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장(水葬), 가장 간단히 자연에 순응하는 장법

친환경 '바다매장'을 생각해 보자

등록 2010.06.24 13:43수정 2010.06.24 13:43
1
원고료로 응원
a

美 해군의 '바다매장' 미국의 EPA규정에는 자국의 육지로부터 3해리 이상, 외국으로부터는 12해리 이상 떨어진 곳에서 실시할 수 있다. ⓒ Burials at Sea LLc

▲ 美 해군의 '바다매장' 미국의 EPA규정에는 자국의 육지로부터 3해리 이상, 외국으로부터는 12해리 이상 떨어진 곳에서 실시할 수 있다. ⓒ Burials at Sea LLc

어찌보면 바다에 그대로 매장하는 방법 '수장(水葬)'이 지구상에서 가장 간단하면서도 자연에 순응하는 장법(葬法)이 아닐까? 수장은 매장과 더불어 가장 오래된 시신 처리방법이며 내륙지방에서도 강이나 호수 등에서 널리 행해져 온 방법이다.

 

a

수중묘 서귀포시 강정동 해안가 소재 ⓒ 네이버 디지탈뉴스 아카이브

▲ 수중묘 서귀포시 강정동 해안가 소재 ⓒ 네이버 디지탈뉴스 아카이브

우리나라에도 제주도 서귀포시 강정동 해안가의 수중묘와 문무대왕 수중릉 등을 보아 옛날부터 각 해안 마을이나 섬에서는 수장을 행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물론 현재도 수장을 할 수 있다. 선원법 제17조에 '선장은 선박의 항해 중 선박 안에 있는 자가 사망한 때에는 국토해양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수장할 수 있다'는 규정이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Full Body Burials at Sea' 는 시신을 바다속에 매장하는 것으로 미 환경보호국(EPA) 규정에 따라 실시된다. EPA규정에 수장은 자국의 육지로부터 3해리 이상, 외국으로부터는 12해리 이상 떨어진 곳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바닷속 600피트 아래 매장하라고 나와있다.

 

물론 화장한 유골을 곱게 갈아 산골하는 경우가 더 많지만 해군 등 바다와 관계된 직업을 가졌거나 화장 반대론자, 환경주의자 등의 특별한 유언에 따라 바다에 직접 매장하는 경우도 상당수 있는 모양이다.

 

바다에 매장할 때는 분해가 용이한 전용관이나 수의를 사용하게 되는데, 최근엔 특화되어 상품화된 종류가 나와 좀더 존엄하고 세련된 바다 매장이 가능하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a

바다매장용 수의상품 생물분해성 소재로 만들어졌다 ⓒ Burials at Sea LLc

▲ 바다매장용 수의상품 생물분해성 소재로 만들어졌다 ⓒ Burials at Sea LLc

미국의 Atlantic Sea Burial Shroud®는 바다에서 생분해되는 소재로 만들었고 독특한 디자인과 기능성을 갖추고 있다. 재미있는 점은 바닷속에 가라앉히기 위한 37.5파운드짜리 대포알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 대포알이 사용되는 이유는 1800년대부터 실시해 온 바다매장의 '전통'때문이라고.

 

a

바다매장용 관 '딥씨코핀' 세련되고 존엄한 바다속 매장이 가능하다 ⓒ Genesis Biopod

▲ 바다매장용 관 '딥씨코핀' 세련되고 존엄한 바다속 매장이 가능하다 ⓒ Genesis Biopod

장사 시설에 대한 지역 이기주의, 화장장과 묘지 문제 그리고 가장 중요한 '환경문제' 등으로 사면초가에 내몰린 우리의 장사정책에 깊이 생각해 볼 만한 형태가 아닐까? 3면이 바다인 천혜의 자연조건을 가진 우리가 가장 간단히 자연에 순응하는 장법으로.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퓨너럴 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2010.06.24 13:43 ⓒ 2010 OhmyNews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퓨너럴 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수장 #水葬 #장례 #바다매장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캐나다서 본 한국어 마스크 봉투... "수치스럽다"
  2. 2 100만 해병전우회 "군 통수권" 언급하며 윤 대통령 압박
  3. 3 300만명이 매달 '월급 20만원'을 도둑맞고 있습니다
  4. 4 시속 370km, 한국형 고속철도... '전국 2시간 생활권' 곧 온다
  5. 5 두 번의 기회 날린 윤 대통령, 독일 총리는 정반대로 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