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스타

예능인 하나 나오지 않아도 재밌는 <알쓸신잡>의 신기함

[TV리뷰] 교양은 아닌데 교양 있는 <알쓸신잡>... 예능에서 '지식'이 통하는 법

17.07.13 16:31최종업데이트17.07.13 16:31
원고료로 응원
알파고와 알파고가 싸우면 누가 이길까 같은 질문이 대화의 주제가 된다. 사실 굳이 알 필요 없는 질문이지만 궁금한, 누군가가 속 시원히 대답해 주면 좋겠는 질문이다. 그러나 그런 질문에 대한 답을 알고 있는 사람은 주변에서 찾기 힘들다. 그러나 <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잡학사전>(아래 <알쓸신잡>)에는 그 질문에 대해 대답을 해줄 이가 있다.

전 장관이자 작가 유시민, 소설가 김영하, 뇌과학자 정재승, 맛 칼럼니스트 황교익, 여기에 작곡가이자 방송인 유희열까지 뭉친 <알쓸신잡> 출연진들의 대화 주제는 변화무쌍하다. 분명 대화를 하다가 한 번쯤은 나올 수 있는 이야기들이지만, 그 방향성이 전혀 다르다. 왜냐하면 그들은 우리가 모르는 뭔가를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화는 더욱 풍성해진다. 하지만 그 이야기들은 종종 자칫 전문적이고 딱딱할 수 있는 이야기로 흐른다.

그러나 주목할 점은 그들이 하는 이야기들의 주제는 우리에게 생소하지만 동시에 흥미롭다는 지점이다.

생소한 개념까지 예능으로 승화시킨 <알쓸신잡>

<알쓸신잡>, 신기하게 듣게되는 지식인들의 대화. ⓒ tvN


방송은커녕, 일반적인 대화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기는 힘들다. 젠트리피케이션은 낙후됐던 구도심이 번성해 중산층 이상의 사람들이 몰리면서, 임대료가 오르고 원주민이 내몰리는 현상을 일컫는다. 예능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은 아마도 <알쓸신잡>이 최초일 것이다. 대부분은 용어조차 생소한 개념을 <알쓸신잡>은 이해시키고야 만다.

그 이유는 그들이 주고받는 이야기들이 어디까지나 한자리에 모인 사람들의 '수다'이기 때문이다. 내용은 다를지언정 그들이 하는 이야기들은 우리가 술자리나 친구를 만나 밥을 먹으면서 하는 이야기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그 이야기가 흥미로울 수 있는 것은 단순히 우리가 모르는 개념이나 용어, 그리고 생각의 방향이 등장하기 때문은 아니다. 그들의 대화는 다양한 주제와 분야를 아우르면서도 흥미로운 지점을 놓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용어가 생소할지라도 그 안의 이야기는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최근 들어 부동산 가격이 들쑥날쑥 한다거나, 제주도에 중국 자본이 들어와 땅값 상승 같은 결과가 보인 것과 같이 젠트리피케이션은 우리가 현실에서 맞닥뜨릴 수 있는 주제다. 그들의 지식 덕분에 이야기가 확장되었을 뿐, 그들의 이야기는 우리의 관심 분야를 건드린다. 그리고 보통사람이라면 대부분 호기심으로 끝나는 주제들임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질문에 대한 설명과 해설을 할 수 있는 수준이다. 말하자면 우리가 실생활에서 나누는 수다들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알쓸신잡>, 주제는 교양인데 예능이 될 수 있는 이유

이야기의 형식은 '토론'이 아니라 '수다'이다. ⓒ tvN


<알쓸신잡>은 다큐멘터리나 교양처럼 우리가 몰랐던 세상을 자세하게 파헤치고, 설명하는 프로그램이 아니다. 그저 서로 나누는 대화들이 뒤엉키고 다시 다른 주제로 옮겨가는 '수다'의 과정을 포착해내며 그 이야기의 주제에 대한 다양성을 보여준다. 그 다양성은 우리가 보통 경험할 수 없기에 신선하고 재미가 있다. 앞으로 어떤 이야기들이 펼쳐질지 알 수 없으므로 묘한 긴장감마저 있다.

만약 <알쓸신잡>이 어떤 한 주제를 놓고 토론하는 자리였다면 <알쓸신잡>은 <백분토론>과도 다를 바가 없다. 그러나 <알쓸신잡>은 출연진들을 자유롭게 풀어놓으면서 그들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실컷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때로는 주제가 던져지긴 하지만 대회가 예상대로 흘러가지는 않는 법이다. 그런 자유로움이 바로 예능의 분위기를 만든다. 상대방은 적이 아니고, 내가 모르는 무언가를 알고 있는 지식인들이다. 그들은 자신의 지식을 풀어놓기는 하지만 그 지식에 자만하여 상대방을 무시하지도, 자신의 이야기가 옳다고 주장하지도 않는다. 다만 알고 있는 사실이나 느끼는 감정을 풀어놓고, 그 이야기를 하는 상대방의 의견을 인정한다. 그들이 서로에게 귀를 기울이기 때문에 둘러앉은 그들의 대화는 더욱 재미가 있을 수 있다. 마치 어떤 날, 친한 친구들끼리 모여 끊임없는 이야기를 나누는 것처럼.

'존댓말 호칭'에 대한 토론에 '꼰대 문화'가 등장하고, '멍때리는 시간'이 오히려 뇌에는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야기들은 멀리 떨어진 과학 지식이 아니라 우리가 겪고 있는 일상생활에 관련된 문제들이다. 누구나 한 번쯤은 생각해 보았지만, 그 이야기들을 인문학적으로나 과학적으로 접근하지 못했을 뿐이다. 그들은 분명 똑똑해 보이지만 결국 우리와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다. 그 생각이 좀 더 구체화하고 정제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들의 대화 주제는 결국은 '일상'인 것이다.

쓸데없지만 왠지 모르게 재미있다

결국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 대한 이야기. ⓒ tvN


그 일상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내면서 쓸데없는 지식을 알려주는 예능. 그러나 그 지식은 알아두면 쓸데없을지는 몰라도 알아두면 재미있고 왠지 모르게 똑똑해진 느낌까지 들게 만들어 준다. 분명 지루하다고 생각했던 이야기들이 지식인들의 입을 통해서 전해지는데 그 이야기들은 지루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신선하게 느껴지는 것이다.

현실과는 동떨어진 방식이 아니라, 우리가 흔히 만드는 친구들과의 수다 자리에서 우리의 일상과 관련된 이야기들이 쏟아지는 현장. 그 자체만으로 예능이 될 수 있다니. 예능인들이라고 할 수 없는 사람들이 우스운 소리를 하지도 않는데, 어느 순간 몰입된 자신을 발견하게 만드는 <알쓸신잡>. 정말 신기한 예능이 아닐 수 없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우동균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알쓸신잡 유희열 김영하 유시민 정재승 황교익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