동작을] '이재명' 옆에 선 류삼영 - '윤석열·한동훈' 가린 나경원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