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이방원이 그토록 원했던, 중랑천 가로지르는 '살곶이 다리'

[세상을 잇는 다리] 저자도에 낙천정 짓고 무시로 드나들었던 이방원

등록 2020.09.23 09:01수정 2020.09.23 09:01
3
원고료로 응원

압구정도(겸재 정선) 한명회가 압구정에 정자를 지은 이유가 저자도와 살곶이 벌 경치를 감상하기 위해서였는지도 모른다. 그림 2사 분면에 살곶이 벌과 저자도가 아스라이 보이고, 중랑천이 흐르는 곳에 살곶이 다리 모습이 뚜렷하다. ⓒ 간송미술문화재단


청계천이 중랑천과 만나 한강으로 흘러드는 길목 동측에 너르게 펼쳐진 벌판을 '살곶이 벌'이라 불렀다. 다른 이름으론 화살(箭)을 쏘았던, 물 쪽으로 삐죽이 튀어나온 땅(串)이란 의미로 '전곶평(箭串坪)'이라고도 했다. 오늘날 뚝섬이다.

이방원이 일으킨 두 차례 왕자의 난으로, 새로 건국한 조선에 피바람이 일었다. 이성계 입장에서 보면, 건국 이전엔 정몽주를 죽인 아들이다. 건국 이후엔 최고 신하라 여긴 정도전마저 친위 쿠데타를 일으켜 죽여 버렸다. 둘 다 새로 만든 나라를 같이 경영하고 싶었던 신하들이다.


이성계는 함흥으로 돌아가 은거해 버린다. 왕의 자리를 강압으로 빼앗다시피 한 이방원이 아버지께 용서를 빈다. 여러 신하들을 보내 아버지를 달래보려 하나, 모두 죽임을 당하거나 갇히고 만다. 함흥차사 유래다.

하지만 이성계도 시간을 되돌릴 수 없다는 것을 잘 안다. 자신도 무력을 동원해, 반 강압적으로 나라를 빼앗다시피 차지하지 않았던가? 한양으로 돌아오는 길에, 멀리까지 마중 나온 이방원을 향해 활시위를 당겨 화살을 쏜다. 이방원이 몸을 숨긴다. 나무기둥 뒤로 숨어 아버지가 쏜 화살을 무사히 피한다. 신궁(神弓)이라는 이성계 화살이 빗맞은 것이다. 이에 하늘의 뜻임을 수긍하고 이방원을 왕으로 인정하게 됐다는, 야사에 전하는 이야기다.

이성계가 활을 쏜 곳이 바로 '살곶이'다. 왕십리와 뚝섬을 가르며 흐르는 중랑천 하류에 위치한 이곳에 길이 75.75m, 폭 6m의 거대한 널돌다리가 놓여 있다. 도성에서 함경도, 강원도, 경상도로 나아가는 주요 길목이다. 겸재 정선(鄭敾, 1676∼1759)이 그린 '압구정도'에서 전곶평과 저자도(楮子島), 살곶이 다리가 아스라이 환상처럼 펼쳐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살곶이 (널돌)다리 중랑천을 가로질러 살곶이 벌로 향하는 다리 평면선형이 곧다. 상판 3열 우물마루가 선명하며, 상판 옆으로 삐져나온 멍엣돌 끝이 다리의 튼실함을 웅변하는 것 같다. ⓒ 이영천


살곶이 다리가 생기게 된 연유

살곶이 다리 교각을 떠받치는 지대석은 주춧돌 모양이다. 하천 바닥에 여러 개 돌을 박아 물살 흐름을 제어한 흔적이 뚜렷하다. 교각은 횡으로 4열이다. 4열 교각에 3개 멍엣돌을 얹었다. 멍엣돌에는 4열 귀틀돌을 걸어, 3열 우물마루 형상 상판이 만들어졌다. 종으로는 21열 교각을 세웠다. 길이 75.75m 다리에 21열 교각은 평균경간이 3.44m라는 의미다. 상부에 돌난간은 따로 세우진 않았다.

횡 4열 돌기둥 중 가운데 두 개를 가장자리 돌기둥보다 약간 낮게 만들었다. 이는 교량 상부에 전달되는 힘(하중)을 분산하려는, 계산된 설계로 보인다. 다리 안쪽으로 하중이 쏠리게 함으로써, 응력(應力 ; 물체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의 작용에 저항하여 원형을 지켜내려 하는 힘)을 분산시켜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려는 장치로 보인다.


교각을 이루고 있는 돌기둥 두께는 제각각이다. 다만, 가운데 교각에 걸리는 멍엣돌이나 귀틀돌은 가장자리에 있는 그것들보다 조금 두껍다. 다리 부재의 높낮이와 두께를 달리 함으로써, 상판 평탄성 확보와 다리에 가해지는 외부 힘을 적절히 분산시키려는 지혜를 발휘한 것이다. 다리 양측 교대는 크고 묵직한 석축을 쌓아 축조한 것이, 2013년 발굴복원과정에서 확인되었다.
 

