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춘의 외조부 금남 최부, 해남에 학문의 기틀 마련

'미암일기'와 함께 떠나는 조선 사림의 꿈과 일상

등록 2020.12.14 10:29수정 2020.12.14 10:29
0
원고료로 응원
미암 유희춘의 <미암일기>를 통해 16세기 사림시대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당시 사림들의 일상사를 살펴 봄으로써 역사적 교훈을 찾아보기로 한 것이다.[편집자말]
조선 16세기 사림시대를 통해 우리가 가장 성찰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이 시기는 4대사화(무오, 갑자, 기묘, 을사)로 대표되는 혼란한 정치 상황이 지속되었지만, 지방에서는 지적탐구자인 선비들이 학문을 통해 새로운 사상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었다.

소위 퇴계 이황을 대표로 하는 영남학파와 율곡 이이를 대표로 하는 기호학파의 활동은 대표적이다. 성리학은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부터 중국과 달리 인간본성과 관련되는 4단(仁義禮智)이나 7정(喜怒哀樂愛惡慾)과 같은 심성의 문제가 깊이 있게 탐구되기 시작한다. 이로 인해 심학(心學)이라 할 수 있는 철학으로 까지 발전해 가면서 활발한 철학논쟁으로 까지 전개된다. 이 시기 학문과 사상의 발전은 조선시기를 통틀어 가장 왕성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들이 학문에 정진하고 추구한 이면에는 과거시험에 합격, 관직에 진출하여 집안을 일으키고 출세하기 위한 방편이 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진정 학문을 추구했던 이 시기 사대부들의 모습을 부정하지는 못할 것 같다.

16세기 지방에 터를 잡고 살았던 재지사족들은 향약과 서원을 통해 문중의 결속과 지역기반을 다져나간다. 지역기반을 다지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 되었던 향약이나 유향소는 어떻게 보면 지금의 지방자치처럼 지역에서 스스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지방 분권적 성격이 들어 있다는 생각이 든다.

한편으로 그것은 양반사대부들이 일반 민(民)들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이 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왕의 절대적 권한이 부여된 전제정치 하에서 지방에서도 자치적 향촌질서가 시작되었다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16세기 지방의 사대부(재지사족)들은 성리학이라는 이념의 실현과 출세(관직진출)라는 목표를 향해 부단히 노력했다. 이 때문에 의(義)를 추구함이 때론 자신들의 이(利)를 도모함이 되어 당파적 경향으로 흐른 것 또한 부정할 수 없다.

4대 사화는 정치(훈구파, 사림파)의 대립과 함께, 왕권과 신권의 대립이 내포되어 있었으며, 성리학적 명분을 놓고 벌이는 한바탕의 쟁탈이기도 하였다. 어쨌든 지방에서는 재지사족들이 성리학을 통해 학문적으로 무장하고 자신들의 지역 기반을 다져 새로운 세계를 만들기 위해 나아가고 있었다.


미암 유희춘의 가계와 성장
 

해남향교 일대 미암 유희춘이 살았던 때의 해남 재지사족들은 해남 향교 일대를 중심으로 하여 살고 있었다. ⓒ 정윤섭

 
미암 유희춘이 태어난 해남, 고려시대까지는 역사에 등장하는 인물이 거의 없을 정도로 문풍(文風)이 별무한 곳이었지만 16세기 사림시대를 통해 해남은 문향 고을로 변모해 간다.

미암 유희춘의 아버지 유계린이 순천에서 살다가 최부의 사위가 되어 처가 고향인 해남에서 살게 된 것도 금남 최부로 인해 이 지역에서 문풍의 기반이 마련되었기 때문이다. 미암 유희춘이 외조부인 금남 최부를 찬(撰)한 <금남선생사실기錦南先生事實記>에는 이를 잘 알 수 있는 부분이 나온다.

"선생(금남)이 해남에서 부인을 얻어 여러 해 동안 거처하면서 정론으로써 비루한 풍속을 고치고 윤효정, 임우리 두 수제자와 나의 선인(유계린) 등 3인을 힘써 가르쳤다. 또한 이들은 배운 바를 향리의 자제들에게 가르치니 일향(一鄕)이 흡연(潝然)하여 마침내 문헌지방이 되었다."

미암은 외조부인 최부에 대한 자부심이 매우 컸던 것 같다. 그는 <금남집>을 직접 편집 간행하였으며, 최부 사후 1569년 승정원에서 중조견문일기 원본을 찾아 발문을 써서 <금남표해록>을 간행하기도 하였다. <미암일기>에서는 이 책들을 간행하기 위해 애쓰는 모습을 찾아 볼 수 있다.
 

미암바위 유희춘이 눈썹을 닮았다는 이 미암바위에서 자신의 호를 취했다고 한다. ⓒ 정윤섭

 
해남의 진산인 금강산 중턱에는 해남고을을 내려다보고 있는 미암(眉巖)바위가 있다. 미암 유희춘이 자신의 호를 취했다는 바위로 당시 해남고을은 이곳 해남읍성 밖 향교와 인접한 해리마을을 중심으로 한 곳에 지역의 재지사족들이 대거 모여 살고 있었다. 이곳은 해남정씨가 살고 있었던 곳으로 해남정씨를 중심으로 하여 이들과 관계를 맺은 최부, 윤효정, 임수 등 나중에 해남에서 성장해 대표적인 사림이 된 인물과 집안들이다.

