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죽기 싫어 무당이 되었다"

임영복씨, 10세부터 찾아온 신병으로 결국 내림굿 받아

등록 2013.11.25 15:05수정 2013.11.25 15:05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a

임영복씨 이제 무당이 된지 30년이 되어간다는 임영복씨 ⓒ 임영복


'무당(巫堂)', 사회에서는 심심찮게 지탄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일부 종교에서는 심할 경우 마귀로 표현을 한다. 하지만 우리의 역사 속에서 무당은 한때 최고의 권력자요, 신을 대신하는 집제자이기도 했다. '무(巫)'란 글자를 혹자는 이렇게 해석을 하기도 한다. 하늘(무자의 위 획)과 땅(무자의 아래 획)이 있고, 그 안에 사람들이 있다 (무자 안의 두 개의 사람 인). 그리고 그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l은 '이을신'자이다) 것이 바로 무당이다.


무당은 본인이 원해서 되는 것이 아니다. 무당은 '신내림'이라는 무의식을 통해 태어나거나 지연신통(自然神通)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무당이 된다. 하기에 무당은 어쩔 수 없이, 본인의 의사와는 전혀 무관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물론 접신이 되는 과정을 거치는 강신무(降神巫)를 말하는 것이다.

a

안택굿 수원 만석공원에서 열린 경기안택굿에서 산거리를 하고 있는 임영복씨 ⓒ 하주성


나는 10세부터 신병을 앓았다

수원시 장안구 연무동 235-16에 거주하는 임영복(여·59)씨. 굿판에서는 소리 잘하고 춤 예쁘게 추는 무당으로 소문이 나 있다. 지금은 누가 물으면 '나는 무당이다'라고 말을 할 수가 있다고 한다. 하지만 오래도록 고통 속에서 살아왔단다.

"어려서부터 정말 힘들게 살아왔어요. 위로 오빠가 있었는데 세 살을 넘기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데요. 그래서 아들을 낳으면 그 이름을 그냥 사용하려고 했데요. 부모님이 이혼을 하시고 나서 아버지를 따라 증평으로 내려갔어요. 거기서 집을 하나 구해 아버지와 함께 살았는데, 아버지가 몹시 편찮으셔서 그 집과 땅을 처분하고 고모네 집으로 들어갔죠."

10세 때 아버지가 돌아가셨다. 생각해보면 그때부터 환란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몸이 자주 아프고 병치레를 해 고모가 점집을 찾아갔더니, 무당이 하는 말이 "그 아이를 무당 집에 양녀로 주어라. 그래야 그 아이가 살 수 있다"고 하더란다. 그때만 해도 남의 집에 양녀로 들어가면, 말이 좋아 양녀지 식모나 종과 다름없이 부려먹고는 할 때였다. 할 수 없이 고모가 데리고 살다가 23세에 결혼을 했다.


a

대감굿 임영복씨가 경기안택굿에서 대감굿을 하고 있다 ⓒ 하주성


"지금 생각하면 그때부터 이미 신병이 시작한 것인데 전혀 모르고 있었던 것이죠. 그리고 젊어서 결혼을 해 벌써 37년이란 세월을 살았네요."

결혼 후 심해진 환각과 환청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난 뒤 어머니를 찾았다. 어머니 역시 하나 뿐인 딸을 찾았다는 것. 그리고 어머니의 소개로 현재의 남편을 만났다. 시집을 오고 나니 시집에는 시부모님들과 삼촌들까지 대가족이었다. 새벽이면 일어나 연탄불에 밥을 해야 하는데, 매일 5개씩의 도시락을 싸야 했단다.

"그런데 밥을 하고 솥뚜껑을 열면 밥 솥 안에 구더기 같은 것들이 뱀처럼 바글거렸어요. 그러면 놀라서 곁에 있는 설거지통에 물을 들이붓고는 했죠. 아침마다 수도 없이 골목길을 파고 한 솥씩 밥을 갖다가 묻었어요. 이 집에서 오래 살다가는 아무래도 제 명을 못 살 것 같아 남편을 졸라 분가했죠."

그렇게 나가서 생활을 한 곳이 바로 병점이라고 한다. 집에 있으면 날마다 머리가 빠개지듯이 아프고 배가 아파 기침을 하면 병원으로 달려가고는 했다. 피가 넘어오는데도 병원에서는 신경성 위장염이라고 했단다.

a

임영복 무녀는 춤 잘추고 소리만 잘해서 되는 것이 아니다. 모든 장단도 칠 수 있어야 한다 ⓒ 하주성


"의사에게 욕을 하고는 했어요. 각혈을 하는데 무슨 신경성 위장병이냐고요. 남편은 그런 나를 믿지 않고 사람으로 대우도 해주지 않았어요. 그런 상태에서도 제가 계속 내림을 거부하니까 잡자기 둘째가 아는 소리를 하는 거예요. 그때는 정말 겁이 덜컥 났죠."