살곶이 다리 하부 가운데 2개 교각이 양측 가장자리 교각 보다 높이가 낮다. 대신가운데 결구된 멍엣돌을 두껍게 하여 상판 평탄성을 유지하려한 모습이 보인다. 이는 응력을 고려한 과학적인 설계가 이뤄졌다는 반증이다. 바닥에는 돌을 박아 물살 흐름을 제어한 흔적이 보인다. ⓒ 문화재청


이곳에 돌다리가 생기게 된 연유는 이방원 때문으로 보인다. 세종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으로 물러난 이방원은 이곳 살곶이 벌에서 사냥과 군사훈련을 즐겨했다. 물론 이성계도 이곳에서 수시로 사냥을 즐겼다고 실록은 기록한다.

이방원은 살곶이 벌에서 샛강을 건너 한강 하중도인 저자도에 별궁 형식의 정자를 지어 기거하다시피 한다. 세종1년(1419년 2월 21일) 실록에 '상왕이 살곶이 벌 동쪽 증산(甑山) 근처에 이궁을 건립하여, 낙천정(樂天亭)이라 이름 하였다'는 기록이 전한다. 이방원은 이 정자를 무시로 드나들었다. 그때마다 살곶이를 건너는 게 쉽지 않았던 모양이다.

세종 2년(1420년 5월 6일) 실록엔 '상왕의 명으로 영의정 유정현과 박자청에게, 살곶이 내(川)에 다리 놓는 공사를 감독하게 하였다'는 내용이 있다. 이 공사는 다시 이방원의 명으로 약 20여 일 후에 중단되었다. 도성 안에 있는 개천 정비에 모든 인력과 장비가 쓰여야 한다는 이유에서였다. 이방원이 살곶이 들판과 훈련장, 사냥터, 그리고 저자도에 있던 낙천정을 얼마나 좋아했는지를 알 수 있는 기록이다. 특히 낙천정에서 바라본 한강 경치가 일품이었다고 전한다.

살곶이 널돌다리가 완공된 시기는 최초 가설 시작으로부터 무려 63년이 지난 성종 14년(1483년)이다. 다리가 완공된 후 평지를 걷는 느낌이 든다는 의미로 '제반교(濟盤橋)'라고 불렀다. 이방원 이후 왕들도 살곶이 벌에서 사냥이나 군사훈련을 실시했다는 기록이 실록에 자주 등장한다. 하지만 살곶이 다리 건설에 대한 뚜렷한 기록이 없어 아쉽다.
 

서울시 지도(1966년 서울 PR사 간행) 한강을 따라 오른쪽 부터 잠실섬과 부리도, 마늘모양으로 둘로 갈라진 저자도, 이촌동 모래사장이 보이고 여의도와 밤섬이 확연하다. 제법 규모가 있는 난지도와 그 하류에 작은 하중도들이 뚜렷하다. ⓒ 서울역사아카이브


저자도와 한강 섬들의 운명

저자도는 중랑천과 한강이 만나 삼각주를 이루는 곳, 한강에 있던 섬이다. 섬 이름에서 닥나무가 무척 많았던 섬이었음을 알 수 있으며 무척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했다. 동쪽은 토지가 비옥해 목축에 적당했고, 가운데 높은 언덕에는 낙천정을 지을 만큼 풍경이 뛰어난 곳이었다. 세종은 이방원에게 수시로 문안을 다녔고, 아버지가 죽고 나서도 낙천정에 들러 휴식을 취했다는 기록이 실록에 자주 등장한다.

섬은 왕족과 벼슬아치들 휴양소였고, 중국에서 사신이 오면 반드시 이곳을 들러 시를 지으며 놀았으며, 날렵한 정자가 여럿으로 공후귀척(公侯貴戚)들이 노닌 곳이라 전한다. 철종은 부마인 박영효에게 이 섬과 압구정 땅을 하사한다. 부마에서 개화파로, 다시 친일파로 변신해 일생 부귀영화만 좇고 누리다 간 박영효를 굳이 여기서 언급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저자도의 운명은 참으로 기구하다. 일제가 경원선 철도(용산∼의정부 간) 노반 겸 한강제방 4.5km(서빙고∼한남∼옥수∼금호동)를 만들면서 섬 일부를 헐어낸 것으로 추정된다. 을축(1925)년 대홍수 때 섬 일부가 유실된다. 그럼에도 1930년대까지 동서로 2km, 남북으로 0.885km, 면적 118만㎡(약 35.4만 평)에 이르는 비교적 규모가 있는 섬이었다.