미암 유희춘 집안은 감포만호를 지낸 고조 유문호 때에 영남에서 순천으로 이주하였는데 미암의 아버지인 유계린이 금남 최부의 딸과 결혼을 하게 됨으로 인해 처가 고향인 해남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미암은 해남에서 태어난 이후 9세 때 아버지 유계린으로부터 '통감'을 배우기 시작하였다. 유계린은 장인인 최부 뿐만 아니라 김굉필로부터도 배웠기 때문에 학문에 뛰어나 아들 미암에게 일찍부터 직접 이러한 학문을 가르치게 된 것이다. 미암은 16세 때 부친이 돌아가시자 20세 때부터는 최산두와 김안국으로부터 학문을 배워 최산두와 김안국의 문인으로 불리고 있다.

미암은 성장기에 학문에 정진하기 위해 해남 대둔사, 영암 도갑사 등의 인근 사찰에서도 공부를 하였다. 오늘날 고시공부를 위해 사찰을 찾았던 것처럼 당시에도 사대부들이 공부를 위해 사찰을 찾았던 것을 알 수 있다.

미암의 아버지 유계린은 경전에도 박식하였으나 30세 이후에는 두문불출하고 아들 유성춘과 유희춘 등 향촌의 자제를 가르치는 데에만 온 힘을 쏟았다고 한다. 오직 자식을 잘 가르치고 뒷바라지하기 위해 향촌을 지키고 살았던 것이다.

유계린은 이처럼 두 아들을 잘 가르쳐 호남3걸 중에 한 사람인 큰아들 유성춘과 유희춘 두 형제를 길러낸 것이다. 이를 보면 당시 재지사족들이 향촌에서 자식들을 가르쳐 과거를 통해 중앙의 관직에 진출시키기 위해 얼마나 애썼는가를 알 수 있다. 명문대를 거쳐 검판사와 같은 최고관료로 만들기 위해 모든 것을 바치는 오늘날의 부모들과 다름이 없다.

최부의 제자였던 해남윤씨 윤효정 역시 26세에 성균관 생원이 되지만 관직에 진출하지 않고 향촌에 머물러 오직 자식들 교육에만 힘쓴다. 이 같은 노력의 결실인지 큰 아들 윤구(유성춘과 함께 호남3걸 중 한명)를 비롯 윤행, 윤복으로 이어지는 세 자녀가 모두 과거에 합격한다.

결국 이들은 나중에 16세기 사림시대의 주인공이 된다. 당시 이들이 지방에서 재지사족으로 뿌리내리고 사림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관직에 진출하는 것이 가장 빠른 길이었다. 자식들의 학문과 교육에 온 힘을 기울인 16세기 재지사족들의 모습이었다.

여하튼 16세기 동안 이루어진 학문의 진작은 과거를 통해 집안과 문중을 빛내려는 출세지향의 모습이 있기도 하였지만 이러한 과정 속에서 이루어진 학문과 사상의 발전은 조선시기를 통해 가장 빛나는 성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미암보다 학문이 뛰어났던 형 유성춘

미암의 형 유성춘은 미암의 스승이기도 하였던 신재 최산두, 그리고 귤정 윤구와 함께 호남3걸 중에 한명으로 불릴 만큼 학문적으로 뛰어났으나 불행히도 단명하고 만다.

그는 집안의 장손으로 이버지 유계린의 많은 기대와 뒷받침 속에 성장하였다. 유성춘은 1513년 사마양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가독서(賜暇讀書)하고, 춘추관의 기사관을 거쳐 이조정랑에 까지 이르는 등 젊은 나이에 출세가도를 달리고 있었다.

유성춘은 권세가와 토호 · 부상(富商) 등의 토지 소유를 제한하자는 한전론을 강력히 주장하는 등 매우 혁신적인 인물이었다. 그러나 1519년 기묘사화에 연좌되어 대사헌 이항과 대사간 이빈 등의 합계(合啓)에 의해서 좌상 안당, 좌찬성 최숙생 등과 함께 파직되었다. 사화의 소용돌이 속에 휘말리고 만 것이다.

유성춘은 기묘사화에 연루되어 금릉으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으나 부친인 유계린이 죽은 해인 1522년 28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난다. 28세면 유망한 관료로 한창 뻗어나가 집안의 명성을 세워 나갈 때다.

아버지와 형의 죽음을 한꺼번에 맞이해야 하는 유희춘의 슬픔이 오죽했겠는가 마는 당시 재지사족들이 4대사화를 거쳐 사림으로 성장해 가면서 겪는 험난한 과정을 미암 유희춘 집안에서 그대로 볼 수 있다.

유성춘이 좀 더 오래 살았다면 유희춘보다 관료로나 학문적으로 더 이름을 떨쳤을지 모른다. 사화의 격랑에서 빗겨 갈 수 없었음은 운명일까? 16세기 사림들은 피비린내 나는 4대 사화를 딛고 일어선 이들이었다.

미암 유희춘 집안 역시 대를 이은 사화에 휘말리게 되는데 미암의 외조부 최부는 1504년 갑자사화로 인해 연산군의 철퇴에 쓰러졌고, 이조정랑을 한 형 유성춘(1495∼1522)은 1519년 기묘사화로 유배를 갔다가 풀려나와 바로 세상을 떠났다. 미암 유희춘 역시 앞날에 사화(을사사화)의 운명이 기다리고 있었다.
#유희춘 #최부 #금남집 #표해록 #재지사족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해양문화와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활동과 글을 쓰고 있다. 저서로 <녹우당> 열화당. 2015년 등이 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찰 급했나...'휴대폰 통째 저장', 엉터리 보도자료 배포
  2. 2 재판부 질문에 당황한 군인...해병대 수사외압 사건의 퍼즐
  3. 3 [단독] 윤석열 장모 "100억 잔고증명 위조, 또 있다" 법정 증언
  4. 4 "명품백 가짜" "파 뿌리 875원" 이수정님 왜 이러세요
  5. 5 '휴대폰 통째 저장' 논란... 2시간도 못간 검찰 해명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