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하는 일이 이런 거였다니... 놀랐다

이윤기의 <조르바를 춤추게 하는 글쓰기>를 읽고

등록 2018.06.01 09:33수정 2018.06.01 09:33
0
원고료로 응원
최근 고전문학을 접하면서 번역의 중요함을 알고 번역이 단순히 외국말을 우리말로 바꾸는 일만은 아니라 생각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번역을 문학 활동이라 할 수 있을까 싶던 참에 번역가 이윤기의 <조르바를 춤추게 하는 글쓰기>를 통해 폭넓은 사고를 할 수 있었다.

한국 최고의 번역가로 평가받는 이윤기 선생은 1977년 소설로 등단한 이후 <장미의 이름>, <그리스인 조르바>, <변신 이야기> 등 약 200여 권의 책을 우리말로 옮겼으며, 2000년 출간된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는 200만권 이상 팔리며 신화 열풍을 일으키기도 했다.


이윤기 선생의 삶은 문학 그 자체였다. 어린 시절, 옛 이야기를 여러 사람에게 가락으로 들려주시던 독서광 할머니를 통해 문학을 접한 그는 책을 즐겨 읽으시던 어머니를 기쁘게 하려고 딱지본 책들을 통째로 외우기도 했단다.

열다섯, 중학교 1학년 때 꼬마 가정교사가 되어 부잣집에서 남의 집살이를 하며 그 집에 있는 세계 명작 전집, 세계 위인 전집을 섭렵, 글이라는 게 세상을 얼마나 넓게 살도록 하는지 느끼기도 했다고.

또 학교 도서관 사서 노릇을 하며 책의 바다에 빠져 살았고, 월남에서 군대생활 하면서도 3∼4개월이라는 짧은 기간이지만 영내 도서관에서 사서 노릇을 하며 어떤 방해도 받지 않고 오로지 책만 읽었단다. 제대 이후 신춘문예에 응모하기 시작한 그는 오래지 않아 등단하였고, 소설가이자 번역가의 삶이 시작된다.

언어에도 능통했다. 중학교 2학년 겨울부터 일본어를 독학하고, 고등학교를 다니는 대신 영어를 배워 원서를 읽었다 한다. 이러한 그에게 번역은 그가 가진 재능을 십분 발휘할 천직이었으리라.

a

<조르바를 춤추게 하는 글쓰기> : 이윤기가 말하는 쓰고 옮긴다는 것 ⓒ 웅진지식하우스

<조르바를 춤추게 하는 글쓰기>는 생전에 선생이 조각조각 남긴 글들을 모아 글쓰기, 번역, 언어 사용 등 주제를 나누어 정리한 책이다. 선생의 목소리를 통해 창작 뒤에 가려져 있는 번역의 의미와 역할 그리고 어려움을 알 수 있으며, 우리말과 각종 언어에 대한 선생의 깊이 있는 사유와 신념을 느낄 수 있다.


번역은 그저 창작된 문장을 그에 걸맞은 단어와 문장으로 전환하는 일이라 여긴 나 같은 독자라면 이윤기 선생이 말하는 번역의 과정에 놀랄 것이다. 텍스트의 이해를 시작으로 우리말과 싸워나간다. 먼저 사전과의 싸움이라 한다. 그렇다고 사전 속 화석화한 개념만을 좇을 수는 없고 살아있는 말을 찾아내야 한다.

이런 단어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 일이 두 번째다. 간단하게 정리하여 가독성을 높여야 한다. 다음으로 원문 뒤에 숨어 있는, 푹 익은 우리말(숙어)를 찾아내야 한다. 마지막으로 텍스트의 문장과 번역 문장의 무게를 천칭에 얹고 달아보는 일까지가 번역가의 몫이다. 선생은 이를 간단히 이렇게 설명한다.

"먼저 원문을 해체하는 일입니다. 그다음은, 해체한 원문에 대응하는 역어를 찾아내는 일입니다. 우리말 문장이 짜이면 이제 이걸 천칭에다 다는 일이 남아 있습니다. 원문의 말결(뉘앙스)은, 역문의 뉘앙스와 동일한가? 동등한가? 등가를 보증할 수 있는가? 정확하게 대응하는가?"(p.133)


모든 것은 창조로 시작되지만 한 문화권을 벗어나 보편성을 얻고 생명력을 갖기 위해서는 번역되어야 하므로 그는 '모든 것은 번역으로부터 시작된다'라고 말할 수도 있다고 설명한다. 이는 꼭 선생의 생각만은 아니다.

프랑스 번역가 발레리 라르보, 문학평론가 류신도 같은 내용의 말을 했다하니 이는 우리가 생각하지 못한 번역의 역할이겠다. 선생은 당신의 말대로 '번역이나 하는 사람'이 아니라 '번역까지 하는 사람'인 것이다.

선생은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번역가지만 권위를 내세우지 않고 자신의 오류에 대해 솔직한 태도를 보인다. 1986년 출간된 <장미의 이름>은 많은 찬사를 받았지만 오역과 졸문으로 스스로를 부끄럽게 여기다가 다시 번역하기도 했다.

철학 전공자 강유원 박사의 지적을 받은 부분은 모두 검토하고 반영하며 자신에게는 부끄러운 일이지만 우리 번역 문화에는 다행한 일이라고 말한다.

번역가는 우리말을 잘하기보다 외국어를 잘하기에 할 수 있는 일이라 여겼지만 책을 읽다보니 큰 착각임을 알 수 있었다. 올바르게 표현하기 위해 선생은 끊임없이 우리말을 공부하고 언어의 흐름을 관찰한다.

우리말을 아끼면서도 다른 나라 말에 어떠한 태도를 지녀야 하는지 자신의 자녀들을 통해 드러내기도 한다. 경상도 출신으로 지방어에 대한 생각도 밝힌다. 그는 번역가이면서 언어학자였다.

그는 언어에 천착했지만, 우리는 그의 번역을 통해 작품에 대해 사유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그는 번역가이면서 선구자였다. 나는 선생과 같은 사람이 되고 싶다. 평생 책을 곁에 두며 읽고 고민하며 살고 싶다. 우리 아이들은 나만큼 늦지 않아 이런 마음을 품는 사람이 되길 꿈꿔본다.

말하자면 '소설 전집'이 장차 무슨 짓을 하면서 살아가야 할 것인가를 가르쳐준 책이었다면 '전기 전집'은 장차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인가를 가르쳐준 책이었던 셈이다. 내가 한 권도 빠뜨리지 않고 읽고 또 읽은 이 200권의 책에서 받았던 인상 중 비교적 강렬했던 것은 '전기 전집'쪽이었던 것 같다. 그 까닭은, 당시에는 그것을 설명할 수 없었지만, '전기 전집'이 문학의 근원적인 문제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예감 때문이었을 것이다(p.177).

조르바를 춤추게 하는 글쓰기 - 이윤기가 말하는 쓰고 옮긴다는 것

이윤기 지음,
웅진지식하우스, 2013


#번역 #이윤기 #조르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아니, 소파가 왜 강가에... 섬진강 갔다 놀랐습니다
  2. 2 "일본정치가 큰 위험에 빠질 것 우려해..." 역대급 내부고발
  3. 3 시속 370km, 한국형 고속철도... '전국 2시간 생활권' 곧 온다
  4. 4 두 번의 기회 날린 윤 대통령, 독일 총리는 정반대로 했다
  5. 5 '김건희 비선' 의혹, 왜 자꾸 나오나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