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이 배를 만들 수 있는 사람, 단 한 명 남았습니다

[인터뷰] 예당저수지 누비던 배를 만들던 목수, 87세 김봉산씨

등록 2020.11.28 20:46수정 2020.11.28 20:46
2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김봉산 옹이 이야기를 하며 환하게 웃고있다. ⓒ <무한정보> 박봉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예당저수지를 몇 번이고 돌아봤지만, 만나지 못했다. 그 배는 모두 어디로 갔을까?


"봉산이 허구 종길이가 맹글었지. 현종길이는 세상을 뜨구, 봉산이도 지금은 몸이 성하진 않지? 그러구 배 맹그넌 이가…"

박규진(89, 충남 예산군) 어르신이 힘겹게 떠올린 이름이다.

"지금 목선 그런 거 맹글 게 뭐 있어. 다 프라스틱으로 배꼈지. 지금 프라스틱배 좋아. 아주 좋아, 개볍구."

박 어르신은 평생을 예당저수지에서 고기잡이 일을 해 왔지만 지금은 건강이 좋지 않아 어업권도 딸 부부에게 넘겨주고 일을 그만둔 지 몇 해가 됐다.

1964년 예당저수지가 완공되고 고향을 지켜온 사람들 중 일부는 고기잡이나 낚시객을 상대로 생업을 이어왔다. 모양과 재료는 달라졌지만 그들에게 배는 예당저수지고, 물이 곧 밥이다.


박 어르신의 기억에 따르면 예당저수지에서 배를 만들던 목수는 모두 세 분(대흥면)이다. 그중 작고하신 박승세씨와, 현종길씨를 빼면 김봉산 어르신이 유일하게 살아계신다.

예산군 대흥면 회관 옆, 예당저수지가 내려다보이는 김봉산 어르신(87) 댁을 11월 17일 찾았다.

"아버지 어깨너머로 배우다 스무 살 넘어서부터 (목수 일을) 했지. 여기가 고향이여. 배 만드는 건 수리조합 생기구 나서부터 시작했어. 이 근방하고, 딴 데 쓸 데 있으면 오라고 해서 하고 그랬지."

"배 한 척 만들면 쌀 몇 짝 값 했을겨"
 

충남 예산군 광시면 장전리, 옛날 좌대와 목선이 있는 풍경(1980년대 후반). ⓒ 신현성


예당저수지에서 사용된 배는 1990년을 전후로 목선에서 철선으로 바뀌었고 지금은 모두 섬유강화플라스틱(FRP)이라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마지막으로 배를 만든 게 언제였는지 묻자, 대답 대신 웃는다.

김 어르신은 청력이 약해져 보청기에 의지해 대화를 하지만 그마저도 놓치면 그냥 웃는다. 보다 못한 아내 김흥분 어르신이 "한 삼십 년은 됐지"라며 거든다.

"아버지가 하던 연장 있으니께, 내려오메 그놈을 썼지. 그전엔 전부 나무로다 해갖고 맹글었거든. 무슨 돈이 있어갖고 쇠를 대여. 광시 장전리, 응봉 같은 데 다니며 맹글었지."

"나무가 나왕이라고 좋은 거거든. 다섯 치(대략 15㎝)짜리, 요만해가지구서. 읍내 대영목재에서 사다가 그놈을 톱으로 이만하게 만들어놓으면 거기다가 싹, 가운델 해갖고서 우로 붙이면 이렇게 가다(肩:일본어-모양)가 좋거든. 위는 좁게 반을 얹히고 대고서, 하나 다섯 치짜리 붙은 거 해갖고 못으로 박었어. 거기는 붙이는데, 앞뒤로 오려내야지. 둘러갖고 앞은 더 오려내고."


배의 크기는 대략 3미터60센치로, 폭 15센치 길이의 나왕 판재를 이어붙여 배의 몸통을 만들었다. 앞뒤는 몸통보다 좁고 그 끝은 사람이 앉을 수 있게 판재를 댔다.

일을 돕는 사람 한둘을 붙이면 하루 만에 만들었다고 한다. 물론 물에 띄우기까지는 며칠이 더 걸린다. 배 바닥에 콜타르(coal-tar)를 녹여 바르는 방수작업까지 마쳐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만들어진 배는 알뜰히 쓰면 5~6년은 탈 수 있었다고 한다.

"배 한 척 만들면 쌀 몇 짝 값 했을겨 아마. 지금은 쇠로 해가지고, 발동기 놔갖고 댕기더먼."

"이제까지 만든 배 셀 수 있간요? 한 50개는 될 테지. (그거 만드는 사람이) 하나 둘이었간. 우리네가 하는 게 그중 나섰었는디…"


배 만드는 일은 생계를 이을 만한 일은 못됐다. 농사도 짓고 상여도 만들었다. 도면 따위 그려가며 해 온 일이 아니다. 그저 필요해서 만들어 쓴 물건일뿐. 그 누구도 특별한 기술이라 여기지 않았다.

"여기 그전에 (배) 맹근 게 있었거든. 괴기 잡느라고 여기저기서. 그걸 보고서 더 낫게, 가다가 좋게(모양이 좋게), 잘나가고 그러게끔 맹그는 거지. 잘못 만들면 노 저어서 가는 게 무겁기도 하댜."

배도, 배를 만들던 사람도 잊히고 
 

김봉산 옹이 배를 만들때 사용하던 연장을 꺼내 보여주고 있다. ⓒ <무한정보> 박봉서


"배 만들 때 썼던 연장?"

붉은 녹을 버즘처럼 얹은 톱 한자루 컴컴한 헛간 천장에 매달려 있다. 김 어르신은 바닥에 놓인 플라스틱 상자에서 자루만 남은 끌, 망치 따위를 찾아 마당에 늘어 놓는다. 한때 단단했던 기억을 아주 잊은 듯 가을 햇살 아래 순하게 누웠다.

쓰임새가 사라지고 나면 그 기억 또한 잊히는 게 당연한 일. 수면을 꾹꾹 누르며 저어가던 배도, 그 배를 만들던 사람에 대한 기억도 희미해져가고 있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충남 예산군에서 발행되는 <무한정보>에서 취재한 기사입니다.
#배목수 #목선 #나무배 #예당저수지 #예산군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61세, 평생 일만 한 그가 퇴직 후 곧바로 가입한 곳
  2. 2 천연영양제 벌꿀, 이렇게 먹으면 아무 소용 없어요
  3. 3 버스 앞자리 할머니가 뒤돌아 나에게 건넨 말
  4. 4 "김건희 여사 라인, '박영선·양정철' 검토"...특정 비서관은 누구?
  5. 5 죽어라 택시 운전해서 월 780만원... 엄청난 반전이 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