일제는 1936년 뚝섬제방과 유실된 경원선 노반을 보강하면서 섬 일부를 다시 헐어낸다. 그래도 낮은 구릉지 곳곳에 관목 숲이 우거지고, 매년 여름철이면 더위를 피해 피서객들이 섬을 가득 메우곤 했다. 사방을 드넓은 금빛 모래사장과 맑은 강물이 감싸고도는 아름다운 섬이었다.

1969년 2월 '압구정 공유수면매립허가'를 따낸 현대건설이, 섬의 흙과 모래를 퍼내가면서 형체가 사라지는 운명에 처한다. 이 시기를 전후해 한강 하중도가 큰 시련을 겪는다. 밤섬과 저자도가 사라졌으며, 잠실섬과 부리도는 강제로 육지가 되었고, 난지도는 쓰레기 매립장으로 변해 버린다.

저자도를 가만히 두었다면 어찌 되었을까? 본디 삼각주로 형성되었던 섬이 물 흐름과 자체 회복력으로 옛 모습을 오롯이 되찾지 않았을까? 사라졌던 밤섬이 다시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이 섬을 헐어내 압구정동에 제방을 쌓고 택지를 조성한다. 1972년 당초 허가면적보다 20% 상회하는 택지를 압구정동에 만들어 낸다. 한강 물 흐름을 방해한다는 지적에 제방을 안쪽으로 62m나 후퇴시켜 다시 쌓는 촌극이 빚어지기도 한다.

그 땅에 1977년까지 총 5909가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를 짓는다. 집장사도 하고 고위층에게 특혜분양도 했다. 매립이 완료되자, 기존 섬 토지소유주들이 현대건설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다. 10여 년(1974∼1984)간 다툼을 벌였으나, 엉뚱하게도 섬이 '국가하천에 속한 토지인가?' 여부로 재판 결과가 판가름 나버리고 만다.

혹자는 저자도가 1969년 이전부터 모래톱만 남은 사실상 모래사장이라 주장한다. 하지만 1966년(서울PR사)이나 1968년(인창서관) 발행된 서울시 지도를 보면 이 주장이 틀린 사실임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현대건설이 흙과 모래를 퍼내갔어도 그나마 모래톱만이라도 남아있던 섬은, 전두환 정권이 88올림픽을 준비한다는 명목으로 시행한 '한강종합개발사업(1982∼1986)' 이후 흔적도 없이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이때부터 한강은 규격화되어 기능이 제거된 모습으로 우리 앞에 서게 된다.

시련을 견뎌낸 살곶이 다리

살곶이 다리는 도성에서 광주, 이천을 거쳐 충주로 가는 주요 길목이다. 문경새재를 넘어 영남대로에서 올라오는 물산이 지나는 곳이다. 또한 광나루와 송파를 지나 영동 강릉과 함경도 원산으로 가는 길목이기도 하다. 살곶이 다리는 이후 흥선대원군 경복궁 중건 공사 때 석재로 징발당함으로써 훼손되었다. 을축년 대홍수엔 일부 부재가 유실된다.

그 후 백성들이 계속 보수하여 쓴 것으로 보인다. 그러다 1938년 다리 아래쪽으로 '성동교'가 가설되면서 그 기능을 거의 상실하고 만다. 그 이후에도 수많은 수난을 당한다. 자연재해는 물론, 사람들에게도 상처를 입는다. 그래도 꿋꿋하고 굳세다. 살곶이 널돌다리는 아직도 의연한 모습으로 우리 앞에 서 있다. 듬직한 표정으로, 우리에게 어느 방향, 어떤 길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말없이 가리키고 있다.
 
덧붙이는 글 겸재 정선 선생의 '압구정도' 이미지 사용을 승인해 주신 '간송미술문화재단'에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살곶이_다리 #저자도_낙천정 #중랑천_한강_하중도 #이성계_이방원_세종대왕 #공유수면매립_압구정동 현대아파트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새삼스레 타인과 소통하는 일이 어렵다는 것을 실감합니다. 그래도 많은 이들이 공감하고 소통하는 그런 일들을 찾아 같이 나누고 싶습니다. 보다 쉽고 재미있는 이야기로 서로 교감하면서, 오늘보다는 내일이 더 풍성해지는 삶을 같이 살아갔으면 좋겠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찰 급했나...'휴대폰 통째 저장', 엉터리 보도자료 배포
  2. 2 재판부 질문에 당황한 군인...해병대 수사외압 사건의 퍼즐
  3. 3 [단독] 윤석열 장모 "100억 잔고증명 위조, 또 있다" 법정 증언
  4. 4 "명품백 가짜" "파 뿌리 875원" 이수정님 왜 이러세요
  5. 5 '휴대폰 통째 저장' 논란... 2시간도 못간 검찰 해명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