믿어주지 않는 남편으로 인해 고통도 받아 

이미 신통이 되어있는 상태라 환청과 환각으로 참을 수가 없는 고통의 연속이었다. 심지어는 3개월이나 6개월씩 대소변을 받아내고는 할 정도로 심하게 몸이 망가졌다. 몸무게도 40kg을 조금 넘을 정도였다고 한다. 남편에게 사업을 그만두라고 했다. 남편이 망할 것이 눈에 보였기 때문이란다. 하지만 남편은 무시를 하고 듣지 않았다.

"남편의 사업이 망하는 것이 눈에 보여 '그만두라'고 했더니 '네가 뭔데 그만 두라느냐'고 무시하데요. 결국엔 말 그대로 망했지만요. 내림을 받고서도 풍파는 가시질 않았어요. 우선은 시집에 알릴 수도 없었지만, 제일 먼저 아이들에게 미안해서 견딜 수가 없었어요. 아이들이 학교를 다니면서도 친구를 마음대로 집으로 한 번도 데려오질 못했으니까요. 거기다가 집에서 징소리가 나면 아이들이 제 시간에 집에도 들어오지 않고요. 부모님들을 거역하기 일쑤였죠."

a

창부거리 임영복씨가 경기안택굿에서 창부굿을 하고 있다 ⓒ 하주성


그렇게 내림을 받고도 한참이나 고통을 받았단다. 현재 살고 있는 수원 연무동 시장 인근에서 고기 집을 시작했는데 그것도 다 날려버렸다. 사기를 당한 것이다. 생전 장사라고는 해보지 않았으니, 남들에게 이용만 당했다고.

기자(祈子)라면 제대로 굿을 해야

"한 번은 남편이 운영하는 회사에 스님이 찾아 오셨데요. 그런데 남편을 보고 집안에 우환이 있을 것이라고 하면서, 손금을 좀 보자고 하더니 손금 안에서 여인이 고깔을 쓰고 춤을 추고 있는 것이 보이더라고 했데요."

그때는 이미 내림을 받고난 후였다. 처음에 내림을 받고난 후에는 상당히 많은 손님들이 찾아왔다. 그리고 일도 꽤 많았다. 하지만 남편은 심하게 단속을 시작했고 애꿎은 소리를 하기 일쑤였다. 굿은 보통 밤에 하기 때문에 밤새 일을 하고 집으로 돌아가면, 어디 가서 누구와 무슨 짓을 하고 왔느냐고 다그쳤다는 것이다.         

a

창부거리 창부는 예능의 신이다. 부채를 들고 춤을 추면서 소리를 하는 창부굿은 홍수맥이 등 많은 노래를 불러야 한다 ⓒ 하주성


"참 힘든 세월이었어요. 그렇게 모든 것을 다 없애고 나서 전안 문을 걸어 잠가놓고 계룡산으로 들어갔죠. 거기서 단판을 지으려고요. 참 울며불며 매달렸더니 '제자야 나하고 같이 팔도유람이나 하자'는 말이 들렸어요. 그리고는 벌써 10년 정도 이렇게 살아가고 있는 것이죠. 지금은 남편이 제 일을 적극적으로 도와주고 있어요. 아이들도 이젠 다 커서 이해를 하고 있고요."

무당이라고 부르는 사람들. 누구나 다 사연이 있기 마련이다. 하지만 임영복씨는 어려서부터 신병이 와 있는 것을 미처 알지 못해 더 많은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그리고 벌써 신내림을 받은지 30년이 다 되어간다. 강산이 세 번이나 바뀐 세월이다. 하지만 아직도 그때의 고통을 잊을 수가 없다고 한다.

"제가 기자들에게 굿과 소리를 가르치는 것은 저라고 남들보다 잘난 것은 없지만, 그래도 신령을 모시는 사람들이 절차를 무시하면 안된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어떻게 신령의 이름으로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굿거리 제차를 무시하면서 밥을 먹을 수가 있나요. 그래서 지하에 조그마한 연습실을 조성해 놓고 사람들을 일대 일로 가르치고 있어요."

60년 세월 중에서 50년을 시달렸다. 그나마 이제야 겨우 좀 편안해졌다고 한다. 앞으로도 신령의 사람으로 생활해야 하지만, 그래도 내 운명이 그렇다면 좀 더 잘 살아야겠다고 생각을 했단다. 문을 나서는데 인사를 하면서 하는 이야기가 귓가에 오랜 여운을 남긴다.

"어차피 이렇게 고통을 받고 살 운명이라면, 차라리 아프지나 말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무당을 택했어요. 남들이 내 인생을 살아주는 것은 아니니까요"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다음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임영복 #강신무 #내림굿 #무당 #굿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아니, 소파가 왜 강가에... 섬진강 갔다 놀랐습니다
  2. 2 "일본정치가 큰 위험에 빠질 것 우려해..." 역대급 내부고발
  3. 3 시속 370km, 한국형 고속철도... '전국 2시간 생활권' 곧 온다
  4. 4 100만 해병전우회 "군 통수권" 언급하며 윤 대통령 압박
  5. 5 두 번의 기회 날린 윤 대통령, 독일 총리는 정반대로 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